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hid density leve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이 참외의 생육과 당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his gossypii Glover on Growth and Sugar Content of Oriental Melon)

  • 도한우;서동환;권민경;최성국;신용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20
    • /
    • 2004
  • 목화진딧물은 여러 작물에 헤를 입히는 문제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화진딧물의 접종밀도를 달리했을 때 참외의 생육고 당함량에 미치는 영향과 진딧물 제거후 생육의 회복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진딧물의 피해를 받은 참외의 증상은 잎이 오그라들고 신초부분이 위축되었다. 목화진딧물이 참외에서 20일간 흡즙한 후 생육은 진딧물을 접종하지 않은 참외에 비해 생육이 월등히 감소하였고, 진딧물의 접종밀도간에는 진딧물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생육이 부진하였다. 초장은 무접종의 1/3수준이었고, 엽면적은 무접종에 비해 12${\sim}$38% 수준이었으며 건물증은 무접종의 30${\sim}$51% 수준이었다. 진딧물을 제거한 후 참외의 생육은 10일 후에는 진딧물의 피해를 받은 잎은 거의 신장하지 못한 채로 있으나, 신초부분의 생육이 다소 회복되었다. 20일 후에는 5마리 접종에서 초장, 엽면적 건물증이 월등히 증가하여 생육이 회복되었다. 진딧물 제거후 시간이 지날수록 회복되는 속도가 빨라졌으며 접종밀도간 회복속도는 5마리 접종이 가장 빨랐다. 주당 진딧물을 접종하였을 때 참외 전체 잎의 당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엽당 진딧물을 접종하고 접종한 잎만 분석한 경우는 진딧물누적일수량이 증가할 수록 전체 당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Evaluation of Resistance to the Aphid (Aphis glycines Matsumura) in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 Kim, Myung Sik;Sung, Mi Kyung;Baek, Woon Jang;Kim, Min Hwan;Chung, Jong I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65-372
    • /
    • 2012
  • Native of soybean aphid (Aphis glycines Matsumura) is an Asia and aphid is one of the dangerous pests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High density aphid populations can reduce crop production by causing severe dam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evaluation of resistance to the soybean aphid in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A total of fifty five soybean cultivars or germplasms, including two susceptible and two resistant check varieties, were infested to evaluate their resistance in the field cage and greenhouse test by aphid colonies which derived from wild collected one soybean aphid biotype in Korea. The average number of reproduced soybean aphid was evaluated with 62.7 aphids in the resistant check variety PI 567598B and also estimated with 1,807 aphids for susceptible check variety Williams 82. In soybean varieties and germplasms, the average reproduced soybean aphid populations ranged from the lowest 497 aphids for Junjeori to the highest 3,862 aphids for Mansu. About seventy six percent of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were shown high density soybean aphid populations when compared with another susceptible check variety PI 567543C in the field cage test. From the greenhouse test to evaluate aphid index, 87.3% of soybean cultivars or germplasms presented aphid index with 9.0. No soybean cultivars and germplasms were observed with soybean resistant phenotype when regarded a aphid resistant level as less than 10% aphid reproductions compared with susceptible check Williams 82. Although no Korean soybean cultivars were identified with resistant trait to the soybean aphid, we found one great resistant genetic resource PI 567598B in this study. This result will be helpful to further study for providing useful genetic information for soybean researchers.

배추의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Economic Injury Level of Myzus persicae (Homoptera: Aphididae) at Chinese Cabbage)

  • 전흥용;강택준;김형환;양창열;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07-411
    • /
    • 2008
  • 봄 배추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접종밀도에 따른 진딧물의 밀도 증가가 배추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을 배추정식 후 10일에 포기당 2, 5, 10, 15 및 20마리 접종한 경우 접종 후 18일의 복숭아혹진딧물의 밀도는 각각 92.3, 177.4, 406.9, 440.4, 471.3마리로 증가하였으며, 배추의 생체중은 복숭아혹진딧물의 무처리, 2, 5, 10, 15 및 20마리 접종구에서 각각 602.0, 264.2, 262.0, 109.3, 151.0, 67.3 g으로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배추의 생체중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생밀도와 배추의 생체중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진딧물의 누적발생일수(cumulative aphid days)와 배추 생체중과의 관계식을 구한 결과 비선형의 대수모형에 잘 적용되었다. 이 관계식에서 경험적인 수익한계(gain threshold) 5%와 봄 배추 상품율(92%)을 감안하여 복숭아혹진딧물 5마리가 5일 동안 흡즙하여 13%의 수량감소를 유발시킨 경제적 피해수준을 추정한 결과 CAD 값이 25가 되었다. 또한 요방제밀도는 경제적 피해수준의 80%가 되는 CAD 값이 20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봄 배추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요방제 밀도 설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전북고랭지역의 진딧물 밀도조사 (A Survey of the flying Aphid Population at the Alpine Area, Cholla-Pukto)

  • 윤순기;최성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5-208
    • /
    • 1974
  • 전북지방의 고랭지인 무주에서 진딧물의 밀도조사를 실시한 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진딧물의 종류는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 4종을 포함하여 37종이었다. 2. 진딧물의 밀도는 평야부보다 훨씬 낮다. 3.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mi), 무테두리진딧물(Lipahis erysimi),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이다. 4. 본 조사지역의 우세종은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누리장진딧물(Aphis clerodendri), 무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이다. 5. 진딧물의 발생소장은 평야부보다 늦게 출현하고 2순쯤 빠르게 동기주로 이동한다.

