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ied questions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적 선행경험이 산수학습에 미치는 인지적 효과 (Cognitive Effects of Mathematical Pre-experiences on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이명숙;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93-107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out teaching-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mathematical abilities of the 1st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by investigating cognitive effects which mathematical pre-experiences given intentionally by teachers have on children's learning mathematic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In learning effects through mathematical pre-experiences given intentionally by teachers. 1)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pre-experiences and children without them in Mathematics Achievement Test\ulcorner 2)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pre-experiences and children without them in Transfer Test for learning effects\ulcorner For this study, a class with 41 children in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Myon near Chong-ju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lass with 43 children in G elementary school in the same Myon was selected as a control group.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to this study. To give pre-experiences to the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their classroom was equipped with materials for pre-experiences, so children could always observe the materials and play with them. The materials were a round-clock on the wall, two pairs of scales, fifty dice, some small pebbles, two pairs of weight scales, two rulers on the wall, and various cards for playing games. Pre-experiences were given to the children repeatedly through games and observations during free time in the morning (00:20-09:00) and intervals between periods. There was a pretest for homogeneity of mathematics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and wer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30 items) and Transfer Test (25 items) for learning effects as post-tes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retest on April 8 (control group), on April 11 (experimental group) and from th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and Transfer Test on July 15 (experimental group) and on July 16 (control group). T-test was used to analyz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pretest, there was not a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M=17.10. SD=7.465) and the control group (M=16.31, SD=6.974) at p<.05 (p=0.632). (2) For the question 1. i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M=26.08, SD=4.827) and the control group (M=22.28. SD=5.913) at p<.01 (p=.003). (3) For the question 2. in the Transfer Test for learning eff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M=16.41, SD=5.800) and the control group (M=11.84, SD=4.815) at p<001, (p=.000).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btain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mathematical pre-experiences given by teacher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transfer in learning mathematics. Second, games. observations, and experiments given intentionally by teachers can make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s rich and various, and are effective in adjusting individual differences for the mathematical experiences obtained before they entered elementary schools. Thir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ive mathematical pre-experiences with close attention in order to stimulate children's mathematical interests and intellectual curiosity.

  • PDF

세 자녀 이상 출산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자체에서 시행한 무료 한약 지원 사업의 만족도 조사 - 일개 한방병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ree Herbal Medicine Support Program for Mothers with More Than Three Children)

  • 김수현;이은규;최유진;전영선;조은진;고홍제;유재희;박경미;조성희;양승정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97-108
    • /
    • 2018
  • Objectives: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ject of providing free herbal medicines to mothers living in Suncheon who gave birth to more than three. Methods: Using the online survey tool Survey Monkey, the mother was sent a questionnaire in a cell phone text to answer the questions on their cell phones. The mothers' contact information was based on the application form for a woman with three or more children, and a total of 27 people were surveyed and 20 responded. Results: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51 percent,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100 percent, and the average was 86 percent. Conclusions: A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ree herbal medicine support program is generally high,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business continuously. And if othe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is applied, more positive effect can be expected.

초·중등교육에서의 플립러닝 연구사례 분석 (A Study on Cases for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K-12 Education)

  • 이정민;박현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19-3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 초 중등교육에서의 플립러닝 설계모형 및 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플립러닝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6년간 국내 외 학술지에 게재된 플립러닝 논문 14편을 대상으로 교수-학습활동을 분류하고, 플립러닝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플립러닝 설계모형으로는 ADDIE 모형을 적용한 플립러닝 모형, 8C모형 등이 제시되었다. 둘째, 교실수업 전 활동으로는 강의비디오 시청, 강의노트 작성 등이 이루어졌고, 교실수업 초기에는 사전학습 확인 활동이, 중기에는 개별 및 협력활동이, 후기에는 퀴즈 및 학습정리 활동이 이루어졌다. 교실수업 후에는 과제 및 질의응답이 수행되었다. 셋째, 교수자가 강의비디오를 제작하는 경우 Screencast-o-matic, Explain Everything 등을 활용하였으며, YouTube나 Phet같은 온라인 웹사이트에 게시된 콘텐츠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플립러닝은 학습자의 학업성취,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 등의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플립러닝 설계 모형, 교수학습 활동유형 및 강의비디오 제작 방식을 분석하여 교수자가 플립러닝을 준비 및 실행할 때 참고할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집단상벌점제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Collective Reward and Punishment Marks System o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Focusing on the Primary-school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 이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18-528
    • /
    • 2013
  •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지도 과정에서 체벌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는 상벌점 제도를 도입하여 적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대체체벌로서의 상벌점제 역시 여러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개인적 상벌점 제도를 개인이 아닌 집단에 적용하여, 새로운 대체체벌인 집단상벌점제에 대한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벌점제는 학교적응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대상자 특성별로 파악하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학년의 경우에는 학교적응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5, 6학년의 경우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보다는 하위권인 학생의 경우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상자별 특성에 따른 집단상벌점제의 효과성을 유의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개입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소셜 게임 중독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Social Games Addiction)

