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oB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4초

몰로키아 첨가 탈지대두grit(defatted soybean grit) 발효물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Cholesterol Improvement Effects of Fermented Defatted Soybean Grits Added to Corchorus olitorius)

  • 김현정;이성규;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75-380
    • /
    • 2011
  • DSG에 몰로키아 분말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이 콜레스테롤 개선효과를 가지는지 in vitro 및 in vivo에서 살펴보았다. B. subtilis NUC1균주로 발효한 탈지대두 grits 발효물인 FD와 탈지 대두 grit에 몰로키아를 5, 10%로 각각 첨가하여 발효한 FDC군의 콜레스테롤 흡착능을 살펴본 결과, 모든 군에서 70% 이상의 흡착능을 보였다. HepG2 세포를 이용한 apo-AI, apo-CIII의 분비능 측정에서는 FD군에 비해 몰로키아를 첨가한 FDC군에서 더 우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한편 FDC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체내 콜레스테롤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기본식이군(Con), 고지방식이군(HF) 그리고 고지방식이와 FD첨가군(HFFD), 고지방식이와 FDC 첨가군(HF-FDC)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그 결과, 혈장 내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 그리고 간 조직 내의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HF군에서 증가하였다가 HF-FDC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분변 내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배설량은 FDC 투여로 인해서 HF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간내 HMG-CoA reductase 활성은 HF군에서 증가되었다가, HF-FDC첨가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FDC는 콜레스테롤 흡착 및 조절능을 가지며, 그리고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조직 내의 지질 및 콜레스테롤 축적을 감소시켜 체내 콜레스테롤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구미강활탕의 성분 분석 및 LDL 산화억제 효능 연구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umiganghwal-tang and Its Anti-atherosclerotic Effect)

  • 김온순;서창섭;신현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5-176
    • /
    • 2013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imultaneous analysis for six compounds in Gumiganghwal-tang (GMGHT, Jiuweiqianghuo-tang) and to investigate the anti-atherosclerotic effects of GMGHT in vitro. Methods : The column for separation of six compounds was used Luna $C_{18}$ column and maintained at $40^{\circ}C$. The mobile phase for gradient elution consisted of two solvent systems, 1.0% acetic acid in water and 1.0% acetic acid in acetonitrile.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t a flow rate of 1.0 mL/min with pothodiode array (PDA) detection at 254, 280, and 320 nm. The injection volume was 10 ${\mu}L$.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MGHT were evaluated by measuri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n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The inhibitory effects on low-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were evaluated by the formation of thiobarbituric acid relative substances (TBARS), relative electrophoretic mobility (REM), and fragmentation of apolipoprotein B (ApoB)-100. Results : Calibration curves were acquired with $r^2{\geq}0.9998$. The contents of liquiritin, ferulic acid, baicalin, baicalein, glycyrrhizin, and wogonin in GMGHT were 1.784, 1.693, 37.899, 0.258, 1.869, and 0.034 mg/g, respectively. The GMGHT showe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RC_{50}$) against ABTS and DPPH radicals were 72.51 ${\mu}g/mL$ and 128.49 ${\mu}g/mL$. Furthermore, GMGHT reduced the oxidation properties of LDL induced by $CuSO_4$. Conclusion : HPLC-PDA is considered as an available and convenient method for quality control and standardization of GMGH and GMGHT has potentials on anti-atherosclerosis by anti-oxidative effect and suppressive effect on LDL oxidation.

황기맥문동탕이 에스트로겐 결핍 Rat의 체중 변화와 비만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wanggimacmundong-tang on Body Weight and Gene Expression in Obese Rats with Estrogen Deficiency)

  • 이혜인;유동열;유정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9-6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Hwanggimacmundong-tang extract (HM) on obese rats with estrogen deficiency. Method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ovariectomized rats as estrogen-deficient obesity model. Rats were grouped NC (Normal Control Group; sham operation group), OC (Obesity Control Group; estrogen-deficient group), HML (20 mg/kg/day), HMH (100 mg/kg/day). HM was administered orally for six weeks. Body weights and serum lipid level were measured, and real-time PCR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ect of HM on gene expression in liver. Results: HM decreased th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serum. And HM increased leptin, CPT1 gene expression in liver tissue of obese rats with estrogen deficiency. However HM decreased $PPAR{\gamma}$, $PGC-1{\alpha}$, HMGCR, CYP8B1, LPL, ACAT1, ACAT2, ApoB, ACOX gene expression in liver tissue of obese rats with estrogen deficiency.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HM reduce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serum, and regulate gene expression related to lipid metabolism. These results indicate Hwanggimacmundong-tang that might have potential for treatment of obesity and complications during the menopause caused by estrogen-deficiency.

