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scorbic acid content

검색결과 596건 처리시간 0.023초

토마토 품종 및 부위별과 토마토 가공제품의 ascorbic acid, lycopene, ${\beta}$-carotene과 ${\alpha}$-carotene 함량 비교 (Comparison of Ascorbic Acid, Lycopene, ${\beta}$-carotene and ${\alpha}$-carotene Contents in Processed Tomato Products, Tomato Cultivar and Part)

  • 최석현;김동호;김동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3-272
    • /
    • 2011
  • 우수한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토마토에 대해서 품종별 완숙 토마토의 부위 와 토마토 가공제품에 대하여 ascorbic acid, lycopene, ${\beta}$-carotene과 ${\alpha}$-carotene의 함량 차이 를 조사한 결과 토마토의 품종에 따른 ascorbic acid 함량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며, 부위별에서는 pulp보다 jelly가 월등히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다. 토마토 가공제품의 ascorbic acid의 함량은 토마토 주스 제품들이 타 제품들보다는 ascorbic acid 함량 수준이 높았지만, 가공 시 토마토 이외에 첨가되는 다양한 첨가제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ascorbic acid 함량 수준에 따라 제품을 평가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품종별 lycopene의 함량은 품종별 pulp와 jelly 부위 간의 lycopene의 함량 수준은 일정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품종의 부위별 ${\beta}$-carotene의 함량 수준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여용 품종은 pulp 부위 보다 jelly 부위가 2.7배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alpha}$-carotene의 함량은 pulp와 jelly 부위 모두 가장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yellow carol 품종의 경 우 lycopene, ${\beta}$-carotene 함량의 경우 부위별과 상관없이 가장 낮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alpha}$-carotene의 경우는 pulp 및 jelly 부위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토마토 가공제품별 lycopene, ${\beta}$-carotene, ${\alpha}$-carotene의 함량 수준은 전제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토마토 가공제품은 토마토의 가공 형태 및 첨가제로서의 역할에 따른 lycopene, ${\beta}$-carotene, ${\alpha}$-carotene의 함량 수준의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진 토마토의 다양한 형태로의 섭취, 즉 국내에서 생육형태로만 섭취되어지고 있는 토마토에 대하여 다양한 토마토 가공제품과 함께 사용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한 다양한 조리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유기산 전처리에 따른 메밀 새싹의 저장중 품질변화 (Effect of Organic Acid Treatment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Buckwheat Sprout during Storage)

  • 장수경;이현희;홍석인;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0-197
    • /
    • 2010
  • 메밀 새싹의 유통 중 품질유지를 목적으로 유기산 용액과 염소수에 침지한 후 플라스틱 필름봉투에 밀봉하여 $5^{\circ}C$에 저장하면서 여러 가지 품질인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미생물학적 측면에서 총균수와 대장균군수의 측정 결과 0.5% citric acid, 0.05% acetic acid의 단독 및 병용처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미생물 증식제어에 효과적이었다. 수분함량이나 가용성 고형분함량의 경우 6일 저장 중 의미 있는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색 변화에서도 Hunter L값과 Hunter b값은 처리구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Hunter a값의 경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ascorbic acid 및 citric acid 처리구의 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 있어서도 저장 중 ascorbic acid 및 citric acid 처리구가 다른 것에 비해 변색, 시듦, 종합적 외관품질 항목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구분되어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기산 가운데 citric acid를 전처리 침지용액으로 적용할 경우 메밀 새싹의 유통 중 품질유지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찹쌀풀 및 새우젓 첨가가 김치 발효중 총 유리아미노산, 총 Vitamin C 및 환원형 Ascorbic acid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ed Glutinous Rice Flour and Soused Shrimp on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 Total Vitamin C and Ascorbic Acid Conten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이형옥;이혜준;우순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5-231
    • /
    • 1994
  • This study was intended to observe the effect of cooked glutinous rice flour and soused shrimp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samples were fermented for 11 days at 10$^{\circ}C$ after they were previously fermented for 6 hours at 20$^{\circ}C$. Changes of pH, total acidity, salt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free amino acid content, total vitamin C content, and ascorbic acid content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used shrimp and glutinous rice flour added in Kimchi acted as lactobacilli growth enhancer during fermentation. 2. Initial cincentrations of redng sugars in Kimch samples with no soused shrimp, 5% and 10% sosed shrimp were 7.5~8.3 mg/g, 3.0~4.7 mg/g and 0.5~0.6 mg/g respectively. Kinchi samples with glutinous rice flour showed higher reducing sugar contents than Kimchi samples without it. 3. Free amino acid contents in Kimchi samples gradual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According to their soused shrimp concentration, contents of free amino acid of Kimchi samp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Kimchi samples with glutinous rice flour showed lower free amino acid contents than Kimchi samples without it. 4. Total vitamin C contentrations of Kimchi samples were 24.5~28.0 mg%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nd 15.0~19.2 mg% at the final stage of ferment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 the higher soused shrimp concentration, the less total vitamin C contents were remained. 5. During the fermentation, ascorbic acid contents of Kimchi samples were not affected by soused shrimp and glutinous rice flour.