  • ;송승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1호
    • /
    • pp.223-252
    • /
    • 2015
  • 본 연구는 소셜게임중독에 대한 연구 경향과 특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살펴보고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61개의 연구논문을 선택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갖고 있다. 1) 주요 연구 목적과 방법론은 무엇일까? 2) 어떤 연구가 가장 높게 인용이 되었을까? 그 결과, 1) 소셜게임 중독에서 가장 많이 연구한 주제는 소셜게임중독을 평가함에 의한 효과성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2) 조사 혹은 평가 형태의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선호하는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실험법이었다. 3) 소셜게임 중독 연구 대상은 주로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피험자로 선정되어 연구하였다. 4) 소셜게임 중독 연구는 인문,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빈번하게 연구하였다. 5) 가장 높게 인용한 논문은 영향을 분석하고 모형을 설계하여 소셜게임중독의 효과를 평가하는 효과성 연구에 치우쳐 있다. 그래서 소셜게임중독에서 주요 논쟁은 이전 연구를 보완하고 현재 연구분야에서 더 깊은 학술적 논쟁을 추구하는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중요한 관점에서 소셜게임 중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소셜게임 중독과 관련된 연구자와 교육자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통사고 긴급통보시스템 도입을 위한 지불의사액 산정방안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alculation Methods on Willingness to Pay for Introduction of Emergency-call System)

  • 이윤정;도명식;장택영;한대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50-5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가치추정방법의 하나인 조건부 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 CVM)을 이용하여 교통사고 긴급통보시스템 도입을 위한 지불의사액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이중양분선택법 질문양식을 이용하여 긴급통보시스템에 대한 이용자들의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 WTP) 추정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경우 지불의사액 산정에 사용되는 질문 유형별 분석 모델별로 지불유무에 따른 절단데이터가 다르게 처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중양분 선택법으로 구성된 절단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모형별 지불의사액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약 500부 수준으로 응답자의 지역적인 편차(bias)가 반영되지 않도록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연령대별 편차를 고려하기 위해 2010년 인구주택 총 조사 결과를 참조하여 자료를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더 나은 자료의 해석을 위해 생존분석, 다중회귀분석, 토빗분석 등 다양한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게임의 혜택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평가 -Q 방법론의 적용- (Consumers'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Benefits of On-line Game -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

  • 남수정;황혜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9-135
    • /
    • 2007
  •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이 다른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와 비교하여 어떠한 혜택을 제공하는지를 확인하고자, 온라인 게임 소비자의 주관적 판단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질적 연구 방법인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게임 소비자가 추구하는 혜택의 유형이 총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 번째 유형은 '커뮤니케이션 추구 유형'으로 온라인 게임에서 만나게 되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도록 하는 주된 혜택 요인으로 생각하는 집단이다. 두 번째 유형은 '재미 추구' 유형이다. 게임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기능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재미와 관련된 오락적 기능이다. 세 번째 유형은 '성취감 추구' 유형으로 게임이 단순히 유희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게임에서 자기 자신의 가치를 느끼고자 하며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 때문에 게임을 이용하는 집단이다. 네 번째 유형은 '현실탈피 추구' 유형으로 게임의 가상세계에서 받을 수 있는 현실과는 다른 느낌을 즐기는 집단으로, 복잡한 현실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인다. 즉 여러 가지 현실적 제약이 존재하지 않는 가상세계를 즐기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이 여가 활동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점에서 과연 온라인 게임을 통해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 그 혜택 추구의 유형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온라인 게임이 현대 사회에서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서비스이며 온라인 게임에 어떠한 시각으로 접근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환경 소송과 국제투자중재 - 쉐브론 사건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Treaty-Based Investor-State Arbitration and Environmental Litigations with Specific Reference to Chevron/Ecuador Litigation)

