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val reading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기록학과 읽기 '아카이브에서 기록읽기'라는 사건을 중심으로 (Archives and Reading)

  • 이영남
    • 기록학연구
    • /
    • 제75호
    • /
    • pp.249-297
    • /
    • 2023
  • 아카이브는 시민들이 아카이브 안에서 기록을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 당연한 말이기도 하지만, 열람을 통해 이미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카이브에서 기록 읽기>를 탐색하는 이 글은, 열람이 오히려 아카이브에서 다양하게 추진할 수 있는 기록읽기를 방해한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아카이브에서 기록읽기를 새로운 각도에서 볼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 대안적 논의로 제시한 것은 <이야기 형식의 기록읽기>이다. 이 글에서는 기록읽기에 적합한 이야기 형식을 찾기 위해, 시어터(theater)를 모티브로 삼았다. 시어터는 "공연, 동시에 공연을 하는 장소"의 뜻이다. 시어터에 주목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아카이브도 이야기 작업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아카이브는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록을 이용해 이야기 실천을 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기록이다. '기록을 기반으로 이야기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 이것이 다른 분야에서 할 수 없는 아카이브만의 특이성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아카이브도 자신의 고유한 이야기 실천방안을 가지고 사회 곳곳에서 전개되는 이야기 실천에 합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야기 형식의 기록읽기는 비단 이야기 작업의 효과만 내지는 않을 것이다. 아카이브의 본령인 기록이라는 이 존재에 대해서도, 그것이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알려줄 것이다. 이야기 작업은 사람들이 아카이브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록을 그들의 삶으로 수용하여 체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센터의 열람서비스 제공 절차 및 특징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dure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service Provision at Center of Archival Information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 남윤아;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50호
    • /
    • pp.177-229
    • /
    • 2016
  • 기록정보 서비스는 기록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이자 결과이며, 기록의 수요와 기록물을 연결시키는 일련의 활동들을 의미한다. 기록물의 지적요구를 정보공개 절차를 통해 제공하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 보장과 기록정보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열람프로세스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청구인 기록물 검색도구 및 열람제공자라는 속성들의 조화로운 순환이 선행되어야 정보공개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열람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특징에 관한 현상을 밝힘으로써 열람서비스 프로세스의 현안과 실제를 내부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둘째, 기록물 청구 및 검색과 제공의 과정에서 열람제공자-청구인-검색도구-기록물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관한 현상을 보여주며 셋째, 국가기록원 열람 프로세스 현안을 중심으로 총체적인 통합 검색도구에 관한 필요성을 제안하며 넷째, 열람제공자에게 실무적 측면에서의 기록정보 활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다섯째, 열람제공자의 인식과 태도에 따라 정보제공 품질에 주요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시사하는 데 있다.

일제 조선총독부의 문서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ves Management of $Chos\v{o}n-chongdokbu$)

  • 김상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113-139
    • /
    • 1994
  • Government archives are basic source materials in the historical study. Whereas, researches on the archives of Choson-chongdokbu have been very scant. Those archives contain information about both colonism of Japan and independent movement of Korea are comparatively well preserved at Government Archives and Record Ser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archives and to evaluate the system of archival management of Choson-chongdokbu. Based on the official gazette and archives of Choson-chongdokbu, this study has revealed the division of archival work, the writing and treatment of official document, compilation and preservation, and the procedure of use and destruc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s have been identified; 1. Archival regulations were prepared by the instructions of Choson­chongdokbu at the early days of its establishment. Inspite of several revisions, its basis was maintained until 1945. 2. Each agency had its own archival department instead of central archives. 3. The archival department of Choson-chongdokbu controlled the archival administration of headquarters and attached agencies. But the secret archives were managed by the secretarial department. 4. The writing and treatment of archives were done by the archival regulation made in 1911. 5. Each agency had set more or less different preservation period. 6. There were three ways of using archives, 1) the in-house reading 2) the loan 3) the transcriptions. The archives passed the preservation period were destroye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ed departments.

