• 제목/요약/키워드: bFF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말굽버섯 추출물의 대식세포 면역반응 증강 효과 (Immune-stimulatory Effects of Fomes fomentarius Extract in Murine Macrophages)

  • 김영훈;박은규;;;노주원;판철호;이재권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73-37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아직 까지 연구되지 않은 말굽버섯의 면역증강 효과를 설치류 대식세포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말굽버섯 메탄올 추출물(FFE)의 처리에 의해 대식세포의 산화질소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산화질소의 생성이 증가된 이유는 산호질소의 생성을 유도하는 효소인 iNOS의 발현이 FFE에 의해 증가되었기 때문이었다. FFE는 면역반응에 중요한 cytokine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 같은 FFE의 면역증강 활성은 면역활성을 중계하는 세포 신호전달분자 중 NF-${\kappa}B$와 MAP Kinases의 활성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말굽버섯의 임상적 적용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만일 말굽버섯으로부터 분리한 단일성분에서 면역증강활성을 검증 하게 된다면 새로운 식 의약소재로서의 가치를 인정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및 MITF 발현 억제를 통한 미백 활성 (Whitening activity of Ficus carica L. fruits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

  • 김민지;박시은;이근수;김진화;권순우;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04-212
    • /
    • 2023
  • 미백은 멜라닌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의미한다. 기존 미백소재의 피부 부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미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화과(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매로 줄기와 잎 성분의 미백 활성은 보고되었으나 무화과 열매의 미백 활성은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화과 열매 추출물(Figs fruits extract, FFE)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ABTS 분석에서 최대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34.52±1.98%/60.71±1.26%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CCK-8 assay를 통한 FFE의 세포독성은 약 10% 농도부터 관찰 되어 독성이 없는 최대 농도를 5%로 설정하여 모든 실험에 적용하였다. FFE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interleukin-6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유전자 발현 억제와 함께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백 기능 규명을 위해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FFE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유의하게 하향 조절했을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FFE는 RT-PCR에서 α-MSH 처리군에 비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발현을 약 94.34% 감소시켰다. 마지막으로, FFE는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MIT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및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FFE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α-MSH 신호 기전 내 MITF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렉병 바이러스 강독주의 실험 접종에 의해 유발된 닭 피부병변에 침윤한 림프구 표현형의 변화 (Phenotypical changes of lymphocyte subsets infiltrated in the skin lesions induced experimentally by very virulent strain of Marek's disease virus in chickens)

  • 조경오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73-380
    • /
    • 2001
  • Marek's disease virus (MDV) can cause skin lesions including inflammatory to tumorous. The phenotypical changes of lymphocytes infiltrating in the skin lesions induced by MDV were not clear. Therefore, the skin biopsies taken at weekly intervals for 8 weeks from the same specific-pathogen free chickens inoculated with Md/5 MDV were examined to analysis the phenotypical changes of lymphocytes. Histologically skin lesions progressed from initial inflammatory to late tumorous. Sequentially CD4+ T lymphocytes increased gradually in number from initial skin lesions and were major composition cells in the tumor lesions. Regardless of inflammatory or tumor lesions, CD8+ T cells and ${\gamma}{\delta}$ T cells infiltrated particularly in the dermis and subcutaneous on which MDV was actively replicated in the feather follicle epithelium(FFE). In addition, IgG bearing B lymphocytes in considerable number infiltrated in the dermis and subcutaneous tissues. From these results, the development of MDV-induced skin lesions was inflammatory following tumorous. In addition, each CD8+, ${\gamma}{\delta}$ and CD4+ T cells and B cell might act to protect MDV replication in the FFE or tumor cells which turned on lytic cycle.

  • PDF

천해환경에서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한 음향 등화기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Acoustic Equalizers using Adaptive Algorithms in Shallow Water Condition)

  • 췌명;박규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53-260
    • /
    • 2018
  • 천해 환경에서의 수중 음향 통신 채널은 전형적으로 시변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채널 전송을 통해 수신된 신호는 시간 지연 및 진폭의 중첩에 의해 심볼 간 간섭을 유발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음향 등화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볼 간 간섭을 보상하기 위해 feed-forward equalizer (FFE), decision direct equalizer (DDE),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FE) 및 DFE와 결합된 DDE의 4 종류의 등화기와 등화기의 계수를 조정하기 위해 normalized least mean square (NLMS) 알고리즘과 recursive least square (RLS) 알고리즘의 2 종류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비선형 등화기에서는 신호 대 잡음비 6 dB 이상에서 상당한 성능 향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DFE와 DDE의 조합은 어떤 경우에도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였다.