  • PDF

수경미나리의 영양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utrition Composition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 Park, Yaung-Ja;Kim, Young-Ok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016-1019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ent composition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and the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 on ascorbic acid content. Nutrient composition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of mid harvest on the 30th day was measured in three portions of leaves, petioles and stems, and was compared with that of late harvest on the 40th day. Hydroponic water dropwort was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nutrients content of lea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sh and ascorbic acid and lower in moisture, crude fat and crude fiber than those of stems and petio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vitamin A and thiamin contents between three portions. Ascorbic acid content of leaves harvested on the 30th day was the highest, 57mg/100g, and decreased to 18mg/100g in the leaves harvested on the 40th day. Marked increase in crude fiber and vitamin A content of leaves was observed in late harvest may be due to the maturation. The results of nutrient composition analysis suggest that the leaves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is important in ascorbic acid and ash. It is recommended that shorter blanching time and addition of 0.5% NaCl to the blanching water are better for higher ascorbic acid retention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In conclusion, as hydroponic water dropwort has high content in ash, calcium, vitamin and free sugar with alkalinity, leaves as well as stems and petioles can be recommonded as a vegetable of high nutritional quality.

  • PDF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 및 시기별 비타민 함량 (Vitamin content in Rosa davurica Pall.)

  • 신국현;임순성;이상현;서정식;유창연;박철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0
    • /
    • 1998
  •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 및 시기별 ascorbic acid 와 ${\beta}-carotene$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중 ascorbic acid 함량은 잎부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일 보다는 2.7배, 줄기와 뿌리 보다는 14배 정도 더 높았다. 2. 잎 채취시기별 ascorbic acid 함량은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1.8배 더 높았으며,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1.8배 더 높은 ascorbic acid를 함유하고 있었다. 3.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중 ${\beta}-carotene$함량은 잎부위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일보다는 3.5배 더 높았다. 4. 잎 채취시기별 ${\beta}-carotene$ 함량은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더 높았으나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 PDF

An Amperometric Proton Selective Sensor with an Elliptic Microhole Liquid/Gel Interface for Vitamin-C Quantification

  • Faisal, Shaikh Nayeem;Hossain, Md. Mokarrom;Lee, Hye-Jin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121-126
    • /
    • 2010
  • An amperometric ascorbic acid selective sensor utilizing the transfer reaction of proton liberated from the dissociation of ascorbic acid in aqueous solution across an elliptic micro-hole water/organic gel interface is demonstrated. This redox inactive sensing platform offers an alternative way for the detection of ascorbic acid to avoid a fouling effect which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redox based sensing systems. The detection principle is simply measuring the current change with respect to the assisted transfer of protons by a proton selective ionophore (e.g., ETH 1778) across the micro-hole interface between the water and the polyvinylchloride-2-nitrophenyloctylether gel phase. The assisted transfer reaction of protons generated from ascorbic acid across the polarized micro-hole interface was first characterized using cyclic voltammetry. An improved sensitivit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scorbic acid was achieved using differential pulse stripping voltammetry with a linear response ranging from 1 to $100\;{\mu}M$ concentrations of ascorbic acid. As a demonstration, the developed sensor was applied for analyzing the content of vitamin-C in different types of commercial pharmaceutical tablets and syrups, and a satisfactory recovery from these samples were also obtained.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영양성분 변화 : 수분, 단백질, 지방, 아스코르브산, 베타-캐로틴 함량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Korean fruits and vegetables : Examining water, protein, lipid,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s)

