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 analysis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1초

원두커피 향미 성분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포장재에서의 저장 차이 분석 (Analysis of Flavor Components of Coffee Beans in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ackaging Materials during Storage)

  • 유하경;이승욱;오재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95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커피 시장이 매년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커피 포장지의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지만 제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될 씰란트 층에 사용되는 PE 재질과 PP 재질이 커피 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Electronic nose)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PP와 PE 재질의 파우치에 커피를 담아 향기 패턴과 향 물질의 변화를 연구해 보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분 분석 결과, 커피의 향기 성분 분석에 적합한 지표 물질은 pyridine이었다. 추가적으로 온도($4^{\circ}C$, $25^{\circ}C$ and $40^{\circ}C$)와 탈산소제의 유무에 따른 향기 패턴 변화 역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미미하게나마 PP계열 포장재가 PE계열 포장재보다 보향성이 좋았으나 재질에 의한 성능의 변화는 거의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오히려 재질보다는 온도에 의한 향기 패턴 변화가 지배적이었다. 냉장 유통($4^{\circ}C$)이 가장 좋은 보관 온도였고 짧은 기간 내에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추출방법에 따른 솔잎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Determination of Aroma Components in Pinus densiflora (Pine Needles) Studied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이재곤;이창국;백신;권영주;장희진;곽재진;이문수;이계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1-168
    • /
    • 2006
  • 식물체의 향기성분을 분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headspace(DHS, RPHS)법, SPME법, SDE법, SFE법과 최근에 개발된 PDE법으로 솔잎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성분을 Ge/MS를 이용하여 총 65종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terpene류 25종, alcoholfb류 16종, carbonyls류 9종, esters류 6종, acids류 7종, esters 화합물이 2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Headspace(DHS, RPHS)법과 SPME 법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ethyl acetate, 2-ethyl furan, $\beta$-myrcene 등과 같은 저비점 휘발성 성분들이 많이 추출되었다. 반면에, 고비점 휘발성 성분들인 nerolidol, spathulenol, benzoic acid 등은 휘발 성분 추출시 열이 가해지는 SDE법, SFE법, PDE법 등에서는 확인되었으나 headspace법과 SPME법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6가지 추출방법에서 저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headspace(DHS)법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SDE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개발된 PDE법은 SDE법에 비해 추출효율 변에서 약간 떨어지나 전처리 방법이 간단하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시료를 분석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어육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nents in Eoyuk-jang)

  • 윤미경;최아름;조인희;유민정;김지원;조미숙;이종미;김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6-371
    • /
    • 2007
  • 어육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들을 용매추출을 이용하여 분리, 농축하였으며, GC-MS로 분석하였다. 총 36가지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11개의 aliphatic hydrocarbons, 4개의 acids, 2개의 ketones, 5개의 phenols, 7개의 alcohols, 1개의 pyrazine, 4개의 pyrones와 furanones, 2개의 miscellaneous components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acids인 but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어육장의 향기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용매추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분리 후 향추출물 희석분석법으로 flavor dilution(FD) $factor(Log_3$ FD)를 구하였다. 이 결과 어육장에서 총 20종의 향기활성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이 중 군덕내의 특성을 지닌 butanoic acid와 구운 감자향을 지닌 methional이 높은 FD factor를 보였으며, 이들 성분 외에 높은$(Log_3$ FD>7)를 나타내는 성분들로는 2-methyl-2-butanol(soysauce-like), 3-hydroxy-2-butanone(buttery), 2-furanmethanol(burnt sugar-like) 등이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어육장을 시료로 하여 휘발성 향기성분 및 향기활성 성분들을 GC-MS 및 AEDA법에 의해 분석함으로 어육장 특유의 향미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는 앞으로 고급화된 장류 제품으로서는 물론, 다양한 식품에서 조미소재로의 어육장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열탁착식 가스크로마토질량분석기에 의한 국내 산지별 백리향의 휘발성향기성분 (Volatile Aroma Compounds of Several Domestic Thymus quinquecostatus by Thermal Desorption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

