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orbic acid derivative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Synthesis of Dihydroxylated Chalcone Derivatives with Diverse Substitution Patterns and Their Radical Scavenging Ability toward DPPH Free Radicals

  • Kim, Beom-Tae;O, Kwang-Joong;Chun, Jae-Chul;Hwang, Ki-J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1125-1130
    • /
    • 2008
  • A series of dihydroxylated chalcone derivatives with diverse substitution patterns on a phenyl ring B and the para-substituents on a phenyl ring A were prepared, and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simple DPPH test to determine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in these series of compounds. The chalcone compounds with the ortho- (i.e. 2',3'- and 3',4'-) and para- (i.e. 2,5'-) substitution patterns show an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80-90% of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50 $\mu$M) which are comparable to those of ascorbic acid and $\alpha$ -tocopherol as positive reference materials. On the contrary, the compounds with meta- (i.e. 2',4'-, 3',5'-) substitution pattern demonstrate very dramatic decrease in activities which are around 25% of the control even at the concentration of 200 $\mu$ M (IC50 > 200 $\mu$ M). These dramatic differences c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ease formation of fairly stable semiquinone radicals from the ortho- and parasubstituted chalcone molecules through facilitating electron delocalizat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ubstitution patterns of two hydroxyl groups on ring B are very important structural factors for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nhancement. Meanwhile, the substituents at para-position of the phenyl ring A of chalcones have no influence on the activity.

New Production of 5-Bromotoluhydroquinone and 4-O-Methyltoluhydroquinone from the Marine-Derived Fungus Dothideomycete sp.

  • Leutou, Alain S.;Yun, Keum-Ja;Choi, Hong-Dae;Kang, Jung-Sook;Son, Byeng-Wh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80-83
    • /
    • 2012
  • The addition of NaBr to the fermentation medium of a marine isolate of the fungus Dothideomycete sp. resulted in induced production of two toluhydroquinone derivatives, 5-bromotoluhydroquinone (1) and 4-O-methyltoluhydroquinone (2), and two known compounds, toluhydroquinone (3) and gentisyl alcohol (4). The structures of 1 and 2 were assigned through the spectroscopic data analyses. Compounds 1-4 showed a pot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methicillin-resistant and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MDRSA) with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values of 6.2, 12.5, 6.2, and 12.5 ${\mu}g/ml$, respectively. Compounds 1-4 also exhibited a modera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with $IC_{50}$ values of 11.0, 17.0, 12.0, and 7.0 ${\mu}M$, respectively, which were more active than the positive control, L-ascorbic acid ($IC_{50}$, 20.0 ${\mu}M$).

코직산 유도체의 합성과 미백효과 (Synthesis of Novel Kojic Acid Derivative and Its Anti-pigmentation Effect)

  • 김기호;김기수;김진국;한창성;김영희;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9-414
    • /
    • 2004
  • 코직산은 티로시나제의 억제에 의한 미백효능을 가지는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낮은 안정성으로 인하여 화장품 원료로의 사용에 제약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기합성적 방법에 의해 안정성과 미백효과를 가지는 코직산 유도체를 고수율로 합성하였다. $O-pentaacetyl-{\beta}-D-glucose를$ 루이스산과 유기염기를 이용하여 위치 선택적이고, 입체 선택적으로 코직산의 6번 위치에 도입시켜 $kojic\;acid\;6-O-2',3',4',6'-tetraacetyl-{\beta}-D-glucopyranoside\;(KTGP, 80{\%})를$ 합성한 후, 가수분해하여 kojic acid 6-0-f-D-glucopyranoside $(KGP, 70\%)를$ 수득하였다. $^1H-NMR과\;^{13}C-NMR$ 분석으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KGP를 가지고 티로시나제 활성저해, 프리라디칼소거능과 멜라닌합성저해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와 프리라디칼소거능에서 코직산보다 높거나 비슷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코직산 수준의 미백효능을 확인하였기에 유기 화학적으로 합성된 KGP의 미백원료로서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중합도별 gum류 가수분해 올리고당과 urea관련화합물과의 반응혼합물이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on of Reaction Mixtures of Gums Hydrolysates and Urea Derivatives)

