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rangements

검색결과 1,212건 처리시간 0.023초

Factors Associated with Use and Types of Multiple Concurrent Care and Education Arrangements in Early Childhood in South Korea

  • An, M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81-92
    • /
    • 2014
  • This paper explores factors associated with multiple concurrent care and education arrangements in early childhood in South Korea. It draws on a subsample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Results show that about one-fifth of the families utilized multiple arrangements for their first preschool child. The primary non-parental option in multiplicity was nurseries or kindergartens. Home care and education options such as home study materials were found to be most prevalent secondary non-parental option, followed by services at private institution as well as relative care. Children's age, care cost, non-parental care time and time constraint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incidence of multiplicity for the first preschool child while family income and cost constraints were negatively associated. As a secondary option in the multiplicity, services at private institutions increased with children's age, care cost and when the grandparents live far from the parents' house. Home care and education utilization was found more among mothers with low degree of time constraints. Utilization of relative support decreased with the children's age and meant lower care cost and increased with mother's employment, fathers' education, family income, cost constraints and when grandparents live nearby. This paper, based on the associated factors, suggests how issues of children enrichment and constraints might be related to the multiplicity.

멀티에어컨의 연결 배관길이의 변화에 따른 운전특성 변화 (The Variation of Multi Air Conditioner Operation Characteristics with the Arrangements of Connection Pipe Lengths)

  • 박병덕;하도용;정백영;고재윤;임장순
    • 태양에너지
    • /
    • 제20권4호
    • /
    • pp.45-52
    • /
    • 2000
  • Multi A/C is consisted of one outdoor unit and several indoor units. When the Multi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we have to be cautious of the length of pipe arrangements. When the pipe arrangement is installed with unbalance or too long, there can be cooling capacity losses and low EER.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about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of Multi Air conditioner varying the length of pipe arrangements. If the pipe arrangement of the system is 15m, the cooling capacity and EER were decreased 0.8% and 1.3%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ase when pipe arrangement is 5m. In case of 25m, the cooling capacity and EER were decreased 10.7% and 12.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ase of 5m. When the length of pipe is not same each other, it is profitable to make the pipe length of highest capacity indoor unit shortest.

  • PDF

공동주택 주동 배치유형에 따른 주거환경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일조 및 조망환경성능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fficiency by Arrangement of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daylight and view environment -)

  • 최두성;도진석
    • KIEAE Journal
    • /
    • 제9권6호
    • /
    • pp.57-64
    • /
    • 2009
  • To make a prediction for a change of residential environment caused by the building code in Seoul which includes loosening the distance between multi-residential buildings, proposals of the four main building arrangements by analyzing examples were selected and then, amount of daylight and view efficiency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for the proposals.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arrangements but, when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was applied 0.8H as the least, residential environment like daylight and view efficiency per unit significantly decreased in quality. Particularly, for the middle stories(6-15) and the high stories(16~24), when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decreased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1.0H, to 0.8H, the analysis indicated that 28% of daylight and 7% of view efficiency were reduced. In the building arrangements, an order of the best residential environment was followed in this sequence; balanced arrangement of flat type as the best, combined arrangement between L-shape and tower types, balanced arrangement of tower type, combined arrangement between flat and Y-shape types, grid arrangement of flat type, and combined arrangement between Y-shape and tower types as the least.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A Case Study of IT-SMEs in Thailand

  • Tanlamai, Intara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4권3호
    • /
    • pp.23-49
    • /
    • 2017
  • This paper is part of the dissertation for an MSc in Project Management and Innovation of Strathclyde Business School The research aims at understanding how IT-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Information Technology Business) implement and use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Flexible Working Hours (FWH/FWA) in their organisations. In-depth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from managers and business owners of 31 companies whose needs for Work-Life Balance varied. Results show that many factors positively influence IT-SMEs to use FWH/FWA. For example, customers and partners working at different work-hours, traffic congestions between home and office, and the general stereotype of IT personnel. However, the results also found several concerning factors that may hamper the success of FWH/FWA implementation. They include the inadequacy of management skills in tracking, monitoring, and assessing employee's real performance, contextual factors for Thai IT-SMEs, i.e. conflict resolution culture, IT people's protocol of communication exchanges, and shortcoming of technology infrastructure. The findings also show that many companies that had used FWA eventually stopped. Thus, a four-phase cyclical framework called PLIC (Purpose-Limitation-Implementation-Consequence) has been developed as an approach to FWH/FWA implementation.