  • 강병근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5권4호
    • /
    • pp.3-23
    • /
    • 2015
  • The Chevron saga including Chevron/TexPet v. Ecuador, PCA Case No. 34877(hereinafter referred to as "Chevron I") and Chevron/TexPet v. Ecuador, PCA Case No. 2009-23(hereinafter referred to as "Chevron II") started out of domestic litigations between TexPet and Ecuador in the early 1990s. In Chevron I, the Tribunal decided that Article 2(7) of the U.S.-Ecuador BIT on effective means of provision was breached because of undue delays in the seven legal proceedings TexPet had brought against Ecuador in respect to contractual obligations. In Chevron II, it was contended that through the actions and inactions of the judiciary and the executive, Ecuador breached her several obligations under the BIT. Ecuador objected to the jurisdiction of the Tribunal because TexPet's investment was terminated in 1992, and because Chevron is not a party to the 1995 Settlement Agreement and 1998 Final Release. In its Interim Award on Jurisdiction and Admissibility, the Tribunal applied a prima facie standard to the facts alleged by the Claimants but denied by the Respondent, and decided that questions in respect of the Respondent's jurisdictional objections should be joined to the merits under Article 21(4) of the UNCITRAL Arbitration Rules. In the merits phase of Chevron II, the Tribunal divided the merits of the Parties' dispute into two parts, entitled "Track 1" and "Track 2". In its Partial Award on Track 1, the Tribunal decided that Chevron is a "Releasee" under the 1995 Settlement Agreement. In a decision on "Track 1B", the Tribunal decided that the Lago Agrio complaint cannot be read as pleading "exclusively" or "only" diffuse claims, and that, to this extent, the Claimants' reliance on the 1995 Settlement Agreement as a complete bar to the Lago Agrio complaint must fail, as a matter of Ecuadorian law. The Tribunal maintained the position that the Parties' disputes on both merit and jurisdiction should be reserved for Track 2. It remains to be seen how the Tribunal addresses the Claimants' allegations of multiple denials of justice under international law against the judgments of the Respondent's Courts, together with the Respondent's jurisdictional objections in Track 2 of the arbitration.

앙부일구(仰釜日晷) 활동에서 드러난 탈북 학생들의 과학 학습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Angbuilgu Activity)

  • 이지혜;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4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과학 소재인 앙부일구 과학 활동에서 나타나는 탈북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과학 학습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우리는 탈북 청소년들과 다른 교육적, 문화적 배경과 연령을 가진 다른 두 개 집단을 비교했다. 본 연구에 적용된 앙부일구 프로그램은 시간에 대한 의미 있는 질문, 일상생활 지식, 한국 전통 과학 지식, 서양 현대 과학 지식을 포함한다. 또 수업 과정은 교사와 학생 간 상호 작용과 실험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이 프로그램은 탈북 청소년 집단, 초등 과학 우수아 집단, 고등 과학 심화 집단의 세 집단에 적용 후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탈북 청소년들의 과학 학습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청소년들에게 시간의 의미는 생활속에 녹아 있는 자연 그 자체다. 그들은 자연의 시간에 익숙하고 생활 경험이 풍부하다. 둘째, 탈북 청소년은 보완적이고 배려하는, 그리고 인간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는 과학을 선호한다. 이는 새롭고 실용적인 과학을 선호하는 다른 집단들과는 대조적이다. 셋째, 탈북 학생들은 과학 개념 지식이 부족한 반면 일상생활 지식은 풍부하다. 이들의 언어적 표현도 과학적이기 보다는 일상적이다. 넷째, 탈북 학생들은 과학적 사고보다는 일상적 사고에 익숙하다. 이 결과를 통해 한국 전통 과학 소재의 과학 활동 프로그램이 탈북 학생들에게 새로운 과학 지식과 문화적 자긍심을 주고,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의 전통 과학 소재는 탈북 학생과 우리 과학 교육 과정의 간문화적 장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중지능에 기초한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 구지혜;박성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69-9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정규 국어수업시간에 적용 가능한 다중지능에 기초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교실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대전시에 위치한 M초등학교 3학년 1개 학급 실험집단(남자 13명, 여자 16명, 총 29명)에 프로그램을 전개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3학년의 1개 학급 통제집단(남자 14명, 여자 15명, 총 29명)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다중 지능에 기초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다중지능과 자기효능감, 성취동기가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다중지능에 기초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은 다중지능과 자기효능감, 성취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언어와 논리-수학적 지능만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학교교육 현장의 개선에 시사점을 안겨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