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xillary lymph node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8초

전완 골절 과거력이 있던 유방암 환자에서 비전형적 림프부종 발생 1례 (Rapid Lymphedema Prog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 with Previous Forearm Fracture)

  • 손성욱;이상철;김충린
    • Clinical Pain
    • /
    • 제19권2호
    • /
    • pp.129-132
    • /
    • 2020
  • Fracture is uncommon cause of lymphedema. The mechanism of lymphedema progression is still unknown, but disruption of the lymphatic system during and after fracture might be involved. In contrast, breast cancer surgery is a common cause of lymphedema and is usually caused by the removal of axillary lymph nodes. Sentinel node biopsy (SNB) has been adopted in early breast cancer to reduce the risk of lymphedema. Thus, the incidence of lymphedema in SNB was lowered. However, less than 10% of SNB patients are still diagnosed with lymphedema, but it is known that it took years to diagnose. Recently, we encountered atypical lymphedema occurred after breast cancer surgery with SNB. Symptoms started earlier than usual and were more severe. Interestingly, she has a history of a proximal radial fracture on the same side of SNB. We thought there could be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leration of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and fracture.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Adalimumab 사용 후 발생한 사르코이드증 1예 (Sarcoidosis Induced by Adalimumab in Rheumatoid Arthritis)

  • 이승호;김사일;송준석;김태형;손장원;김상헌;윤호주;김태환;신동호;박성수;곽현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6호
    • /
    • pp.464-469
    • /
    • 2011
  • Adalimumab is a full human monoclonal antibody that inhibit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This has recently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RA), ankylosing spondylitis, and other conditions. Sacoidosis is known to be the target for adalimumab but we describe a patient who has developed sarcoidosis with lung involvement during adalimumab therapy for RA. A 48-year-old woman, who was treated with adalimumab for 5 months, was admitted because of chronic cough and both hilar lymphadenopathy on chest radiography. Chest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the enlargement of multiple lymph nodes in the right supraclavicular, subcarinal, both hilar and right axillary area. She was diagnosed with sarcoidosis based on the biopsy of supraclavicular lymph node, skin and lung through video-associated thoracoscopic surgery, which was non-caseating epitheloid cell granuloma and excluded from a similar disease. She was treated for sarcoidosis with prednisolone and methotrexate instead of adalimumab.

전이성 고환주위 폐포성 횡문근육종 1예 (Paratesticular Alveolar Rhabdomyosarcoma with Multiple Lymph Nodes Metastasis Successfully Treated with Chemotherapy)

  • 이하영;현명수;이경희;김민경;고성애;손세훈;박성우;김동근;김명진;장효진;김미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70-76
    • /
    • 2011
  • Rhabdomyosarcomas are soft tissue sarcomas; while extremely rare in adults, they are one of the most common neoplas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istologically, they can be classified into embryonal (ERMS), alveolar (ARMS), pleomorphic, and undifferentiated types. The ARMS type is very rare, and is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Common primary sites of ARMS are the trunk and extremities. We report on a case of paraaortic, supraclavicular, and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from paratesticular ARMS treated with VAC (vincristine, dactinomycin, cyclophosphamide)/ IE(ifosfamide, etoposide) chemotherapy in a young adult. Administration of six cycles of chemotherapy with VAC/IE resulted in complete remission. The patient has maintained complete remission over the past 27 months.

  • PDF

소아의 흉벽에 발생한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의 치료 - 1례 보고 -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 Chest Wall)

  • 송동섭;지행옥;정원상;강정호;김영학;김혁;이철범;함시영;전석철;이원미;박찬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506-510
    • /
    • 2001
  • Langerhans 세포 조직구증(LCH,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은 Langerhans\` cell histiocyte의 이상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질환이다. 이 질환은 eosinophilic granuloma, Hand-Sch ller-Christian씨 병, Letterer-Siwe병을 포함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histiocytosis X로 불리던 질환이다. 피부, 림프절, 골, 골수 및 체내 모든 조직과 기관을 침범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 흉벽에서 발생된 예는 보고된 증례가 많지않다. 18개월 된 남자 환아에서 흉벽의 늑골에서 기원하여 골용해 소견을 동반한 종괴가 있어 수술적 절제한 후 LCH로 확진된 증례가 있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침윤성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 병용치료의 성적 및 위험인자 분석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for Invasive Breast Cancer: An Intermediate Result)