국소 간병변 감별에서 단발고속스핀에코 기법과 균형항정상 태세차를 이용한 고속영역 기법간의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Single Shot Turbo Spin Echo and B-FFE (Balanced Turbo Field-echo) in the Differentiation of Focal Liver Lesions)

  • 김영철;김명진;차승환;정용은;한광협;최진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1권1호
    • /
    • pp.39-48
    • /
    • 2007
  • 목적 : 다양한 강한 T2 고속 스핀 에코 기법과 균형항정상태세차를 이용한 고속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국소 간병변 진단시 낭성 여부를 평가하고 악성 여부를 진단하는데 4가지 기법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5년 6월부터 8월까지 76명의 환자에서 자기공영상에서 확인된 93예의 국소 간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전도형 1.5T 자기 공명 영상 장치를 이용 세가지 다른 에코시간(80, 180-190, 300 msec)의 호흡 중지 T2강조 단발 고속 스핀 에코 촬영 기법과 호흡 중지 2차원 균형항정상태세차를 이용한 기법의 고속 영상 기법으로 시행되었다. 2명의 방사선과 전문의가 정성적 분석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방사선과 전문의가 병변 대 병변 대간 대조대잡음비를 구하였다. 결과 : 네 가지 기법에서 판독자간의 일치도는 낭성 평가와 악성도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낭성 그리고 악성도 평가의 정확도는 에코시간 80 msec에서 가장 높았다. 악성도 평가시 제 2 판독자에서 에코시간 80 msec과 균형항정상태세차간에 p-값이 0.00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변 대 간 대조대잡음비를 구하였고 에코시간이 길어질수록 낭성 병변의 대조대잡음비는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단발 고속 스핀 에코 기법이 정확성과 일치도에서 균형항정상태세차기법보다 우수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에코시간 80 msec이 에코시간 300 msec보다 약간 높은 정확도와 일치도를 보였다. 그리고, 에코시간 180 msec의 강한 T2 강조 단발 고속 스핀 에코기법은 에코시간 80 msec에서 판정이 애매할 경우 추가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시하고자 한다.기성분은 균주에 따른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급알코올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Sacch. cerevisiae Wine 3이 와인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b값은 CSB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경도와 응집성은 각 시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력성과 부서짐성은 CSB가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점착성은 SDB1이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기공의 균일성은 SDB1이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은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 탄력성, 단맛 및 신맛 등은 홍국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취는 SDB1이 가장 적게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SDB1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국을 10% 첨가한 sourdough starter를 3일 동안 발효한 후 반죽에 첨가하여 sourdough bread를 제조할 때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생수와 여러 물질의 혼합용액의 온도가 장에 끼치는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 PDF

40Gb/s 백플레인 이더넷을 위한 DFE 수신등화기 (A Design of the DFE based Receiver Equalizer for 40 Gb/s Backplane Ethernet)

  • 양충열;김광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2B호
    • /
    • pp.197-209
    • /
    • 2010
  • 본 논문은 10 Gb/s $\times$ 4 레인으로 구성되는 40 인치 FR-4 백플레인 채널을 설계 및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안된 40 Gb/s 급 수신 적응 등화기 (Receive and Adaptive Equalizer), 고속 등화 알고리즘 설계 및 시뮬레이션 결과에 관하여 기술한다. 백플레인을 통과하는 40 Gb/s 고속 데이터 통신 채널을 위해 FFF를 사용하지 않는 DFE의 10Gb/s 4채널의 수신 등화기가 제안된다. 본 수신 & 등화기는 46 인치 백플레인 채널의 수신종단에서 등화를 수행하기 위한 IEEE Std P802.3ba 표준 기반 등화기 요구조건을 만족한다.

