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stic mentalit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가구의 예술성에 관한 연구 -현대 아트 퍼니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tistic-quality of Furniture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Art Furniture-)

  • 최병훈;홍민정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2-53
    • /
    • 2011
  • This article aimed at identifying the concept of 'artistic-quality' of furniture and presenting the concept of 'artistic-quality based furniture creation' as the future direction of furniture design. For this, the authors approached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artistic-quality, and then examined the prospect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ncept by analyzing the tendencies in today's art furniture. In this light, 'artistic-quality' of furniture could be understood as a quality that triggers the designer's venturous spirit throughout the process of furniture creation, so that the designer keeps seeking for the novelty and innovation in his experimental design and process. The feature of the current tendencies of art furniture in terms of the expression and effect, which could explain this venturous spirit of artistic-quality based furniture creat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touch: Furniture that exemplifies the artistic-quality by specific texture of handmade quality, second, High-feeling: Furniture that arouses the new feelings and new concepts of furniture structure & function by experiments on new abstract forms of furniture, and third, High-mentality: Furniture that leads us to the sphere of subtle aesthetic recognition and mentality with its specific poetic expression and sensibility.

  • PDF

포토제니 혹은 사진 이미지의 이중성과 정신성 - 에드가 모랭의 논의를 중심으로 (Photogenie as the duality and mentality of the photographic image: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Edgar Morin)

  • 김호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34권
    • /
    • pp.71-92
    • /
    • 2014
  • This article presents a study on the concept of "Photogenie", which refers to the duality and mentality of the photographic image, with the viewpoint regarding the photographic image by Edgar Morin. First, we will look at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Photogenie". From the field of photography, the term "Photogenie" means objects that produce light, enough to impress the photographic plate. But theorists of cinema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ave changed the meaning of the term. For Louis Delluc, the "Photogenie" means the effect of union between the reproduction of real and artistic genius. For Jean Epstein, the "Photogenie" means mental quality, nonmaterial or inderterminable, of the photographic and cinematographic image. But Morin synthesized the arguements of Delluc and Epstein. For him, the "Photogenie" indicates both a double character of the photographic image and its mental quality. Then, based on this concept of "Photogenie," Morin said on particular aspects in the photographic image. Considering photography as a double in the anthropological sense, it puts emphasis not only the dual nature of the photographic image but also mental and spiritual quality. Combining the theory of the mage Henri Bergson and Jean-Paul Sartre, he builds his own theory of the mage that concerns both photography and cinema. In short, to Morin, the photographic image is a place where coexist absence and presence, the real and the imaginary, perception and memory, the material and mental, as well that a place of mentality which appear all our memories, hallucinations, dreams, imagination etc.

노신(魯迅)소설과 색채예술(色彩藝術) (Lu Xun's novel and art of color)

  • 배인수
    • 동양고전연구
    • /
    • 제32호
    • /
    • pp.51-69
    • /
    • 2008
  • 중국문학의 대가인 노신(魯迅)는 소년시절부터 이미 회화(繪畵)와 인연을 맺었고 미술에 정통한 견해를 가졌던 사람이었다. 본고에서는 노신(魯迅)이 자신의 소설 속에서 색채(色彩)를 이용해 어떻게 자신의 정감(情感)을 대입하고 표현해 내었는지 그의 색채(色彩)선택과 배합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실로 색채(色彩)는 인간의 심리구조와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다. 노신(魯迅)는 인물형상의 창조에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특정한 색깔을 민감하게 표현하고 있다. 작품속의 인물형상 중에서 '흑색(黑色)집단'의 존재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노신(魯迅)은 늘 엄중한 색채(色彩)를 사용하여 자신의 인물들을 강화시키며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의 생활처지와 성격을 짐작하게 하는 색조(色調)를 만들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예술심리 혹은 예술상의 뛰어난 선택은 노신(魯迅) 개인의 생활과 심리태도와도 연관이 있다. 노신(魯迅)는 색채(色彩)의 선택에 있어 어두운 색으로만 일관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한편으로는 흑암(黑暗)을 직시하면서, 한편으로는 희망을 전재로 밝은 색조(色調)의 도입에 부단히 노력하였다. 그는 현재의 세상이 암울하고 비참하여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이 암흑과 싸워나간다면 장래에는 희망찬 미래가 온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현재의 상황에서 과거를 말하려고 했고, 현재의 상황에서 다시 미래를 말하려고 하였다. 그래서 노신(魯迅) 특유의 복선구조(複線構造)를 이용하여 과거와 미래를 현실과 서로 대비(對比)시켜 서로를 보충하는 색채(色彩)구성을 연출했다. 노신(魯迅)의 이러한 색채(色彩)의 정교한 묘사는 자연히 소설 예술의 장점이자 노신(魯迅) 색채예술(色彩藝術)의 결정체이기도 하다.