  • PDF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위한 기호론적 접근 (Semiotic Approaches to New Archival Methodology)

  • 이영남;조민지
    • 기록학연구
    • /
    • 제41호
    • /
    • pp.113-173
    • /
    • 2014
  • 최근 몇 년 동안 공공기관 외부에서 다양한 기록실천이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장을 가지고 진행되는 구술아카이브, 커뮤니티아카이브, 일상아카이브, 문화자원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등이나 담론 실천적 성격의 포스트모더니즘 아카이브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흐름을 '일상패러다임'으로 정리한 후, 여기에 적합한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살펴보았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호론적 접근을 취하면서 기록방법론의 필요성과 방향,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기록에 적용할 수 있는 기호학적 방법론을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록현장에서 기호실천이 어떻게 전개될 수 있을지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물론 이것은 하나의 사례라는 점, 그리고 공공기관에도 적용될 수 있는 기록방법론이라는 점을 밝혀둔다. 기록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논의가 되기를 바란다.

유튜브(YouTube) 채널을 통한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콘텐츠 활용방안 (The Utilization of the Archival Content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via YouTube Channel)

  • 박지영;백지연;김유현;오효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65-193
    • /
    • 2018
  • 국가기록원의 기록정보콘텐츠는 사회적 관심이나 열람 요청이 많은 주제에 대해 신뢰성 있는 기록물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이다. 그러나 기록정보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접근성의 어려움, 상세정보 부족, 사용 용이성과 흥미 유도성이 낮은 전달방식, 맞춤형 콘텐츠 부족 등의 이슈가 대두되었다. 이에 대한 타개책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YouTube) 채널을 통한 기록정보콘텐츠의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콘텐츠의 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외 유사 기관의 영상콘텐츠 활용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나아가 구체적인 유튜브 채널을 통한 기록정보콘텐츠 영상화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예시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콘텐츠의 인지도와 활용성이 제고되기를 기대한다.

Professional and Scholarly Writing: Advice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Academics

  • Cox, Richard J.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3권4호
    • /
    • pp.6-18
    • /
    • 2015
  • There has been an explosion of new research and writing about all aspects of the information disciplines. Nevertheless, both academics and practitioners often find it difficult to engage in successful writing strategies. Indeed, writing is hard work, and doing it in a way that leads to publication is an even harder task. Since reading is essential to good writing, the challenges of learning to write are obvious. In this essay, I am drawing on many years of experience in writing and publishing, as well as considerable reading of writers’ memoirs, advice books on writing, literary studies, and other perspectives on the experience of writing in order to offer a set of approaches that can be pursued over a lifetime of scholarship and practice. Writing is a craft or art to be learned, and learning demands paying attention to the audience, having clear objectives, being an avid reader, and possessing the ability to accept and learn from criticism. While 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scholars incessantly write for each other, there are large segments of the public and other disciplines who they ignore. Fortunately, the tools and resources for improving one’s writing are both broad and deep; discipline and realistic strategies are all that are required to improve one’s writing and, ultimately, to achieve success in publishing.

기록학과 쓰기 (Archives and Writing)

  • 이영남
    • 기록학연구
    • /
    • 제71호
    • /
    • pp.169-236
    • /
    • 2022
  • 이 글은 기록학의 관점에서 쓰기를 다룬 연구이다. 이론적인 접근보다는 정책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그래서 기록학이 지난 20년 동안 구축했던 기록관리와 쓰기를 연결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그것은 기록관리가 필요한 곳에서 쓰기는 어떻게 가능하며 그 기록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가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기록관리와 쓰기가 공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이 둘의 상호작용과 효과에 대해 탐구했다. 논의의 구체성을 위해 사례를 분석하며 논의를 전개했다. 첫째, 대통령기록과 쓰기의 사례이다. 대통령의 말을 기록화 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쓰기에 관한 것이다. 둘째, 시민기록과 쓰기의 사례이다. 시민사회 단체 활동가들이 아카이브 워크숍에 참여해 자기 단체의 기록물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쓰기에 관한 것이다. 쓰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다. 그런 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관계적 가치에 주목했다. 쓰기는 하나의 기록실천인데, 그 요지는 관계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일 것이다. 사람이 사회적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데에 요구되는 관계적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부탁, 안부, 관찰, 대화'에 주목했다. 기록관리와 쓰기의 공생적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될 경우 관계적 가치에 대한 탐구가 필요해진다.