  • 김상우;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384-389
    • /
    • 2004
  • $100^{\circ}C$에서 반응시켜 2, 4, 6, 8시간의 갈변도 변화는 ${\beta}-1,4-mannobiose$와 urea의 반응혼합물이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강한 착색도의 증가를 나타냈으나 phenylthiourea, thiourea의 반응액은 착색속도가 늦었다. 같은 조건하에서 $Gal^3Man_4$와 urea 관련화합물의 각 반응혼합물의 갈변도를 나타낸 것으로 urea가 강한 착색도의 중가를 보였고 phenylthiourea, thiourea의 반응액은 비교적 높은 착색도를 보였다. DP 7의 galactosyl mannooligosaccharide와의 각 반응혼합물의 갈변도는 urea의 반응액이 강한 착색을 보였으며 phenylthiourea, thiourea의 반응액의 순으로 착색를 나타내었다. 반응혼합물의 TLC 결과에서 ${\beta}-1,4-mannobiose$와 urea의 반응혼합물 이외에 phenylthiourea, thiourea의 반응액은 새로운 화합물이 생성되었고, $Gal^3Man_4$와 D.P 7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와의 반응혼합물에서는 모든 반응액에서 새로운 화합물이 출현되었다. 반응혼합물의 환원력은 urea관련화합물 중에서 특히 phenylthiourea, thiourea가 ${\beta}-1,4-mannobiose,\;Gal^3Man_4$, DP 7의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와의 반응혼합물에서 강한 환원력이 나타났다. Linoleic acid에 대한 반응혼합물의 항산화력 측정에서 ${\beta}-1,4-mannobiose$와 thiourea의 반응혼합물의 항산화력이 Ascorbic acid(AsA)수준의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Gal^3Man_4$와 thiourea, phenylthiourea의 반응혼합물은 AsA와 유사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DP 7의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와 thiourea, phenylthiourea의 반응혼합물의 항산화력은 AsA에 미치지는 못하였다. ${\beta}-1,4-Mannobiose$와 thiourea, phenylthiourea의 반응혼합물이 강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내고 있고, $Gal^3Man_4$와 phenylthiourea의 반응혼합물 및 D.P 7의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와 phenylthiourea와의 반응혼합물이 전자공여능을 나타내고 있다.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Inhibitory Action and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Cosmetic Whitening Ingredients and Phenol Derivatives

  • Sakuma, Katsuya;Ogawa, Masayuki;Sugibayashi, Kenji;Yamada, Koh-ichi;Yamamoto, Katsumi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35-339
    • /
    • 1999
  • Th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s of cosmetic raw materials, show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on, and phenolic compounds structurally similar to L-tyrosine were determined by cylcic voltammetry. The voltammograms obtained could be classified ito 4 patterns (patterns 1-4). Patterns 1, characterized by oxidation and reduction peaks as a pair, was observed with catechol, hydroquinone or phenol, and pattern 2 exhibiting another oxidation peak in addition to oxidation and reduction peaks as a pair was found with arbutin, kojic acid, resorcinol, methyl p-hydroxybenzoate and L-tyrosine as the substrate of tyrosinase. Pattern 3 with an independent oxidation peak only was expressed by L-ascorbic acid, and pattern 4 with a reduction peak only at high potentials, by hinokitiol.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se compounds was also evaluated using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and the inhibition constant (Ki) as parameters. Hinokitiol, classified as patterns 4,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lowest $IC_{50}$ and Ki). Hydroquinone showing the second highest activity belonged to pattern 1, which also included compounds exhibiting pattern 2 was relatively low with Ki values being in the order of 10-4 M. Although there was no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oxidation-reduction potential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on, the voltammetry data can be used as an additional index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tyrosine inhibitory activity.

  • PDF

피부 활성을 갖는 Phytosphingosine Ascorbate의 합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hytosphingosine Ascorbate with Retaining Skin Development Effects)

  • Min, Seok-Kee;Jin, Yong-Hoon;Park, Woo-Jung;Eom, Sang-Yong;Kim, Jong-Heo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7-172
    • /
    • 2004
  • 피부 활성 물질로 넓이 알려져 있는 vitamin C (L-Ascorbic acid)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과 강한 항산화 작용으로 피부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 있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 세포 활성 억제, 자외선 차단, 상처치유 등의 효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물성 면에서 피부 자극과 수분 및 공기, 빛에 불안정하여 쉽게 산화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그 결과 다양한 vitamin C 유도체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vitamin C의 불안정한 물성을 해결하면서 그 자체의 효능을 피부에 적용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는 평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vitamin C의 불안정한 물성을 개선시키고 그 효능을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는 vitamin C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해,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스핑고지질류 중 하나인 phytosphingosine을 이용하여 산염기 반응에 의한 vitamin C의 OH기와 phytosphingosine의 -NH$_2$이온 결합시킨 새로운 vitamin C 유도체인 phytosphingosine ascorbate (SP-VC)를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phytosphingosine ascorbate (SP-VE)는 원소 분석(C58.3 : H9.3 : N2.8 : 029.5) 및 mass spectrosocopy (Maldi TOF-MS), UV/vis spectra (268.5nm), $^1$H NMR, FT-IR, 열분석 (m.p=154$^{\circ}C$), HPLC 등을 통하여 구조 및 물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효능면에서는 우선적으로 phytosphingosine ascorbate(SP-VC)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vitamin C와 phytosphingosine의 효능을 동시에 갖으며 불안정한 물성과 자극을 개선시킬 것이라 예상되는 새로운 소재를 합성하였다.