Workplace Violence in Workers with Multi-Party Employment Arrangements: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 Yoon, Yeogyeong;Jung-Choi, Kyunghe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1호
    • /
    • pp.93-98
    • /
    • 2022
  • Background: Despite a growing number of investigations exploring the health problems in precarious workers, there is still a paucity of studies investigating workplace violence in workers with multi-party employment arrangements (WMPEAs).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ing the prevalence of workplace violence between non-WMPEA and WMPEA. Methods: 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were used. The study subjects were employees aged 20-74, with 26,239 non-WMPEA and 1,556 WMPEA. WMPEA included temporary agency workers and workers providing outsourced services. Workplace violence including verbal abuse, unwanted sexual attention, threats, and humiliating behaviors were used as outcome variables. The odds ratios of risk of workplace violence were calculat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of workplace viol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WMPEA. After adjusting for all covariates, the risk of workplace violence among WMPEA was still significant (OR 1.80, 95% CI 1.5-2.2) compared with non-WMPEA. The odds ratio of workplace violence among female WMPEA was 1.99 (95% CI 1.53-2.59),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male WMPEA (OR 1.52, 95% CI 1.18-1.96). Conclusion: We found that WMPEA were exposed to higher risk of workplace violence. Discrimination against WMPEA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management policy need to be corrected. It is also necessary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workplace violence in WMPEA and to make efforts to prevent violence.

Investigation of 180W separation by transient single withdrawal cascade using Salp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 Morteza Imani;Mahdi Aghai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4호
    • /
    • pp.1225-1232
    • /
    • 2023
  • The 180W is the lightest isotope of Tungsten with small abundance ratio. It is slightly radioactive (α decay), with an extremely long half-life. Its separation is possible by non-conventional single withdrawal cascades. The 180W is used in radioisotopes production and study of metals through gamma-ray spectroscopy. In this paper, single withdrawal cascade model is developed to evaluate multicomponent separation in non-conventional transient cascades, and available experimental results are used for validation. Numerical studies for separation of 180W in a transient single withdrawal cascade are performed. Parameters affecting the separation and equilibrium time of cascade such as number of stages, cascade arrangements, feed location and flow rate for a fixed number of gas centrifuges (GC) are investigated. The Salp Swarm Algorithm (SSA) as a bio-inspired optimization algorithm is applied as a novel method to minimize the feed consumption to obtain desired concentration in the collection tank. Examining different cascade arrangements, it is observed in arrangements with more stages, the separation is further efficient.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with increasing feed flow rate, for fixed product concentration, the cascade equilibrium time decreases. Also, it is shown while the feed location is the farthest stage from the collection tank, the separation and cascade equilibrium time are well-organized. Finally, using SSA optimal parameters of the cascade is calculated, and optimal arrangement to produce 5 gr of 180W with 90% concentration in the tank, is proposed.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탐색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실시된 일본 내각부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Changes in the work arrangements and new lifestyl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based on survey data from the Japanese Cabinet Office)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87-10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두 시기(코로나19 팬데믹 직후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의 일하는 방식, 지방 이주에 대한 관심, 생활만족도 등의 비교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자료는 일본 내각부에서 코로나19 팬데믹 확산 직후(2020년 5월)부터 4차례에 걸쳐 실시한 『코로나19 영향에 의한 생활의식 및 행동의 변화에 관한 조사』 데이터이다. 제1회 조사 및 제4회 조사에 모두 응답한 응답자 중에서 20세 이상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경권 거주자가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텔레워크 중심'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비율은 36.1%로 전국의 응답과 비교해서 높다. 둘째, 이들은 텔레워크 중심의 일하는 방식을 경험한 사람과 유연근무를 경험한 사람이 지방 이주에 대해 매우 관심이 있다는 응답이 출근 중심으로 일한 사람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텔레워크 경험자의 경우, 생활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서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에 감소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2년 후에는 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지방 이주를 촉진하면서 지역 활성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모색하는 돌파구로서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미주한인 노인이민자와 한국노인의 동거형태와 심리적 고통에 관한 연구 (Living Arrangement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Older Korean Immigrants and older Koreans)

  • 장미야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635-65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주 한인노인(older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과 한국에 거주하는 노인(older Koreans in South Korea)을 대상으로 동거형태(living arrangements)와 심리적 고통(psychological distress)과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이 두 나라의 노인 인구 설문조사는 60세에서 79세 사이에 해당하는 참여자(480명)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거형태와 심리적 고통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미주에 거주하는 '독거(living alone)' 노인의 26.4%와 '배우자와 살고 있는 노인(living with a spouse)'의 7.3%가 '심한'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한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의 20.0%와 '배우자와 살고 있는' 노인의 20.6%가 '심한'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계층적 다변량 분석은 미주 한인 독거노인과 한국거주 독거노인 모두 심리적 고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배우자와 살고 있는 노인과 다른 사람(living with others)과 살고 있는 미주 한인노인의 심리적 고통에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나 한국에 거주하는 노인은 유의미한 변수가 아니었다. 이 연구는 또한 미주 한인 독거노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한국거주의 '부부와 살고 있는 노인'과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와 네트워크(social networks)에 대한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과 한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상황들을 탐색함으로써 기존의 문헌에 기여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미주 한인노인과 한국 노인의 심리적 고통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가족계획과 보건사업의 통합시도 및 평가결과 (Review of Family Planning / Health Integration Efforts and Evaluation Results in Korea)

