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hid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1초

우리나라 비자생 알로에식물의 알로에진딧물 (노린재목, 진딧물과)에 대한 보고 (Notes on the Aloe Vera Aphid, Aloephagus myersi Essig (Hemiptera: Aphididae) on Non-native Aloe Plants in Korea)

  • 송정흡;서수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17-319
    • /
    • 2014
  • 온실에서 재배되는 수입 알로에묘목에 알로에베라진딧물, Aloephagus myersi Essig, 이 채집되었다. 이 종의 원산지는 아프리카로 알려져 있고 수입된 식물을 통해 온실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도입과 정착을 방지하기 위한 이들 종의 진단형질, 사진자료, 기주 및 분포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북고랭지역의 진딧물 밀도조사 (A Survey of the flying Aphid Population at the Alpine Area, Cholla-Pukto)

  • 윤순기;최성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5-208
    • /
    • 1974
  • 전북지방의 고랭지인 무주에서 진딧물의 밀도조사를 실시한 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진딧물의 종류는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 4종을 포함하여 37종이었다. 2. 진딧물의 밀도는 평야부보다 훨씬 낮다. 3. 감자바이러스 매개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mi), 무테두리진딧물(Lipahis erysimi),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이다. 4. 본 조사지역의 우세종은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누리장진딧물(Aphis clerodendri), 무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이다. 5. 진딧물의 발생소장은 평야부보다 늦게 출현하고 2순쯤 빠르게 동기주로 이동한다.

  • PDF

복숭아혹진딧물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 곤충병원성 곰팡이 Entomophthora planchoniana에 관한 보고 (Entomophthora planchoniana Cornu (Zygomycetes: Entomophthoraceae), the First Observed Pathogen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in Korea)

  • 윤철식;성기호;이건형;박현수;이정운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403-406
    • /
    • 1998
  • 국내 미기록 곤충병원성 곰팡이, Entomophthora planchoniana를 1998년 6월 2일 전북 군산 아욱 재배지의 복숭아혹진딧물에서 발견하였다. 이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E. planchoniana를 보고하며, 형태적 특징을 기재한다. 또한 이 균의 가장 중요한 분류학적 특징은 Entomophthora속 곰팡이 중 진딧물에 기생하는 유일한 종이며, 1차포자는 $4{\sim}6$개의 핵을 지닌 종모양 이였으며 원형질로 감싸져 있었다.

  • PDF

감귤의 조팝나무 진딧물 및 깍지벌레류에 대한 Petroleum Spray Oil의 방제효과 (Efficacy of a petroleum spray oil for the control of citrus pests, spirea aphid (Aphis citricola) and two scales (lcerya purchasi and Planococcus cryptus) in Jeju island)

  • 김동환;강시용;김광식;송정흡;;류기중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5-60
    • /
    • 2001
  • 인축독성 및 잔효성이 낮아 환경친화적인 Petroleum spray oil (PSO, D-C-Tron $Plus^{(R)}$, Caltex Oil Co.) 를 감귤나무에 살포하여 조팝나무진딧물, 이세리아깍지벌레 및 귤애가루깍지벌레에 대한 약효를 검토하였다. 0.33% PSO 의 조팝나무진딧물에 대한 방제가는 처리후 6 일까지는 90% 이상이었으나, 처리 9 일 및 14 일후에는 80% 정도로 대조약제 (furathiocarb, thiamethoxam) 보다 낮았다. PSO (0.33, 0.66, 1 %) 살포후 5 주까지의 이세리아깍지벌레에 대한 방제가는 50% 미만으로 대조약제 (메치온) 보다 크게 낮았으나, 귤애가루깍지벌레에 대한 방제가는 1% PSO 살포시는 95% 로 높았고 0.33% 및 0.66% 살포시에도 $50{\sim}80%$ 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약해를 고려하여 0.5% 이하의 농도를 살포할 경우, PSO 는 조팝나무진딧물의 방제는 물론 이세리아 및 애가루깍지벌레의 밀도경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인삼에서 발생하는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의 감염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melon Mosaic Virus Transmission Occurring in Korean Ginseng)

  • 최승국;조인숙;정봉남;김미경;정원권;최국선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06-210
    • /
    • 2014
  • 인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중화된 한약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인삼 잎에 얼룩덜룩하거나 모자이크 증상이 나타나는 바이러스병으로 인삼을 재배하는 많은 농가들에서 수량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WMV-gin로 명명)가 인삼 바이러스병의 원인으로 동정되었다. 흥미롭게도 인공적 즙액 접종에 의해서, 인삼에서 분리한 WMV-gin은 건전 인삼 식물체와 박과작물을 포함한 알려진 WMV 기주 식물 종들을 감염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WMV-gin은 2종의 진딧물들(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의 전반에 의해서 인삼을 성공적으로 감염시킬 수 있었다. 비록 2종의 진딧물들이 인삼에서 먹이를 얻는 것을 기피하지만, 이것은 진딧물들이 먹이 탐색 과정동안 인삼에 WMV-gin을 매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사하게 수박에서 분리한 WMV-wm 계통은 2종의 진딧물들에 의하여 인삼으로 매개되지만 인위적 즙액 접종으로 인삼을 감염시키지 못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을 이용한 전반 실험들에 의해서 WMV-gin과 WMV-wm 계통들 모두 인삼에서 WMV의 증식 기주 식물들인 박과 식물들로 전반되지 못함이 밝혀졌다. 이런 결과들은 인삼에서 발생하는 WMV병이 생태학적 접근법에 의해서 방제될 수 있음을 제시해 준다.