  • 이석호;최진호;이영돈;박흥규;김현영;박세훈;이규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16-25
    • /
    • 2007
  • 목 적: 조기병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 병용요법이 보편화되면서 표준적치료로 인정되고 있다. 유방보존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년 이내의 재발양상, 생존율 및 그에 관련되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관내상피암을 제외한 침윤성 유방암으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 받은 1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연령은 45세($27{\sim}76$세)이었고, 연령대로는 40대가 62명(48.1%)으로 가장 많았다. TNM 병기는 I기 65명(50.4%), IIa기 41명(31.7%), IIb기 13명(10.1%), IIIa기 9명(7.0%), IIIc기 1명(0.7%)이었다. 액와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환자는 32명(24.8%)이었다. 수술은 사분원절제술이 115명(89.1%), 종괴절제술이 14명(10.9%)에서 시행되었다. 액와림프절곽청술은 120명(93%)에서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동측 전체 유방에 6 MV X-선으로 50.4 Gy를 28회에 걸쳐 시행하고, 원발병소에 $9{\sim}16\;Gy$를 추가하였다. 쇄골상 림프절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30명(23.3 %)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은 대부분 CMF요법으로 $4{\sim}6$회가 시행되었다. 전체환자의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50개월($17{\sim}93$개월)이었다. 결 과: 5년 생존율은 96.9%, 5년 무병 생존율은 93.7%이었다.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기 97.1%, IIa기 100%, IIb기 84.6%, III기 100%이었고, 5년 무병생존율은 I기 96.8%, IIa기 92.7%, IIb기 76.9%, III기 100%이었다. 유방내 국소재발은 2명(1.6%)에서 발생하였고, 동측 쇄골상 림프절 재발이 1명(0.8%), 원격전이는 5명(3.9%)에서 발생하였다. 국소재발의 평균 기간은 32.5개월이었다. 원격전이는 평균 21개월에 발생하였고, 골전이 3명, 간전이 1명, 전신전이 1명이었다. 이 중 2명이 각각 17개월, 25개월에 사망하였다. 예후인자 분석에서 병기만이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는 III기 환자가 10명 포함되었는데, 원발병소의 크기는 모두 3 cm 이하였으며, 액와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경우였다. 이들은 모두 액와부 및 쇄골상부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며, 추적기간 동안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부작용으로는 10명(7.8%)에서 무증상방사선폐렴이 있었으며 증상을 동반한 방사선 폐렴이 1명(0.8%) 그리고 상지부종이 10명(7.8%)에서 있었다. 결 론: 추적기간이 짧았지만 조기 병기 침윤성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높은 국소 제어율과 생존율을 얻었으며, 향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방내 국소 재발은 수년 내에는 적었으며, 원격전이는 상대적으로 일찍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발병소의 크기가 3 cm 이하로 작고, 액와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유방보존치료 적용가능 여부에 대한 장기적 추적관찰 및 추가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방암환자의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 치료 성적 (Radiation Therapy for Operable Breast Cancer after Conservative Surgery)