  • 김미정;김주현;오현경;장문정;김선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23-4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산물 중 한국인이 주로 많이 섭취하는 채소나 과일을 중심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 계절 간 성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4 계절에 모두 구입 가능하면서 섭취빈도가 높은 과일 4종, 채소 17종 총 21종을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로 구입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식품재료는 가식 부위만을 손질하여 약 30-60 g을 택하여 $-50^{\circ}C$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24시간 후 동결건조 시켜 분말로 만든 다음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영양소는 채소나 과일이 함유하고 있는 주요 영양성분으로 비타민 중 비타민 C와 베타 캐로틴(${\beta}-carotene$)을 HPLC로 분석하였으며 수분함량 및 지방과 단백질 함량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분석한 4종의 과일은 대개 84-89%의 수분을 함유하였으며, 채소는 과일보다는 더 많은 수분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한 채소 중에서는 오이가 가장 수분 함유율이 높았다. 과일 중에 사과 및 배의 경우에는 봄, 여름에 가을, 겨울에 비해 수분 함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귤과 딸기는 계절별 수분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채소 중에서는 양파의 경우 여름 겨울에 봄가을에 비해 수분함량이 적었으며, 시금치는 여름에 가을에 비해 수분함량이 많았으며 가을, 겨울, 봄, 여름의 순서로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2. 식품별 단백질 함량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식품에서는 2% 미만이었는데, 과일은 1% 미만이었으며 채소에서는 시금치, 꽃상추, 상추, 냉이, 콩나물, 깻잎, 양송이가 1%를 넘었다. 가을철 과일인 사과, 배, 귤의 경우 봄철에 가장 단백질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금치는 겨울철에 당근은 가을철에 단백질 함량이 많았고, 깻잎은 여름과 겨울에 많았고, 상추는 봄과 겨울에 단백질 함량이 더 많았다. 3. 지방 함량을 보면, 과일의 경우 귤이 사과나 배보다는 지방이 많았으며 채소에서는 콩나물이 1% 이상의 지방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에서 오이, 시금치, 깻잎, 풋고추, 브로콜리, 양송이는 겨울철에 더 많은 지방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비타민의 경우, 귤은 사과나 배보다는 많은 양의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가을과 겨울의 사과, 배, 귤에는 봄이나 여름보다는 다량의 아스코르빈산과 ${\beta}-carotene$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채소에는 과일보다는 전반적으로 더 많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을이나 겨울철의 배추나 무에는 봄과 여름철에 비해 더 많은 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채소의 경우에는 배추와 무만큼의 뚜렷한 계절별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채소 중에서는 시금치, 당근, 냉이, 깻잎, 미나리, 브로콜리가 다량의 ${\beta}-carotene$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깻잎과 당근의 함유량이 많았다. 호박, 시금치, 풋고추와 같은 채소는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에 ${\beta}-carotene$ 함유량이 많으나 식품에 따라 계절별 차이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과일과 채소의 경우에 제철에 다른 계절에 비하여 주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의 함량이 더 많으며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식재료라 할 수 있는 배추와 무의 경우에 가을과 겨울에 더 많은 양의 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을 함유하므로 경제적으로 가격도 싼 제철에 과일과 채소를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된다.

Grapefruit Seed Extract와 Ascorbic Acid의 혼합 처리가 콩나물 변패 미생물과 저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and Ascorbic Acid on the Spoilage Microorganisms and Keeping Quality of Soybean Sprouts)

  • 박우포;조성환;이동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86-1093
    • /
    • 1998
  • The antimicrobial effect of mixed solutions of grapefruit seed extract(250ppm) and ascorbic acid(1%) on the spoilage microorganisms such as Staphylococcus epiderm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syringae, Candida albicans and Corynebacterium xerosis isolated from the spoiled soybean sprouts were investigated. Cell wall and membrane were partially destroyed and the contents of the destroyed cell were exuded after treatment. Packages with 30 m cast polypropylene(CPP), 16 m polyolefin(RD 106) and 10 m high density polyethylene(HDPE) were applied for soybean sprouts dipped in mixed solutions respectively.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packages were dependent on the kind of films during storage at 5oC.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ixed solutions was maintained for 5 days at CPP package. Package with HDPE showed a severe browning than the others after 5 days. Ascorbic acid content of mixed solution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for each package.

  • PDF

경주마(競走馬) 혈청(血淸)의 총단백질(總蛋白質) 및 Ascorbic Acid 함량(含量)에 관하여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and Total Protein in Blood Serum of Race Horses)

  • 이강욱;용만중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7-140
    • /
    • 1973
  • The concentrations of ascorbic acid and total protein in blood serum of 57 healthy race horses (17 males and 40 females) were observ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ascorbic acid concentration was $0.44{\pm}0.16$ mg/100 ml (SD) ranging 0.20-0.92mg/100ml and sex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2) The mean value of total protein concentration was $6.11{\pm}0.3$ g/170 ml(SD) ranging 5.6-7.0g/100 ml and their sex differences were significant(P<0.05); male $6.36{\pm}0.09$ (SE), female $6.13{\pm}0.06$ (SE). 3) Observ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protein and ascorbic acid content (${\gamma}$=+0.3) and a liner repression equation (y=0.123x-0.31) were obtained.

  • PDF

파, 부추 및 고들빼기김치 숙성 중의 Chlorophyll 및 그 유도체의 함량변화 (Changes of Chlorophylls and their Derivatives Contents during Storage of Green Onion, Leek and Godulbaegi Kimchi)

  • 이종호;김경업;김성희;정효숙;유영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71-1076
    • /
    • 1998
  • Threetypes of Korean traditional kimchi were prepared using green onion, leek or godulbaegi as raw materials and stored at 5oC and 20oC for 13 days. Changes in salt and ascorbic acid contents, pH and total acidi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the decomposition of chlorophylls and the production of their derivatives were investigated. For the all kimchi samples tested, salt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storage at both temperatures, whereas pH and total acidity were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Especially their remarkable changes were shown at the third day of storage. Ascorbic acid content was remained at high level in the leek kimchi for the experimental period at both storage temperatures, meanwhile godulbaegi kimchi retained the least amount of ascorbic acid. Chlorophylls were decomposed to pheophytin and pheophorbide during storage at both storage temperatures, and this phenomenon was apparent at the third day of storage. Reduction of chlorophylls and increasements of its decomposed products such as pheophytin and pheophorbide were the least in leek kimchi and the greatest in godulbaegi kimchi during storage at both temperatu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omposition of chlorophylls in kimchi and increasements of pheophytin and pheophorbid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scorbic acid content in kimch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