  • PDF

시설딸기 주요 비행해충의 황색끈끈이트랩 이용 효율적인 발생예찰 (Efficient Occurrence Monitoring by Yellow Sticky Traps for Major Flying Pests in Strawberry Greenhouses)

  • 양철준;송정흡;양영택;김효정;송민아;좌창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09-314
    • /
    • 2017
  • 시설딸기 주요 비행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 유시충,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um에 대해 발생초기 파악을 위한 황색끈끈이트랩 이용기술을 규명하였다. 제주지역 농가 재배 3개소에서 5개년 동안(2013~2017년) 재배 전 기간(9월~이듬해 5월)에 걸쳐 조사한 트랩자료를 이용 분석하였다. 해충의 공간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대상 해충 모두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두 회귀식 중 꽃노랑총채벌레와 목화진딧물 유시충은 Taylor's power law이, 온실가루이는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이 공간분포 특성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밀도와 최고밀도, 11마리 이상 잡힌 트랩 비율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 밀도 4.0마리를 추정에 필요한 최소 트랩수는 꽃노랑총채벌레 13개, 목화진딧물 유시충 11개, 온실가루이 10개이었다. 고정 정확도 0.25 수준에서 3종 해충의 Taylor's power law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상수를 이용하여 축차표본조사 중지선을 구하였다.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 밀도조사(I) (A Survey of the Aphids in Sulchon Area (I))

  • 윤순기;최성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48
    • /
    • 1970
  • To investigate provincial seed Potato Production farms, a Preliminary survey on the local population of the aphids was made in Sulchon alphine area, Mooju-Goon, Chollapuk-Bo where the climatic conditions were almost same as those of Taegwanryong Kangwon-Do, where Alpine Experimental station is located. This area stands from 650 to 900 metres above the sea level and divided three location of A. B, C, by altitude. A stands at 900 metres above the sea level. B at 750 metres and C at 650 metres. A and B divided three points: Al, A2, A3, and Bl, B2, B3- and divided four points-Cl, C2, C3, C4- at the distance of 300 metres apart each other. The traps were operated from July 21 to October 31, 1969. Otherwise, the traps established at Suwon (inland) and Taegwanryong where Alpine Experimental Station. A total of some 70 species including five virus vector species were identified. The Numbers of species at 10 locations, Suwon and Taegwanryong are as follows; Al-34, A2-38, A3-29, B1-25, B2-26, B3-29, C1-27, C2-14, C3-32, C4-37, species (Table 1), Suwon-49 species (including 5 virus vectors species), Taegwanryong-22 species (including 4 virus vector species). The aphids are shown in Table 1 and the Vectors are as follows: 1. Aphis gossypii Glover 2.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3. Lipaphis erysimi (Kaltenbach) 4. Myzus persicae(Sulzer) 5. Phorodon humuli (Schrank) Numbers of vectors versus total aphid at each locations, including inland (Suwon) and alpine area (Taegwanryong) where Alpine Experimental Station are as Fig. 1. Of a total 8,902 aphids, 6,400 $(80\%)$ were Tetraneura sp. The number of aphids devoid of the number of Tetraneura sp. are as follows; (Numbers means mean of each locations) A; 215. B; 115, C; 176 and Suwon; 2,952, Taegwanryong; 247. Densities of aphids at the locations is lower :han those at Suwon and Taegwanryong. And density of vectors at the locations, at ranged from 11 to 37, is love. than those at inland (Suwon; 197) and alpine area (Taegwanryong; 90). Thus, this area is suitable for seed potato production as Multiplication field.

  • PDF

대두의 콩나방피해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oybean Pod Borer Damage)

  • 정규회;이영일;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06
    • /
    • 1979
  • 대두의 주요해충인 콩나방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생물학적구제책을 모색하기 위해서 재래수집종에 콩나방피해율과 형태적특성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또 품종및 경종조건을 달리한 후 콩나방의 피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474계통에 대한 콩나방피해율은 최고$38\%$에서 전혀 피해가 없는 계통까지 분포하고 평균피해율은 $5.2\%$이였다. 형태적특성으로서 협의 모용밀도 및 색과 콩나방의 피해율과는 일정한 상관성이 없으나 콩나방피해율과 maturity group 또는 진딧물피해와는 공히 $5\%$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maturity group V에서 가장피해율이 높았으며 일반잎피해정도와 콩나방피해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이한 것은 청색의 종피색을 띤 계통들에서 콩나방피해가 현저히 늘은 점이다. 파종기별 콩나방의 피해정도는 6월20일 파종구가 제일 심하여 만파구가 피해율이 현저히 높은데 이들 피해정도는 착협시기뿐만 아니라 착협에서 성숙기까지의 기간에도 관계가 있는것으로 보여진다. 재식거라에 따른 중나방피해는 소식할수록 큰 편이고 6개품종중 봉의, 충북백이 저항성인 반면 clark, 금강대립이 이충성품종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