  • 이명자;전하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09-315
    • /
    • 2002
  • 목적 : 유방암 환자에서 국소적 절제 수술 후 방사선 치료 후 재발 양상, 생존율 및 예후 인자를 평가하기 위해 후향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위해 의뢰된 유방암 1기, 2기 및 3기 5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추적기간은 평균 84개월이었고 최소 5년이었다. 연령분포는 24세부터 72세였고 중앙연령은 43세였다. 2명을 제외한 51명이 액와 림프절 곽청술을 받았고 조직병리상 42명이 침윤성 선암이었고 2명이 소엽 세포암 2명은 선관내 선암이었고 7명은 그 외 병리소견을 가졌다. 병기로 T0 2명 T1 30명, T2 21명이었고, 53명 중 15명이 액와 림프절 침윤이 있었다. 원발 종양위치로 내측이 13명, 외측이 38명 유두 하 부위가 2명이었다. 방사선 조사는 전체유방에 $46\~50\;Gy$와 원발 종양 주위에 $14\~18\;Gy$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5년 생존율은 $94.3\%$ 5년 무병생존율은 $92.4\%$였다. 10년 생존율은 $91.2\%$ 10년 무병생존율은 $81\%$였다. 병기별로 I $100\%$, IIa는 $100\%$, IIb 및 IIIa는 $66,7\%$의 5년 생존율을 보였다. 4명$(7.5\%)$에서 국소 재발이 있었고 3명$(5.7\%)$에서 원격전이가 있었다. 원발 병소 내 국소 재발은 2년 이내였고 원발 병소 밖의 국소 재발은 8년 후에 보였다. 원격전이는 2년에서 6년 사이였다. 35세 이하의 환자에서 국소 및 원격전이가 높아 12예 중 5예의 재발율을 보였고 (국소재발 2명, 원격전이 3명) 종양크기가 2 cm 이상인 환자 21예 중 5예(국소재발 2명, 원격전이 3명)에서 재발율을 보였다. 액와 림프절 침윤이 있는 15명 중 4명$(26.6\%)$에서 원격전이가 있었다. 종양의 크기 2 cm 이상인 환자에서 임파선 전이율이 $38.1\%$였고 35세 이하의 젊은 연령에서 임파선 전이율이 $58.3\%$였다. 예후 인자로는 연령과 액와 림프절 침윤과 종양이 클수록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 유방 보존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조기 유방암환자의 치료결과는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국소 재발율은 추적기간이 길수록 증가함으로 보다 더 장기적인 추적이 필요하고 젊은 연령층의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국소재발유암의 치료성적 및 예후 인자 (Treatment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the Management of Locoregional Recurrent Breast Carcinoma)

  • 문성록;이형식;김귀언;안기정;서창옥;노준규;민진식;이경식;김병수;노재경;고은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65-71
    • /
    • 1990
  • 유방암의 일차 치료후 흉벽이나 국소임파절에 국한된 재발은 비교적 흔하게 관찰된다. 방사선치료는 이러한 국소재발유암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국소병변의 관해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에서 이차개발 또는 원격전이로 인해 불량한 예후를 보이므로 최근에는 다방면 병용요법을 시도하여 환자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관해율을 증가시켰다는 고들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국소 재발유암 환자의 특성과 치료결과, 치료후 실패양상,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분석하여 향후치료의 지침으로 삼고자, 1974년 부터 1986년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5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32예 ($60.4\%$)가 단일 병소에, 21예 ($39.4\%$)가 다발병소에 재발하였다. 방사선치료후 31예 ($58.4\%$)에서 완전관해를 보였으나 그 중 7예는 치료부위에 다시 재발하였다.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27\%,\;15\%$였다. 각각의 예후인자에 대한 단일변량분석에서는 최초 수술당시의 액와임파절전이 숫자, 보조적 화학요법의 시행 유무, 경도의 유무 등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고, 다변량분석법을 통한 분석에서는 최초수술당시의 액와임파절전이의 수, 경도의 유무, 재발시 병변의 크기, 치료후 관해기간 등이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예후인자였다.

  • PDF

혈소판 감소증이 지속된 영아 가와사끼병 환아에서 발생한 거대관상동맥류와 액와동맥류 (Giant Coronary and Axillary Aneurysms in an Infant with Kawasaki Disease Associated with Thrombocytopenia)

  • 서세영;오진희;김종현;한지환;이경일;고대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901-906
    • /
    • 2005
  • 가와사끼병은 소아 연령에서 발병하는 급성 전신성 혈관염으로 현재 소아 후천성 심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아직 원인 불명이고 진단도 여전히 임상 증상에 의존하고 있는데, 최근 비호발 연령의 환자 및 비전형적 가와사끼병의 증례 보고와 이들에서 빈발하는 관상 동맥 합병증의 보고가 증가되고 있다. 관상동맥 합병증의 위험 인자 중 하나인 지속적 발열과 혈소판 감소증은 매우 어린 영아에서 간혹 초기 감별 진단을 어렵게 만든다. 저자들은 패혈증으로 전원된 3개월 여아에서 초기에 정맥글로불린과 스테로이드 등의 약제로 치료하였으나 빈혈, 혈소판 감소증과 발열이 지속되다 거대 관상 동맥류와 액와 동맥류를 합병한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아토피양(樣) 피부염 NC/Nga생쥐에서 가감소독음(加減消毒飮)과 아토피크림-자운고(紫雲膏)의 병용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ouse)