장양(藏釀) 기술이 사용된 전통 고숙성 된장에서 유래한 o-Dihydroxyisoflavone 유도체의 생리활성 (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from Highly Aged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by Jang Yang Process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김동현;박준성;박녹현;문은정;유선혜;김덕희;김한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08
    • /
    • 2009
  • 된장은 한국의 독특한 발효 식품이며 장양이라 불리는 전통적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숙성 된장에서 새롭게 생성된 성분과 그것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5년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새로운 o-dihydroxyisoflavone인 7,3',4'-trihydroxyisoflavone과 기존에 알려진 두 가지의 o-dihydroxyisoflavone을 각각 분리하여 다른 isoflavone과의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Diphenyl-1-picrylhydrazyl (DPPH) 활성 저해 효과는 7,8,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1), 7,3',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2) 그리고 6,7,4'-trihydroxyisoflavone (compopund 3)은 각각 $21.5{\pm}0.2$, $28.7{\pm}0.4$ 그리고 $32.6{\pm}0.6$ ($IC_{50}$)을 나타낸 반면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약한 DPPH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Superoxide 소거 효과는 L-ascorbic acid에 비해 compound 1 ($IC_{50}=18.10{\pm}0.2{\mu}M$)과 2 ($IC_{50}=10.54{\pm}0.4{\mu}M$)가 보다 효과적인 반면 compound 3과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melan-a cells에서 o-dihydroxyisoflavone 유도체들의 티로시나제 활성과 멜라닌 생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특히 Compound 1 ($IC_{50}=11.21{\pm}0.2{\mu}M$), 2 ($IC_{50}=5.23{\pm}0.6{\mu}M$)의 경우 compound 3과 daidzein에 비해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멜라닌 생성을 50 % 억제할 때의 결과에서 이들 화합물은 각각 $12.23{\pm}0.7{\mu}M$ (1), $7.83{\pm}0.7{\mu}M$ (2)과 같이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숙성 된장에서 유래한 7,3',4'-trihydroxyisoflavone은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오디씨로부터 항산화성 폴리페놀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Polyphenolic Compounds in Mulberry (Morus alba L.) Seeds)

  • 이유진;김은옥;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17-524
    • /
    • 2011
  • 뽕나무(Morus alba L.) 열매 오디로부터 오디주스 및 오디와인 제조 중 부산물로 얻어지는 오디씨를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의 신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오디씨로부터 11가지 폴리페놀화합물을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아울러 그들의 항산화활성과 품종별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탈지오디씨박의 메탄올추출물을 노르말-헥산으로 탈지한 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노르말-부탄올로 용매분획하고, 이중 항산화활성이 강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silica-gel, Sephadex LH-20 및 ODS-A column chromatography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11가지 폴리페놀 화합물을 각각 순수하게 분리 및 정제하였으며, 그들의 화학 구조를 NMR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오디씨로부터 분리한 11가지 폴리페놀화합물의 항산화활성을 DPPH radical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rutin($IC_{50}=20.2\;{\mu}M$)이 가장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isoquercitrin ($IC_{50}=22.5\;{\mu}M$)> quercitrin($IC_{50}=24.6\;{\mu}M$)> quercetin($IC_{50}=27.8\;{\mu}M$)> (+)-dihydroquercetin($IC_{50}=28.9\;{\mu}M$)> chlorogenic acid($IC_{50}=30.6\;{\mu}M$) 순으로 나타내었다. 반면, (+)-dihydrokaempferol($IC_{50}=33.8\;{\mu}M$), trans-resveratrol($IC_{50}=36.2\;{\mu}M$), moracin($IC_{50}=47.6\;{\mu}M$) 및 4-prenylmoracin($IC_{50}=48.2\;{\mu}M$)은 위의 폴리페놀화합물보다 낮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rocatechuic acid($IC_{50}=68.2\;{\mu}M$)는 가장 낮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3가지 뽕나무 품종별 오디씨의 11가지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rutin이 31.1~60.0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quercitrin(7.2~34.2 mg/100 g)> dihydroquercetin(13.2~33.1 mg/100 g)> quercetin(15.8~19.5 mg/100 g)> 4-prenylmor acin(10.5~43.3 mg/100 g)> isoquercitrin(5.8~15.4 mg/100g)> chlorogenic acid(0.0~15.3 mg/100 g)> moracin(4.7~7.2 mg/100 g)> procatechuic acid(0.0~11.6 mg/100 g)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dihydrokaempferol 및 transresveratrol의 함량은 미량(< 0.1 mg/100 g)으로 나타났다. 또한, 3가지 품종 중 대성뽕 오디씨는 폴리페놀화합물 중 rutin 및 quercetin 유도체의 함량이 높았으며, 반면 익수뽕 오디씨는 procatechuic 및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높았고, 특히 moracin 및 4-prenylmoracin의 함량이 다른 오디품종에 비해 높았으나, 반면 청일뽕은 3가지 품종 중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따라서 오디씨는 항산화성 폴리페놀화합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암, 고혈압, 당뇨 및 노화를 예방하는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의 신소재로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Effects of a safflower tea supplement on antioxidative status and bone markers in postmenopausal women