고지방식이 비만쥐의 지방관련 단백질의 변화 (Alteration of Lipid Metabolism Related Proteins in Liver of High-Fat Fed Obese Mice)

  • 서은희;한영;박소영;고형종;이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19-1026
    • /
    • 2010
  • 과체중과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신진 대사 질환의 발병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만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고지방식이는 비만의 원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C57BL/6 생쥐에게 22주간의 고지방 식이를 주었으며, 이를 통해 비만과 고혈당을 유도하였다. 22주 후에 고지방식이를 한 생쥐들에서 체중과 혈장 포도당 수준이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 크게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복막 내 당 부하 검사(IPGTT)에서도 고지방 식이를 한 생쥐들은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서 당 내성 이상 반응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지방식이가 C57BL/6 생쥐에서 비만 및 고혈당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고지방식이군 생쥐들에서는 정상식이군의 생쥐들에 비해 혈장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의 양이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간에서의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수준도 역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간에서의 지질대사가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알기 위해, 지질대사에 관련된 단백질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지방 합성과 관련된 효소들 중 FAS와 GPAT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의미있게 증가 되어있었으며, 지방 수송에 관련하는 단백질 중에서도 ApoB 및 MTP의 큰 증가가 고지방식이군에서 관찰되었다. 흥미롭게도, 대사 조절 인자로 알려진 AMPK의 단백질의 양과 인산화 정도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음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지방식이가 지질 합성과 지질 수송과정을 생리학적으로 증가시키지만, 역설적으로 AMPK의 활성화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유의 섭취가 젊은 여성의 혈청 Apoprotein 및 혈소판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sh Oil Ingestion on Serum Apoprotein and Platelet Function in Healthy Young Females)

  • 장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3호
    • /
    • pp.157-169
    • /
    • 1990
  • $\omega$-3계 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어유는 혈청지질을 저하시키고, $\omega$-6계의 arachidonic acid로 부터 thromboxane $A_2$ 및 prostagtandin I$_2$의 생성을 억제하며 동시에 $\omega$-3계의 eicosapentaenoic acid로 부터 thromboxane $A_3$ 및 prostagrandin I$_3$를 소량 합성하므로 동맥경화증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보고 되어 있다. 그러나, 어유의 효과가 식이중 지방함량이 낮은 수준에서 더 현저한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서양인과 식사내용이 다르며 또한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견 인자가 다른 한국인에 있어서 1일 9g, 12g 및 15g의 어유를 1주간 투여한 후 혈청 apoprotein 및 혈소판기능을 조사하여 동맥경화증 및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식이로서 어유섭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실험대상은 단체생활을 하는 건강한 여대생으로 평균연령은 21세(20~22세), 평균신장은 160.4cm(158~166cm), 평균체중은 53.4(46~58.5kg)이었으며 실험군은 3군으로 나누어서 한 군에 6명씩 총 18명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각 실험군에 따라 1일 각각 9g, 12g 및 15g의 어유를 1주간 투여하였다. 일차 실험은 어유투여 전과 각 실험군에 따라 일정량의 어유를 1주간 투여한 직후, 어유투여를 중한한 1주째 및 3주째에 채혈하여 각각 점사를 실시하였다. 이차실험은 일차실험 종료후 6주간의 자유식사를 달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채혈하여서 혈청 apoprotein, 혈소판 기능검사 및 출혈시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poA는 어유투여후 15g군에서 어유투여직후 유의적인 감소(p<0.05>를 나타내었다. apoB는 어유투여 후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소판 수는 어유투여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형소판 부착능은 어유투여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감소(p<0.05)는 어유 15g 투여군에서 투여 중단 1주째에 나타났다. 혈소판 응집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감소(P<0.01)는 어유 15g 투여군에서 투여 직후에 유의적인 감소(p<0.01)를 나타내었다. Bleeding Time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변화(p<0.05)는 어유투여 중단 3주째에 나타났다. 각 기간에 있어서 투여한 어유의 양에 따른 혈청 apoprotein 함량 및 혈소판 기능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젖소 유방염에 대한 Ozonated oil의 치료효과 (A Therapeutic Effect of Ozonated Oil on Bovine Mastitis)