  • 송현지;한재경;김윤희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1-85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 experiment using an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which has histological and clinical similarities to the condition in humans. Methods : We evaluated clinical skin score, hematology, serum total IgE and IgG1 of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and analyzed the cytoline level, total cell numb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histological features of axillary lymph node(ALN), draining lymph node(DL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PBMCs) and dorsal skin tissue in NC/Nga mouse. Results : Orally administration of KKSDU and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decreased the clinical skin score, total cell number of WBC, platelet, neutrophils, eosinophils in blood, serum total IgE & IgG1, IL-5, IL-13. Also, total cell number of ALN and dorsal skin tissue, absolute cell number of CD3e+&CD19+, CD4+&CD8+, CD3+/CCR3+, CCR3+, CD3+/CD69+, CD3+/CXCR5+ in ALN, PBMCs, absolute cell number of CCR3+, CD3+/CD69+, CD11b+/Gr-1+ in dorsal skin tissue, Eotaxin2 mRNA, CCR3 mRNA in dorsal skin tissue and gene expression of IL-5 mRNA, IL-13 mRNA in ALN are significantly decreased. Furthermore, thickness of epidermis, infiltrated inflammatory immune cell & mast cell in dermis, histologic infiltration of mast cell, the size of inflammatory lymphocytes cells & plasma cells in ALN and histologic infiltration of CD4+ & CCR3+ in ALN and dorsal skin tissue are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total cell number of DLN, absolute cell number of CD3+&CD19+, CD4+&CD8+, B220+/CD23+, CD3+/CD69+ in DLN and CD4+CD25+foxp3+Treg cell, foxp3 mRNA in dersal skin tissue are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 experiment using an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was very effective to the atopic detmatitis treatment.

  • PDF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아토피 크림과 자운고(紫雲膏)의 병용도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topy Cream-combined with Jawoongo Ointment on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ouse)

  • 여의주;한재경;김윤희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72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ppressive effects of Atopy cream-combined with Jawoongo ointment (A-J), on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like skinlesions in NC/Nga mouse. Methods We evaluated clinical skin score, hematology and Serum total IgE and IgG1 of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analyzed the cytokine level, total cell numb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axillary lymph node(ALN), draining lymph node(DL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PBMCs) and dorsal skin tissue in NC/Nga mouse. Results A-J decreased the clinical skin score, total cell number of WBC, platelet, neutrophils, eosinophils in blood, Serum total IgE & IgG1, IL-5, IL-13. Also, total cell number of ALN and dorsal skin tissue, Absolute cell number of $CD3e^+$&$CD19^+$, $CD4^+$&$CD8^+$, $CD3^+/CCR3^+$, $CCR3^+$, $CD3^+/CD69^+$, $CD3^+/CXCR5^+$ in ALN, PBMCs, Absolute cell number of $CCR3^+$, $CD3^+/CD69^+$, $CD11b^+/Gr-1^+$ in dorsalskin tissue, Eotaxin2 mRNA, CCR3 mRNA in dorsal skin tissue and gene expression of IL-5 mRNA, IL-13 mRNA in ALN decreased significantly. Furthermore, thickness of epidermis, infiltrated inflammatory immune cell and mast cell in dermis, histologic infiltration of mast cell, the size of inflammatory lymphocytes cells and plasma cells in ALN and histologic infiltration of CD4+ & CCR3+ in ALN and dorsal skin tissue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otal cell number of DLN, absolute cell number of $CD3e^+$&$CD19^+$, $CD4^+$&$CD8^+$, $B220^+/CD23^+$, $CD3^+/CD69^+$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A-J was the successful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in a NC/Nga mouse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