  • 장매희;이광우;백정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20
    • /
    • 2011
  • 지역별로 자생하고 있는 백리향 지상부의 휘발성 향기 성분 및 방부성 물질인 phenols의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제주도 고산종, 제주도 중간산종, 경기도, 울릉도, 강원도 서식종을 TD-GC-MSD로 분석한 결과 제주도 중간산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62종의 물질이 조사되었으며 함량도 $7365.22{\mu}g/m^3$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또한 백리향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제주도 중간산종이 다른 조사지역보다 상대적으로 thymol과 carvacrol의 phenol성 물질이 다른 휘발성분에 비해 35.92%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Solid 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한 계피의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Aroma Compounds of Cinnamon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 이창국;이재곤;장희진;곽재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2-378
    • /
    • 2003
  • SDE 및 SPME를 이용하여 계피로부터 추출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GC/MSD 분석한 결과 terpenes 20종, alcohol 3종, carbonyl 5종, esters 2종으로 총 30개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trans-cinnamaldehyde (86.4%), cis-cinnamaldehyde(0.9%), hydrocinnamaldehyde (0.1%) 등의 carbonyl 화합물이 peak area% 기준으로 약 88.2%로 계피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물체의 향기성분 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SPME fiber 4종류를 비교 분석한 결과 terpen류 화합물들은 PDMS fiber에서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cinnamyl alcohol과 같은 다소 극성인 화합물의 경우 DVB/CAR/PDMS fiber와 PA fiber에서 추출 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SPME법에서 최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을 달리하면서 비교 분석한 결과 copaene, murolene, cadinene, cis-cinnamaldehyde 등의 area% 값은 온도와 시간이 커질수록 증가한 반면에 trans-cinnamaldehyde의 area% 값은 감소하였다.

전통 수산발효식품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Salt-Fermented Fishes)

  • 차용준;김진현;심진하;유대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9-272
    • /
    • 2020
  • Nowadays, two types, Yumhae and Sikhae methods, remained as traditional seafood fermentation methods in Korea. In this study, flavor compounds in two types of salt-fermented fishes made by Yumhae method such as anchovy Engraulidae sp., shrimp Caridea sp., squid Decapodiformes sp., big eyed herring Clupea sp., gizzard shad Dorosoma sp. and hairtail Trichiurus sp., and made by Sikhae method such as Alaska pollack Gadus Chalcogrammus and squid. Volatile compounds detected in all salt-fermented fishes were composed mainly of aldehydes (45), ketones (39), alcohols (45), acids (12), esters (47), N-containing compounds (43), aromatic hydrocarbons (37), S-containing compounds (26), furans (10), and miscellaneous compounds (40) in salt-fermented fishes made by Yumhae method. Meanwhile, alcohols (47), terpenes (38), S-containing compounds (22), carbonyl compounds (19 aldehydes, 18 ketones), esters (13), and acids (14). Aroma-act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in salt-fermented anchovy, shrimp and tuna (Thunnini sp.) sauce. Ethyl 2-methylbutanoate (candy/sweet) and 2-ethyl-3,5-dimethylpyrazine (nutty/baked potato-like) were predominant odorants in salt-fermented anchovy, whereas dimethyl trisulfide (cooked cabbage/soy sauce-like), 2-ethyl-3,5-dimethylpyrazine, and (E,E)-2,4-heptadienal (fatty/grainy) in salt-fermented shrimp, and dimethyl trisulfide, 3-methylbutanal (dark chocolate-like), and 3-methylthiopropanal (baked potato-like) in tuna sauce.

잎담배중 Duvatrienediol에 관한 연구 (Studies of Duvatrienediol in Tobacco Leaf (Nicotiana tabacum L.))