  • Choi, Sung-Hee;Jang, Jeong-Hee;Yoon, Ji-Young;Hahn, Chi-Dong;Choi, Young-Sun;Choi, Sang-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1호
    • /
    • pp.20-27
    • /
    • 2011
  • We conducted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safflower seed granular tea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polyphenols 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bone metabolism. Forty postmenopausal women ages 49 to 64-years were recruited from Daegu and Gyeongbuk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safflower tea supplement (Saf-tea) group (n=27) or a placebo group (n=13). The Saf-tea group received 20 g of safflower seed granule tea per day containing a 13% ethanol extract of defatted safflower seeds, whereas the placebo group received a similar type of tea that lacked the ethanol extract. No significant changes in nutrient intake for either the placebo or Saf-tea groups were observed before or after the study period, except vitamin A intake increased after 6 months in the Saf-tea group. Dietary phytoestrogen intakes were similar in the Saf-tea group (60.3 mg) and placebo group (52.5 mg). Significant increases in plasma genistein and enterolactone were observed in the Saf-tea group. After 6 months of supplementation, serum levels of antioxidant vitamins such as a-tocopherol and ascorbic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BARS levels decreased in the Saf-tea group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Serum osteocalcin levels were reduced (P<0.05) in the Saf-tea group after 6 months, whereas serum osteocalcin did not change in the placebo group. Urinary deoxypyridinoline/creatinine excre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t baseline, and did not change in either group after 6 months. Bone mineral dens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lacebo group (P<0.01) but not in the supplemented group. It was concluded that polyphenols (72 mg/day), including serotonin derivatives, in the Saf-tea had both antioxidant and potential bone protecting effect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out liver toxicity.

국외 수집 홍화 유전자원의 항산화 활성 및 세로토닌 유도체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Serotonin Derivatives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Germplasm Collected from Five Countries)

  • 정이진;아와리스 아세파;이재은;이호선;이주희;성정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23-432
    • /
    • 2019
  • 본 연구는 이란 등 5개국에서 수집한 홍화자원을 대상으로하여 천연항산화제로써 홍화종자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세로토닌 유도체인N-(p-Coumaroyl) serotonin과N-feruloylserotonin의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총폴리페놀함량은 $28.25{\sim}90.53{\mu}g\;GAE/mg\;DE$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색소화합물인 DPPH 라디칼과$ABTS^{+}$을 이용한 유리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하는 DPPH assay와 ABTS assay의 값은 18.76 ~ 93.98 및 $48.91{\sim}163.73{\mu}g\;ASCE/mg\;DE$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시료의 환원능을 측정하는 방법인 FRAP assay과 RP assay는 3.80 ~ 132.29 및 $26.32{\sim}80.08{\mu}g\;ASCE/mg\;DE$의 범위로 나타내었다. UHPLC를 이용하여 CS와 FS를 분석한 결과, CS 함량은 2.56 ~ 64.99 mg/g DE이고, FS 함량값은 1.92 ~ 65.36 mg/g DE이었다. 5개국 중 이란 원산종은 다른 나라에 비해 세로토닌 유도체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평균값이 높게 측정되었다. 항산화 활성과 세로토닌 유도체 함량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CS는 TPC와 ABTS, DPPH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r = 0.673, 0.727, 0.820), FS는 DPPH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 = 0.740). RACI를 통하여 선발된 IT321214과 IT321215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자원으로 천연항산화제 소재 탐색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