Coloring agent가 지르코니아 색조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oring agent on the color of zirconia)

  • 김광현;노관태;배아란;우이형;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25
    • /
    • 2017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coloring agent의 종류와 적용 횟수가 지르코니아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단일구조 지르코니아($15.7mm{\times}15.7mm{\times}2.0mm$)를 준비하여 완성된 시편은 11개 실험군 그룹으로 coloring agent의 종류와 적용 횟수에 따라 a1-a5와 w1-w5로 나누었다. 색조의 측정은 분광측색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Coloring agent를 적용시키지 않은 그룹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각 그룹의 색차의 정도(${{\Delta}E^*}_{ab}$)와 translucency parameter (TP)를 분석하였다. 측정치는 two-way ANOVA, multiple comparison $Sch{\acute{e}}ffe$ test, Pearson correlation와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Coloring agent의 적용횟수가 증가할수록 두가지 종류 모두에서 지르코니아의 명도는 감소하고 황색계열은 증가했다. Coloring agent는 지르코니아의 투명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각 그룹 간의 색조차이는 ${0.87{\Delta}E^*}_{ab}$에서 ${9.43{\Delta}E^*}_{ab}$였다. 결론: Coloring agent의 종류와 적용 횟수는 지르코니아의 색조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의 간독성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ycium chinense Mill Fruit Extracts and Fresh Fruit Juice)

  • 강경일;정진영;고경희;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9-103
    • /
    • 2006
  • 국내에서 선별 육종된 불로 구기자의 처리방법에 따른 간기능 보호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CCl_4)$ 투여로 급성 간독성을 유발시킨 흰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건조구기자 추출물(DFE), 볶은 구기자 추출물 (RFE), 그리고 생과즙(FFE)을 경구 투여한 결과 군간의 체중증가량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체중 100 g 당 간 무게는 처리조건에 관계없이 구기자 추출물 및 생과즙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간 무게를 나타내었다(p<0.01). 이것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섭취가 $CCl_4$ 투여에 의한 지방간 형성 또는 간 독성에 의한 간 무게증가를 다소 완화하여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염화탄소$(CCl_4)$ 투여에 의하여 흰쥐의 혈청 GPT 및 GOT 활성과 LDH 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볶은 구기자 추출물 투여군(RFEC)과 생과즙 투여군(FFJC) 모두 GPT, GOT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투여군 모두 대조군(CON)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고 중성 지방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간 조직의 MDA 함량과 GST, cytochrome P-450 활성 결과로 보아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을 섭취 시 사염화탄소에 의한 독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은 $CCl_4$ 투여로 인한 지질 과산화, 지방변성, 간 세포 괴사 등을 억제 시키는 간 독성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HMIPv6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전송 성능 향상 방안 (Improving Transmission Performance of Real Time Traffic in HMIPv6)

  • 박원길;김병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1B호
    • /
    • pp.960-968
    • /
    • 2006
  • HMIPv6(Hierarchical MIPv6)는 MAP(Mobility Anchor Point)이라는 에이전트를 사용하여 MIPv6의 핸드오버 처리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 프로토콜은 모바일 노드 대신에 모든 패킷을 받으며, 모바일 노드를 대신하여 모바일 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모든 패킷을 받아서 모바일 노드의 CoA(Care-of Address)로 패킷을 재전송한다. 그러나, 계층적 MAP 구조에서 발생되는 등록의 집중화 현상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노드가 MAP 선택 시 트래픽 특성에 의하여 MAP을 선택하는 방법과, 흠 에이전트나 상대 노드에서 바인딩 업 데이트를 처리할 때 실시간 트래픽을 위한 멀티 레벨 큐에 의한 차등화 처리방법을 제안하였다. 성능 평가는 겔 거주 시간에 따른 전체 핸드오버 비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성능 분석을 통해 제안방법이 위치 등록 비용과 모바일 노드의 전체 비용에서 향상됨을 보았다.

소회향이 흰쥐의 국소뇌혈류량 및 평균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ENICULI FRUCTUS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in Rats)

  • 김남순;정현우;강성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52-657
    • /
    • 2007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ENICULI FRUCTUS freeze dry powder (FF) on the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MABP)] in normal and further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action of FF. The results in normal rats were as follows ; FF significantly increased rCBF in a dose-dependent, but decreased MABP, This results were suggested that FF significantly increased rCBF by dilating PAD. The FF-induced increase in rCBF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1H[1,2,4]oxadizolo[4,3-a]quinoxalin-1-one (ODQ, 10 ${\mu}$g/kg, i.p.),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and indomethacin (IDN, 1 mg/kg, i.p.), an inhibitor of cyclooxygenase and propranolol (PPN, 3 mg/kg, i.p.), a blocker of adrenalic f receptor and Lu-Nitro-L-Arginine (L-NNA, 1 m9/kB, i.p.),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The FFE-induced decrease in MAB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etreatment with L-NNA and was increased by pretreatment with PPN, Dut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ODQ and IDN, This results were suggested that the mechanism of FF was mediated by nitric oxide synthase and adrenalic ${\beta}$ recep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