원예시험장 주변의 진딧물 (Flying Aphid Population at th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Suweon)

  • 백운하;송기원;최성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1
    • /
    • 1974
  • 원예작물을 종합적으로 재배하는 원예시험장에서 원예작물에 직접, 간접으로 많은 피해를 주고있는 진딧물을 Yellow Water Trap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치하여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시험장시는 24종의 매개진딧물을 포함하여 12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2. 본 시험장에 분포된 120여종 중에$75\%$ 이상을 차지하는 우세종 10종은 다음과 같다. * 조급나무진딧물(Aphis spiraecola $P_{ATCH}$) *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K_{OCH}$) *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_{ULZER}$) 자바못털진딧물(Capitophorus hippophaes javanicus H.R. $L_{AMBERS}$) 층층나무진딧물(Anoecia fulviabdominalis $S_{ASAKI}$) *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_{LOVER}$) * 보리수염진딧물(Macrosiphum avenae $F_{ABRICIUS}$) 가시 진딧물(Cervaphis quercus $T_{AKAHASHI}$) * 무우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 $K_{ALTENBACH}$) 쑥못털진딧물식물(Pleotrichophorus chrysanthemi $T_{HEOBALD}$)(* : 바이러스매개진딧물) 3.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하는 24종의 진딧물은 전체 진딧물수의 $55\%$를 차지한다. 4. 본시험장의 진딧물 발생소장을 수원의 4개년(1967-'70) 것과 비교한 바 작물이 자라는 봄. 여름에는 살충제를 뿌리기 때문에 수원의 밀도보다 낮으나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에는 살충제살포를 중지하고 또 이 시기는 진딧물이 월동숙주로 이주하기 때문에 10월 중순에 밀도가 갑자기 상승하여 년중 최고곡선을 이룬다. 5. 진딧물 방제를 위해서 작물에만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으로 그치는데 주위의 잡초나 숙주식물에도 아울러 살포해야한다. 그리고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중에도 원동숙주에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의 월동량을 감소시키므로써 다음해 봄에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예비책을 써야한 것이다. 진딧물은 원예작물에는 어느 해충보다도 피해가 크다는 것은 주지의 사식이나 이것의 발생은 해에 따라, 기상조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므로 한번의 조사로는 만족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 영구적인 사업으로 매년 발생상황을 계속적으로 조사해야 될 줄로 믿는다.

  • PDF

딸기 재배하우스에 발생하는 애못털진딧물(Chaetosiphon minus)의 생물적 특성 (Biological Traits of the Lesser Strawberry Aphid (Chaetosiphon minus) in Strawberry under Plastic Houses)

  • 권기면;이형근;허유리;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15-220
    • /
    • 2021
  • 딸기 하우스 내 해충에 대한 일관된 생물적 방제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낮은 온도에 발생하는 애못털진딧물(Chaetosiphon minus)에 대한 유용천적을 선발하고, 그 이용가능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방제대상인 애못털진딧물의 생물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약충의 발육기간은 10℃, 15℃, 20℃, 25℃에서 각각 평균 41.7일, 20.6일, 11.9일, 9.8일이었고, 약충의 발육임계온도는 5.5℃, 온일도는 185DD였으며, 순증식율은 25℃에서 22.38보다 20℃에서 30.16으로 높게 나타났다. 암컷성충의 총산자수는 20℃에서 58일 동안 35.2마리, 25℃에서 36일 동안 26.5마리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딸기 하우스 내에서 애못털진딧물이 다른 진딧물류에 비하여 낮은 온도에 적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저온에 활동성이 높은 꽃등에류와 같은 천적의 상업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초포장에서 발생하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의 Esterase 분류

  • 채순용;김상석;정성은;장영덕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9-56
    • /
    • 1999
  • Classification of esterase isozymes of the apterous green peach aphids (Myzus persicae Sulzer) collected in tobacco fields were investigated by the nativ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GE). A total of twelve esterase bands were identified in adult apterous aphid, and the difference of enzyme band activity in the clones was observed at the first and second bands group. Esterases of green peach aphids reacted with specific substrate were more stained $\alpha$-naphthyl acetate than $\alpha$-naphthyl propionate, and $\alpha$-naphthyl acetate more than $\beta$-naphthyl acetate. Twelve esterases on the basis of inhibition by the three types of inhibitors (organophosphates: 2.5$\times$10$^{-3}$ M paraoxon, 4$\times$10$^{-3}$ M DFP; eserine sulfate : 2$\times$10$^{-3}$ M eserin; sulfhydryl reagents: 2$\times$10$^{-3}$ M p-HMB)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ass, namely, cholinesterase (ChE) I, II, carboxylesterase (CE) and arylesterase (ArE), and these classes contained 3, 4, 3 and 2 isozyme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