기록과 기억의 재현 삼중의 미메시스로 실재읽기 (Representation of Collective Memory and Records : Reality Reading Based on Triple Mimesis)

  • 문향기;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69호
    • /
    • pp.153-187
    • /
    • 2021
  • 인간 삶은 '서사'로 재현되기도 하고, 삶의 과정에서 인간 스스로 '서사'를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서사'는 삶과 시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과거, 현재, 미래는 단절된 시간들이 아니다. 과거는 미래에 개방되어 있고, 미래는 과거의 의미를 규정하며, 과거는 현재의 삶의 지평으로 환원된다. '서사'는 이러한 열린 시간성을 전제로 형성된다. 기록은 그 자체로서 하나의 '서사'이며, 이 '서사'에 의해 과거의 시간이 재현된다. 또한 기록을 읽어내는 행위에 의해 기록의 '서사'가 아닌 새로운 '서사'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실재와 기록된 '서사'는 순환적이고 변증법적인 구조로 서로를 보완한다. 이글은 실재와 기록, 그리고 기억이 맺는 관계에 대해 현상학적 방법을 동원해 탐구한다. 탐구 도구로 폴 리쾨르의 해석학을 채택하여, 기록이 어떻게 실재와 관계 지워지고 해석되는지, 그리고 아카이브 정의에 복무하는 기억이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Articulations of Southeast Asian Religious Modernisms: Islam in Early 20th Century Cambodia & Cochinchina

  • Noseworthy, William B.
    • 수완나부미
    • /
    • 제9권1호
    • /
    • pp.109-132
    • /
    • 2017
  • This article is about the emergence of Islamic modernism among Cham Muslim communities in Cambodia and Cochinchina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Based on a combined critical reading of existing scholarship, historicized first-hand anthropological accounts, as well as archival sources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Cambodia and the Vietnam National Archives II, it argues accounts of modernists in these sources were either (1) cast through a French colonial reading of a Buddhist state lens and (2) cast through a Malay lens, based upon the Kaum Muda/Kaum Tua divide. First, it proceeds with a historical explanation of the emergence of Islam and the discourse used to describe Muslim communities in Vietnamese, French, and Cham language sources. Then, it turns the narrative toward an examination of the emergence of the "Kaum Muda" or "New Group" of reformist-minded modernist Muslims in early 20th century Cambodia. Delineating the networks of these intellectuals as they stretched across the border through Cochinchina, also highlights a pre-existing transnational element to the community, one that well predates current discussions of twenty-first-century transnationalism.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study of multiple language sources and historical methods, the articl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olylingualism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Muslims in Southeast Asia.

  • PDF

품질기능전개(QFD)를 이용한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 서비스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Archives Service Quality of Central Government Agencies Using QFD)

  • 이수진;이숙희;손은정;오효정
    • 기록학연구
    • /
    • 제58호
    • /
    • pp.263-297
    • /
    • 2018
  • 공공기관의 기록관은 업무 수행과정에서 생산되는 가치 있는 기록물을 수집 보존하고 동시에 이용자에게 적극적으로 서비스해야 할 책임이 있는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품질기능전개(QFD) 기법을 활용하여 기록관이 설치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기록관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QFD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앙행정기관 6곳의 기록관 내부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문헌연구와 기록연구사와의 면담을 수행하였다. 이후 도출된 이용자 요구사항의 중요도와 기술특성을 기반으로 품질의 집(HoQ)을 구축하여 기록관 서비스 기술특성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 서비스는 내부이용자의 기록 이용 가능성을 높이는 서비스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특히 기록물의 검색, 열람, 대출서비스 지원을 강화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