  • Bang, Sook
    • 한국인구학
    • /
    • 제10권2호
    • /
    • pp.58-81
    • /
    • 198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주거형태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인 Public Use Microdata(Samples PUMS)의 8% sub-sample을 이용하였다. 주거형태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인들로 동화과정(이민 온 연령과 영어구사능력), 경제적 요인 (지난 일년간의 개인수입과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여부), 건강상태(외출활동과 일상생활 활동능력), 그리고 민족 지역공동체 등이 포함되었으며, 나이, 성별, 교육, 결혼상태 등의 변인들을 함께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화과정과 경제적 여유는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의 단독주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건강과 한국 지역공동체는 주거형태에 통계적으로 일관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동화과정의 측정변수로서 이민연령의 효과는 배우자 유무에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한국 노인들의 단독거주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어구사 능력의 경우, 무배우자 노인들 중 영어구사능력이 높을수록 가족과 함께 살고 있었고, 유배우자 노인들에게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가족과 떨어져 사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무배우자 노인들의 경우, 이민연령의 효과 역시 순수한 의미의 동화과정이라기보다는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수혜하기 위한 자격조건과 한인지역 네트워트 파악을 위한 적응기간이라는 설명이 더 설득력이 있다. 배우자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보조적 보장소득의 혜택을 받고 있는 한국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두 세배 이상 단독주거를 하고 있었다. 일단 보조적 보장소득을 수혜하고 있는 노인들에게는 메디케이드, 푸드스탬프, 정부지원 월세보조금, 공공요금 할인 등 다양한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므로 대부분의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 노인들은 단순히 금전적인 수입의 측면뿐 아니라 그 외의 사회보장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보조적 보장소득의 수혜는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독립적인 삶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영주권자들에게는 전면 금지하는 새로운 사회복지법은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들에게도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 것이다. 본 논문은 영주권자 노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지만, 주거형태를 비롯한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해 보면 영주권자, 귀화 시민권자, 그리고 미국태생 노인들은 다른 성격의 집단들임을 보여주고 있다. 종래의 소수민족 노인들에 관한 연구들이 이민자 노인들을 영주권자와 귀화 시민권자의 구분없이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하고 분석해 왔던 것을 볼 때,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시민권의 유무가 주거형태에 끼치는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주거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ving Arrangement of Older Korean Noncitizens in the United States)

  • 이금룡
    • 한국인구학
    • /
    • 제20권2호
    • /
    • pp.99-134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주거형태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 미국 센서스 데이터인 Public Use Microdata(Samples PUMS)의 8% sub-sample을 이용하였다. 주거형태에 영향을 주는 주요변인들로 동화과정(이민 온 연령과 영어구사능력), 경제적 요인 (지난 일년간의 개인수입과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여부), 건강상태(외출활동과 일상생활 활동능력), 그리고 민족 지역공동체 등이 포함되었으며, 나이, 성별, 교육, 결혼상태 등의 변인들을 함께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화과정과 경제적 여유는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의 단독주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건강과 한국 지역공동체는 주거형태에 통계적으로 일관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동화과정의 측정변수로서 이민연령의 효과는 배우자 유무에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한국 노인들의 단독거주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어구사 능력의 경우, 무배우자 노인들 중 영어구사능력이 높을수록 가족과 함께 살고 있었고, 유배우자 노인들에게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가족과 떨어져 사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무배우자 노인들의 경우, 이민연령의 효과 역시 순수한 의미의 동화과정이라기보다는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수혜하기 위한 자격조건과 한인지역 네트워트 파악을 위한 적응기간이라는 설명이 더 설득력이 있다. 배우자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보조적 보장소득의 혜택을 받고 있는 한국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두 세배 이상 단독주거를 하고 있었다. 일단 보조적 보장소득을 수혜하고 있는 노인들에게는 메디케이드, 푸드스탬프, 정부지원 월세보조금, 공공요금 할인 등 다양한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므로 대부분의 보조적 보장소득 수혜 노인들은 단순히 금전적인 수입의 측면뿐 아니라 그 외의 사회보장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보조적 보장소득의 수혜는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의 독립적인 삶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영주권자들에게는 전면 금지하는 새로운 사회복지법은 재미 한국 영주권자 노인들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들에게도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 것이다. 본 논문은 영주권자 노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지만, 주거형태를 비롯한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해 보면 영주권자, 귀화 시민권자, 그리고 미국태생 노인들은 다른 성격의 집단들임을 보여주고 있다. 종래의 소수민족 노인들에 관한 연구들이 이민자 노인들을 영주권자와 귀화 시민권자의 구분없이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하고 분석해 왔던 것을 볼 때,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시민권의 유무가 주거형태에 끼치는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