  • 조성남;유건주;이상은;홍민성;김덕환;김명철;조성환;전무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8-321
    • /
    • 2005
  • 충남 공주, 조치원, 연기 및 전북 익산 지역에서 사육 중인 만성유방염에 이환된 비유우 24두로부터 49분방을 선발하였다. 유방염에 이환된 49분방은 대조군(항생제 투여군: 7분방)및 실험군(ozonated oil투여군· 42분방)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또한 실험군의 분방은 우유 중 체세포를 기준으로 실험군 A(체세포 수$50-100\times10^4/ml)$ : 10분방), 실험군 B(체세포 수 $100-300{\times}10^4/ml)$ : 14분방) 및 실험군 C(체세포 수$>300\times10^4/ml$ : 18분방)로 각각 구분하였다. 대조군의 분방은 항생제 감수성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norfloxacin(10g/tube)을 2회/1일, 3일간 유두내로 주입하였고, 또한 실험군의 분방에는 ozonated oil(200ppm 농도, 3일간 폭기) 10m1를 2회/1일, 3일간 유두내로 주입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간 우유 중 체세포 수 및 세균수의 변화를 각각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분방은 처치 7일째 우유 중 체세포 수 및 세균수가 각각 감소 소견을 나타내었으나, 처치 전에 비하여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실험 군의 분방은 처치 후 7일째 처치 전에 비하여 체세포 수 및 세균수의 감소소견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험군 B(p<0.01) 및 실험군 C(p<0.01)에서 우유 중 체세포수는 처치 후 7일째에 처치 전에 비하여 각각 유의한 감소 소견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조군 및 실험군 양 군간에는 체세포 수 및 세균수의 변화에 있어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ozonated oil을 이용한 오존요법은 만성 유방염에 이환된 분방에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정할 때 꼭두서니 염료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조구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퇴화 전후의 색차에 대한 측정결과는 퇴화에 따른 염료의 색 변화에 대한 결과이다 출토복식의 갈변현상은 염료의 변색과 더불어 토양 유기물에 의한 착색도 기인하므로, 출토복식의 색상 변화를 실질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함께 토양유기물에 의한 착색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받고 또한 높은 수준의 직무 관여를 소매업 종사자들이 경험한다면, 그들의 직업 만족은 증가하고 이는 곧 장래에 그들이 소매업을 직업으로 선택하게 할 수 있는 가장 최우선적인 동력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TEX>연질, 대${\cdot}$소립의 영향과 높은 상관관계 가능성을 암시해주었다. R1과 R2분에서는 찰성밀이 일률적으로 보통밀보다 높은 수율을 지님으로서 배유조직의 제분특성에서 찰성밀이 보통밀보다 분말화가 용이하지 않음을 나타내 주었다.>${\~}$l16.9 RVU (SW97105) 범위로서 보통밀 148.0 (우리밀)${\~}$171.8 RVU (올그루밀)보다 낮았다.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고 이의 객관적 평가로는 KT-2000 관절 계측기가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임상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도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없애거나 재발율을 낮출 수 없었던 스테로이드 의존성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의 치료에서는 스테로이드 의존성 혹은 재발율의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장기간의 MP 요법은 스테로이드

시스템 분석을 통한 지질대사에서 울금의 약리작용 (Pharmacological Systemic Analysis of Curcumae Radix in Lipid Metabolism)

  • 조한별;김지영;김민성;안원근;이장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7-250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is a pharmacological network approach, aimed to identify the potential active compounds contained in Curcumae Radix, and their associated targets, to predict the various bio-reactions involved, and finally to establish the cornerstone for the deep-depth study of the representative mechanisms. Methods : The active compounds of Curcumae Radix have been identified us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stem Pharmacology Database and Analysis Platform. The UniProt database was used to collect each of information of all target proteins associated with the active compounds. To find the bio-metabolic processes associated with each target, the DAVID6.8 Gene Functional classifier tool was used. Compound-Target and Target-Pathway networks were analyzed via Cytoscape 3.40. Results : The target information from 32 potential active compounds of Curcumae Radix was collected through TCMSP analysis. The active compounds interact with 133 target genes engaging in total of 885 biological pathways. The most relevant pathway was the lipid-related metabolism, in which 3 representative active compounds were naringenin, oleic acid, and ${\beta}-sitosterol$. The mostly targeted proteins in the lipid pathway were ApoB, AKT1 and PPAR. Conclusions : The pharmacological network analysis is convenient approach to predict the overall metabolic mechanisms in medicinal herb research, which can reduce the processes of various experimental trial and error and provide key clues that can be used to validate and experimentally verify the core compounds.

