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ying Aphid Population at th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Suweon

원예시험장 주변의 진딧물

  • Published : 1974.05.01

Abstract

This survey was aimed to accumulate basic data of aphid population at th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at Suweon. The yellow pan traps were setted at five locations (Fig.1.), and ran from May 1 to October 31. 1970. About one hundred and twenty species of aphids were trapped, including 24 species of plant vims vectors. Of these, dominant species were as follows: (Asterisk shows virus vector) Aphid species No. of catches * Aphis spiraecola PATCH 2,635, * Aphis craccivora KOCH 2,377, * Myzus persicae SULXER 2,111, Capitophorus hippophaes javanicus H.R. LAMBERS 2,051, Anoecia fulviabdominalis SASAKI 1,480, * Aphis gossypii GLOVER 867, * Macrosiphum avenae FABRICIUS 859, Cervaphis quercus TAKAHASHI 692, * Lipaphis erysimi KALTENBACH 645, Pleotrichophorus chrysanthemi THEOBALD 489, The above 10 species consisted $76.5\%$ of total catches and the 24 vector species consisted $55.5\%$. The curve of the seasonal occurrence of flying aphids at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shows bimodal, typical for the temperate region. The total number of trapped aphids at the Station from May to September, 1970, were less than that of average yearly catches at the College of Agriculture from 1967 to 1970. Thi, low numbers at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may attribute to the frequent spraying of insecticides from Spring to Summer on growing crops there. But the aphids population increase suddenly in the middle of October. This might be resulted from cease of insecticide applications and migration of aphids from summer host to winter host plants.

원예작물을 종합적으로 재배하는 원예시험장에서 원예작물에 직접, 간접으로 많은 피해를 주고있는 진딧물을 Yellow Water Trap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치하여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시험장시는 24종의 매개진딧물을 포함하여 12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2. 본 시험장에 분포된 120여종 중에$75\%$ 이상을 차지하는 우세종 10종은 다음과 같다. * 조급나무진딧물(Aphis spiraecola $P_{ATCH}$) *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K_{OCH}$) *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_{ULZER}$) 자바못털진딧물(Capitophorus hippophaes javanicus H.R. $L_{AMBERS}$) 층층나무진딧물(Anoecia fulviabdominalis $S_{ASAKI}$) *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_{LOVER}$) * 보리수염진딧물(Macrosiphum avenae $F_{ABRICIUS}$) 가시 진딧물(Cervaphis quercus $T_{AKAHASHI}$) * 무우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 $K_{ALTENBACH}$) 쑥못털진딧물식물(Pleotrichophorus chrysanthemi $T_{HEOBALD}$)(* : 바이러스매개진딧물) 3.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하는 24종의 진딧물은 전체 진딧물수의 $55\%$를 차지한다. 4. 본시험장의 진딧물 발생소장을 수원의 4개년(1967-'70) 것과 비교한 바 작물이 자라는 봄. 여름에는 살충제를 뿌리기 때문에 수원의 밀도보다 낮으나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에는 살충제살포를 중지하고 또 이 시기는 진딧물이 월동숙주로 이주하기 때문에 10월 중순에 밀도가 갑자기 상승하여 년중 최고곡선을 이룬다. 5. 진딧물 방제를 위해서 작물에만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으로 그치는데 주위의 잡초나 숙주식물에도 아울러 살포해야한다. 그리고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중에도 원동숙주에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의 월동량을 감소시키므로써 다음해 봄에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예비책을 써야한 것이다. 진딧물은 원예작물에는 어느 해충보다도 피해가 크다는 것은 주지의 사식이나 이것의 발생은 해에 따라, 기상조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므로 한번의 조사로는 만족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 영구적인 사업으로 매년 발생상황을 계속적으로 조사해야 될 줄로 믿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