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chives and Writing

기록학과 쓰기

  • 이영남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 Received : 2021.12.31
  • Accepted : 2022.01.24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archives and writing. Writing is an big issue these days. Archival studies need to be interested with writings. It's not just about writing skills. Archival studies have to try archiving more good relationships. Symbiotic approach can be worth the efforts.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writing in archives workshop. Archives workshop is a good place where writing and archiving have a symbiotic relationships. Writing is an archival try to invite the values of 'requests, inquiring after, observes, conversation' to archives. These archival practices can contribute the symbiotic approach to constructed archives.

이 글은 기록학의 관점에서 쓰기를 다룬 연구이다. 이론적인 접근보다는 정책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그래서 기록학이 지난 20년 동안 구축했던 기록관리와 쓰기를 연결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그것은 기록관리가 필요한 곳에서 쓰기는 어떻게 가능하며 그 기록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가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기록관리와 쓰기가 공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이 둘의 상호작용과 효과에 대해 탐구했다. 논의의 구체성을 위해 사례를 분석하며 논의를 전개했다. 첫째, 대통령기록과 쓰기의 사례이다. 대통령의 말을 기록화 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쓰기에 관한 것이다. 둘째, 시민기록과 쓰기의 사례이다. 시민사회 단체 활동가들이 아카이브 워크숍에 참여해 자기 단체의 기록물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쓰기에 관한 것이다. 쓰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다. 그런 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관계적 가치에 주목했다. 쓰기는 하나의 기록실천인데, 그 요지는 관계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점일 것이다. 사람이 사회적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데에 요구되는 관계적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부탁, 안부, 관찰, 대화'에 주목했다. 기록관리와 쓰기의 공생적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될 경우 관계적 가치에 대한 탐구가 필요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금연 외 88명 (2015). 시가 뭐고? 서울: 삶창.
  2. 강봉수 외 118명 (2016). 콩이나 쪼매 심고 놀지머: 칠곡 할매들 시를 쓰다. 서울: 삶창.
  3. 문재인 (2011). 문재인의 운명. 서울: 가교.
  4. 안산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 (2021). 안산에 사는, 당신의 이야기. 안산시마을만들기 지원센터.
  5. 엄기호 (2014). 단속사회. 파주: 창비.
  6. 윤태영 (2014a). 기록. 서울: 책담.
  7. 윤태영 (2014b). 윤태영의 글쓰기 노트. 서울: 책담.
  8. 윤태영 (2016). 대통령의 말하기. 고양: 위즈덤하우스.
  9. 이연창 (2022). 관계형 아카이브 플랫폼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 기록정보과학대학원.
  10. 이영남 (2019). 대통령기록혁신의 과정과 의미: 참여정부 대통령기록혁신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No.9.
  11. 조영삼 (2011). 한국의 대통령기록관리 제도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 기록정보과학대학원
  12. 최문철 (2019). 텃밭농사와 기록농사. 민들레, 124권.
  13.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 (2021). 마을만들기 길라잡이: 기본편. 홍성: 그물코
  14. Lane, Rick (2006). Power, Sex, Suicide: Mitochondria and the Meaning of Life (Secon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김정은 (2009). 미토콘드리아. 뿌리와 이파리)
  15. Margulis, Lynn (1998). Symbiotic Planet a New Look At Evolution. Trafalgar Square(이한음 (2007). 공생자 행성. 사이언스북스).
  16. Rosenberg, Marshall B. (2015). Nonviolent Communication: A Language of Life(3th ed.). Encinitas: Puddle Dancer PRESS(캐서린 한 (2017). 비폭력대화. 바오).
  17. Fromm, Erich (2006) The Art of Love(Anniversary ed.).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황문수 (2009). 사랑의 기술. 문예출판사).
  18. Ketelaar, Eric (2021). Communities and the duality of digital curation(에릭 케틀라르 (2021). 디지털 큐레이션과 공동체: 인간과 아카이브의 상호 구성. 한국기록과정보.문화학회. 기록과 정보.문화연구, 13권).
  19. Illich, Ivan, & Sanders, Barry (1989). ABC: Alphabetization of the Popular Mind. Vintage (권루시안 (2016). ABC, 민중의 마음이 문자가 되다. 문학동네).
  20. Schattschneider, E.E (1960). The Semi-Sovereign. Holt, inehart and Winston(현재호외 (2008). 절반의 인민주권. 후마니타스).
  21. Schumacher, E.F. (1979). Good Work. HARPER COLOPHON BOOKS(박혜영 (2011). 굿 워크 Good Work. 느린 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