저밀도 지질단백질 및 산화 LDL(Oxidized-LDL)의 특성 (Function Properties of Low Density Lipoprotein (LDL) and Oxidized-LDL)

  • Tae-Koong Kim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30-539
    • /
    • 1994
  • 최근 지방 섭추의 증가에 따른 혈관계 질병이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동맥경화 및 고지질의 질병은 지질 단백질(lipoprotein)과 관련하여, LDL 및 산화 LDL의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인체의 혈장에 함유된 LDL 함량의 증가는, 동맥경화와 직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LDL은 매우 hydrophobic한 특성을 가진 550Kd의 단일 polypeptide인 Apo B-100라는 단백질이, 지질성분인 triglyceide, phospholipid 및 cholesterol와 결합되어 있다. 최근 이러한 LDL은 산화(oxidation)되는 경우, 정상적인 LDL-receptor pathway를 따르지 않고, macrophang와 결합하므로서, foarn cell을 형성하여 동백경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PDF

단순형과 혼합형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체위 및 혈장지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Anthropometry and Plasma Lipid Profiles of Patients with Simple and Combined Hypercholesterolemia)

  • 허영란;황금희;임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6-193
    • /
    • 1999
  • Recent epidemiologic and clinical students have shown that plasma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a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However, there is not much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anthropometry and lipid profiles of hypercholesterolemia patients with hypertiglyceridemia. In this study, 112 hypercholesterolemic subjects$(T.C{\ge}240mg/d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ir plasma triglyceride levels. We compare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lipid profiles of the subjects between the two groups : the simples hypercholesterolemic group(SHC, TG<200mg/dl) and the combined hypercholesterolemic group$(CHC, TG{\ge}250mg/dl)$. The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into the SHC and CHC groups was 36.6% and 47.3%,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the CHC patients decreased with age. The subjects in this group had higher weight, BMI, HWR, cricumferences of mid arm, waist, hip and thigh, and skinfold thicknesses of biceps and triceps than those of the SHC subjects. The difference of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was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of VLDL-C levels. These differences resulted in the CHC subjects having higher atherogenic indexes and T-C/HDL-C ratios than those of the SHC subjects. Also, the former had higher Apo-B and insulin levels than those the latter. However,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and HDL-C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 hypertriglyceridemia have riskier lipid profiles for CHD than those of patients with normal triglyceridemia. They also indicate that CHC is closely associated with glucose resistance syndrome(obesity, hyperglycemia, hyperinsulinemia and hypertriglyceridemia), and more prevalent in young people.

  • PDF

Effects of Beryllium on Human Serum Immunoglobulin and Lymphocyte Subpopulation

  • Kim, Ki-Woong;Kim, DaeSeong;Won, Yong Lim;Kang, Seong-Kyu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15-120
    • /
    • 2013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of beryllium on the human immune system, the proportion of T-lymphocytes such as CD3+, CD4+, CD8+, CD95, and NK cells, and the proportion of B cells and $TNF{\alpha}$ level in peripheral blood and immunoglobulins in the serum of 43 exposed workers and 34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studied. External exposure to beryllium was measur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s recommended by the NIOSH analytical method 7300. T lymphocyte subpopu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flow cytometer. The working duration of exposed workers was less than 3 months and the mean ambient beryllium level was $3.4{\mu}g/m^3$, $112.3{\mu}g/m^3$, and $2.3{\mu}g/m^3$ in molding (furnace), deforming (grinding), and sorting processes, respectively (cited from Kim et al., 2008). However, ambient beryllium level after process change was non-detectable (< $0.1{\mu}g/m^3$). The number of T lymphocytes and the amount of immunoglobulins in the beryllium-exposed workers and control subjec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for the total number of lymphocytes and CD95 (APO1/FAS). The total number of lymphocytes was higher in the beryllium-exposed individuals than in the healthy control subjec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lymphocytes to be affected by beryllium exposure (odd ratio = 7.293; p<0.001). These results show that short-term exposure to beryllium does not induce immune dysfunction but is probably associated with lymphocytes prolif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