  • 지상운;안기영;이문수;박영수;정찬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9-167
    • /
    • 1992
  • It would be clear that the constituents of the leaf surface lipid is ye비 important as an evaluation index of tobacco leaf quality since the quality of tobacco specific aroma with leaf species depends on the contents of the lipid and the strength of the aroma is determined by the amounts of the lipid secreted. For the reason, a rapid and peproducible method to quantify DVT, which is a kind of lipid, has been studied. The biosynthesis procedure of DVT in leaf growing processes, and the volatile or decompositional characters of DVT in leaf drying processes were also discussed. In consequence, it might be possible to get the data available to the cultivation of better tobacco leaf and the manufacture of cigarettes with better aroma and tast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loroform/dichloromethane solvent was better than chloroform alone for DVT extraction. The extraction yields of the leaf surface lipid were about 5% 2. The extractives with dichloromethane were treated by silylation with BSTPa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VT was carried out using SE -54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It was found that rapid and reproducible data could be obtained from these methods. 3. In flue - cured tobacco species, DVT contents were $30.3\mu\textrm{g}/cm^2$ in the beginning stage of leaf drying processes and $12.1\mu\textrm{g}/cm^2$ corresponded to 30% levels of the beginning stage, in the end stage. 4. DVT contents in Burley mere 2 times as large as those in fluecured tobacco. DVT in the upper stalk position of leaf was 3 times larger than that in the lower stalk position. 5. DVT of tobacco leaves was decomposed by $SO_2$ gas or the sun light. The decomposition rate was largest in the sample used methanol as a extraction solvent.

  • PDF

국화과 허브류인 수입산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의 향기성분 비교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임성임;배정은;최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768-773
    • /
    • 2006
  • 유럽의 허브요법을 대표하는 캐모마일차와 국내산 국화차에 속하는 감국차의 휘발성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cdot}$동정하고 비교하였다. 캐모마일차의 휘발성성분으로는 cubebene(14.59%), ${\beta}$-elemene(4.88%), ${\delta}$-cadinol(1.54%)을 포함한 총 46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반면, 국내산 국화차에서는 santalol(6.25%), bornyl acetate(3.47%), farnesene(3.37%), 1,8-nonadiene(2.80%), caryophyllene oxide(2.77%) 및 thymol(2.16%) 등 총 45종류의 화합물이 동정 또는 추정되었다. 동정 또는 추정된 화합물 중 22종은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캐모마일차와 국화차에 공통으로 함유된 화합물 중 비교적 함량적으로 많이 들어있는 화합물은 4-terpineol, ${\alpha}$-terpineol, thymol, phenylacetaldehyde들이 었다.

발효 과일식초의 대사체 분석 및 향기 특성 (Metabolome Analysis and Aroma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 Vinegar)

  • 최찬영;박은희;류수진;신우창;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6-424
    • /
    • 2018
  • 강원도에서 생산된 과일을 사용하여 식초를 제조하여, 초산 발효에 의하여 변화되는 주요 대사체 및 향기 성분을 조사하였다. 머루 복분자 식초에서는 초산 발효에 의하여 ${\text\tiny{L}}$-alanine의 함량 변화가 가장 크게 변화하였으며, 초산은 향기 성분 전체 함량 중 4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초산 발효 후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오미자 막걸리 식초의 경우 초산발효에 의하여 linalool, hexanoic acid 등이 생성되었고 테르펜류 화합물이 41.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머루 복분자 식초의 경우와 유사하게 ${\text\tiny{L}}$-alanine의 함량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머루 복분자 식초에서는 ethyl acetate, 오미자 막걸리 식초에서는 감귤향을 내는 terpinel-4-ol, 꽃향기를 내는 ${\alpha}$-terpineol 등 테르펜류의 성분들이 각 식초의 향기 특성에 큰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삼채잎 향기 성분 분석과 항산화 및 항염 효과 연구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by Part of Allium Hookeri and Research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 신민철;정숙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63-270
    • /
    • 2021
  • 삼채는 Allium 속 식물로써, 항산화, 항염 및 항균 등에 대한 선행연구가 실시되어왔지만, 정유 추출로써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에 본 연구는 삼채 잎, 뿌리, 통 부위에 대한 정유 추출에 따른 GC-MSD, 삼채잎의 세포독성, 항산화, 항염을 확인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삼채잎, 뿌리, 통부위의 정유추출 수율은 0.01, 0.02, 0.01%로 확인되었고, GC-MSD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삼채잎 정유의 주요 성분은 Diallyl trisulfide(34.02%)와 Methyl allyl trisulfide(25.14%)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은 10%의 농도에서 NO 생성 39.69%억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88.26%를 보였다. 이를 통하여 삼채 잎 정유는 화장품 및 식품 산업분야에서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이 있는 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