공옥진 1인 창무극에서 무(舞)의 한국적 정서와 예술적 가치 분석 (In Gong Ok-jin's solo performance of Changmugeuk Analysis of the Korean sentiments and artistic values of the choreography)

  • 김지원
    • 공연문화연구
    • /
    • 제20호
    • /
    • pp.63-94
    • /
    • 2010
  • 아직 학계에서는 공옥진의 춤 인생에 관해 춤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그녀의 인생은 타고난 예인의 집안에서 나고 자란 소질과 풍부한 감성, 각설이패시절과 유랑예인집단에서의 걸립 공연 당시의 애환, 창무극 활동기에 겪었던 <병신춤>의 위기와 극복, <동물춤>으로의 전환, 그리고 투병생활을 하며 망가진 몸을 극복하며 <환자춤>이라는 공연을 하기까지 삶은 그리 관대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녀의 삶의 질곡은 늘 예술적 발로가 되었고, 예술은 그녀가 살아가기 위한 위안이자 큰 원동력으로 작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예로부터 악가무(樂歌舞) 일체 형식이란 우리민족 고유 예술의 특성에 있어 무(舞)는 음악과 노래의 비중에 비해 다소 부차적인 몸짓 예술로서 존재한 것만은 사실이다. 공옥진의 창무극에서 해학적인 재담과 판소리에 이어 독창적인 춤사위는 몸짓 행위하나하나에 무엇보다 집중하고 있다. 무엇을 전달하고자 그리도 원초적인 애를 쓰는지, 말보다 앞선 제스처와 끊임없이 이어지는 연기에는 무엇보다 춤이라는 의미를 각인시키며 춤의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한다. 특히 공옥진의 <병신춤>이라 부르는 춤은 역사상 유례가 없는 것으로, 무엇이 한국인의 정서에 부합되어 몸짓언어로 발화되며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해서는 우리의 원초적인 정서를 공감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옥진 1인 창무극에서 무(舞)의 독창적인 형태를 고찰해보고 한국적 소재와 전통의 계승방식에 있어서 우리전통춤의 독자적인 정서가치를 나름대로 정리하는 수준에서 연구해 본 것이다.

한국 모던 걸의 패션 스타일 연구: 실존 인물과 영화 주인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Modern Girl Fashion Style: Focused on Actual People and Film Heroine)

  • 양정희;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2호
    • /
    • pp.118-135
    • /
    • 2015
  • This study probed into the fashion of modern girls between the 1920's and the 1930's who led the mentality and fashion of women as the progenitor of the alpha girl in Korea. For this, the fashion of actual people who received attention as modern girls in various occupations and that of modern girl heroines reinterpreted in films were examined. Methods included the theoretical study based on fashion related newspaper articles at the time, specialized publications, advance researches, and internet data and the empirical study that involved contents analysis centering on visual data. The Western women's fashion between the 1920's-1930's was dominated by the garçonne look to promote women's entry into society and competition against men and the practical and mature long and slim look due to the influence of economic recess. Korean people also adapted Western clothes following Western fashion while also modified the traditional clothes and wore modified Korean clothes. The fashion of 5 actual modern girls of Korea and that of 3 film heroines were examined. The fashion of actual people most well represented the fashion trends at the time and that they used fashion as the means to express their mentality and their artistic propensity and professionalism were expressed through fashion. On the other hand, the fashion of film heroines substantially expressed various occupa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and reflected trendy clothes and cosmetics, and it showed sexy and romantic fashion trend due to the influence of modern trends and reinterpretations.

추사(秋史) 서예술(書藝術)의 심미안(審美眼) 연구(硏究)- 특(特)히 문인화(文人畵) 정신성(精神性)을 중심(中心)으로 (The review of Aesthetic Eye for Chusa, Kim jeong hee's calligraphy arts- Especially, Focused on the spirituality of literati paintings)

  • 권윤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83-291
    • /
    • 2020
  • 추사는 우리 문화역사에서 진주와도 같다. 그의 불우했던 시대적인 환경이 그를 더욱 더 정진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그의 예술은 찬란한 꽃을 피울 수 있었다. 그는 명문가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20대 약관의 시기에 이미 청조 문화의 당대 거장인 옹방강·완원과의 만남을 통하여 자신의 학문적 세계를 넓게 확립할 수 있었다. 특히 그가 유배생활을 했던 적거지(謫居地)에서의 서예술활동은 추사체를 확립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세한도를 그림으로서 그의 문인 정신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수많은 서신을 통하여 그의 문화·예술·사상도 살펴볼 수 있다. 나아가 청대의 고증학을 바탕으로 실사구시의 사상과 철학도 살펴볼 수 있다. 본고는 추사의 문인예술에 대한 심미안(審美眼)을 세한도(歲寒圖)·불작난도(不作蘭圖) 등을 통하여 정신성 측면에서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이는 추사 예술의 본질이 되는 심미안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영화 <궁합>에 나타난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표현 (Embodiments of Traditional Cultures in South Korean Films : Taking The Princess and the Matchmaker as an Instance)

  • 진역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3-62
    • /
    • 2019
  • 최근 몇 년 동안 한국 영화는 세인이 다 알고 있는 성취를 거두었다. 예술적으로는 국제영화제에서 빈번하게 수상을 하였고 상업적으로는 아시아는 물론 전세계의 영화시장을 신속하게 점령하였다. 높은 입소문과 함께 흥행가작들이 쏟아져 나와 영화 관람 붐을 일으키고 문화 현상을 형성하여 "한류"문화의 중요한 힘이 되었다. 이런 상황은 한국 정부의 문화정책이 대대적으로 뒷받침한 덕분이기도 하지만, 한국 영화인들의 높은 문화적 자각에도 관계된다. 바로 한국 영화가 보여주는 한국 문화가 동양의 문화적 정취를 담아 관중들의 사랑을 받고 세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 홍창표 감독이 연출하고 심은경, 이승기 주연의 한국 로맨스 코미디 <궁합>은 2018년 개봉하였다. 영화는 조선시대 최고의 기예를 가진 역술가 서도윤이 궁합풀이를 통해 송화옹주를 위해 부마를 선택하여 혼인을 해결하고 연이는 가뭄으로 인한 민원을 회복하여 나라 위기를 해결하는 이야기를 썼다. 이 논문은 궁합의 예를 들어, 문화의 물질적 측면과 제도적, 행위적 측면, 심리상태적 측면에서 영화 속 표현의 "팔자", "합혼(閤婚)"등의 전통풍속과 이런 풍속 뒤에 내포된 음향오행문화의 관념을 분석하고 전통문화가 영화라는 현대 문화 예술 형식에서 보여 지는 방식, 방법, 규율을 탐구함으로써 더 나아가 세계화 시대에 어떻게 하면 더욱 자각적이고 자신 있게 서로 다른 인류문명에 대해 파악 할지에 대해 탐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