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hid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초

콩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과 이의 중기생벌에 관한 연구 (Primary Parasitoids and Hyperparasitoids of the Soybean Aphid, Aphis glyciner (Homoptera: Aphididae))

  • 장영덕;이재영;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1-55
    • /
    • 1994
  • 1987년 5월부터 9월 사이에 대전근교의 콩에 기생하고 있는 콩진딧물에서 진디벌에 기생당한 mu-mmy를 채집하여 진디벌과 중기생벌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딧물의 진디벌에 대한 기생율,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기주선택, mummy형성수와 형성 비율, 주요 진디벌과 중기생벌 종의 수명 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77개의 채집된 진딧물 mummy 중 진디벌은 27.1%m 중기생벌은 50.3%였다. Aphidius cingulatus, Ephedrus persicae, E. plagiator가 콩진딧물에 기생하고 있는 진디벌의 주요 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진디벌에 기생하고 있는 중기생벌들 중에 A. vulgaris, A. convexa가 우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기생벌중 Charios brasicae는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E.plagiator가 다른 콩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에 비해 중기생벌에 적게 기생되었다. 기생능력은 A. cingulatus 보다 E. plagiator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수명은 중기생벌이 3일~29일, 진디벌은 1일~4일로 추정되었다.

  • PDF

대두재식방법 및 품종에 따른 콩진딧물의 서식밀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nsity of Soybean Aphids in Different Cultivars, Plantings Date and Spacings)

  • 정규회;권신한;이영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40
    • /
    • 1980
  • 대두의 주요해충인 콩진딧물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생태적 구제책을 모색키 위해서 충북백외 5품종을 5월 9일에서 7월 5일까지 약 10일 간격으로 재식밀도를 달리 5차에 걸쳐 파종하였고 대두생육기간중에 진딧물의 연중발생소장을 조사하는 한편 재식기, 재식거리 또는 품종에 따른 콩진딧물의 접식밀도의 차이를 비교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진딧물의 년중발생소장을 보면 5월 26일까지는 진딧물이 전혀 나타나지 않다가 6월 2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23일과 8월 18일에 각각 peak를 이루웠고 8월 18일의 peak는 6월 23의것보다 8배나 높았다. 2. 식물체정점으로부터 3번째 잎에 발생하는 진딧물수는 식물체전체에 발생하는 량의 약 20%에 해당되었고 시기별로 진딘물이 증가할 무렵은 높고 감소할 때는 낮은 경향이었다. 3. 재식시기에 따라 진딧물 접식밀도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며 6월 20일 파종구가 가장 낮고 7월 5일구가 가장 높았다. 4. 재식밀도가 높을 수록 식물체당 진딧물 발생밀도는 낮은 경향이 있었다. 5. 품종간 콩진딘물의 발생밀도의 차이는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며 공시한 6개 품종중 충북백 이 저항성으로 또 금강대립이 이충성으로 나타났다.

  • PDF

Biological Control of Aphid Using Fungal Culture and Culture Filtrates of Beauveria bassiana

  • Kim, Jeong Jun;Jeong, Gayoung;Han, Ji Hee;Lee, Sangyeob
    • Myc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221-224
    • /
    • 2013
  • Aphids are one of the most destructive pests in crop production such as pepper, cucumber, and eggplants. The importance of entomopathogenic fungi as alternative pest control agents is increasing. Conidia of entomopathogenic fungi ar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nd cause slow and fluctuating mortality. These factors have prevented wider application and use of biocontrol agents. For investigation of means of mitigation of such problems, we conducted bioassays with 47 fungal culture filtrates in order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entomopathogenic fungi for use in aphid control. Among 47 culture filtrates cultured potato dextrose broth, filtrate of Beauveria bassiana Bb08 showed the highest mortality (78%) against green peach aphid three days after treatments. Filtrate of Bb08 cultured in Adamek's medium showed higher toxicity as 100% to third instar nymphs of the aphid compared with seven other filtrates cultured in different broths amended with colloidal chitin or oil. The culture filtrates and fungal cultures from media amended with colloidal chitin or oil had lower control efficacies than filtrates without these additives in three different medi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ungal culture fluid or culture filtrate of B. bassiana Bb08 cultured in Adamek's medium has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mycopesticide for aphid control.

3종(種)진딧물의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Suscepitibility of Several Insecticides on Three Aphids)

  • 김길하;신욱균;안종웅;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3-88
    • /
    • 1987
  • 3종(種) 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콩진딧물)에 대(對)한 acephate가 9종(種)의 살충제(殺蟲劑)를 공시(供試)하여 살충제(殺蟲劑)의 종류(種類)와 처리방법(處理方法) 그리고 종간(種間)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3종(種) 진딧물은 살충제(殺蟲劑) 종류(種類)와 처리방법(處理方法)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2) 처리방법간(處理方法間) 비교(比較)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은 대체로 엽침지법(葉浸漬法)보다 분무법(噴霧法)에서 감수성(感受性)이 높았으나 목화진딧물과 콩진딧물은 살충제(殺蟲劑) 종류(種類)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특(特)히 목화진딧물은 phenthoate+dimethoate에서, 콩진딧물은 penvalerate에서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보였다. 3) 진딧물 종간(種間)에서도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는데, 콩진딧물이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에 비(比)하여 감수성(感受性)이 높았다. 특(特)히 pirimicarb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 콩진딧물보다 목화진딧물에서 감수성(感受性)이 크게 저하(抵下)되었다. 4) 3종(種) 진딧물 중(中) 살충제(殺蟲劑) 스크리닝에서는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콩진딧물의 선택(選擇)이 바람직스러우며 진딧물 감정방법(檢定方法)에서는 엽침지법(葉浸漬法)과 분무법(噴霧法) 중(中) 처리(處理)가 용이(容易)하고, 변이(變異)가 적은 결과(結果)를 얻을 수 있는 엽침지법(葉浸漬法)의 선택(選擇)을 추천(推薦)한다.

  • PDF

고랭지 감자밭의 진딧물 월동기주 및 감자잎말림바이러스(PLRV) 보독진딧물의 시기별 변동 (Aphid Over-wintering Host Plants and Seasonal Transmission Rates of Potato Leafroll Virus by Aphids in the Highland Fields of Korea)

  • 권민;김주일;김창석;이영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15-423
    • /
    • 2018
  • 진딧물은 감자에 다양한 바이러스병을 옮기는 대표적인 매개충이다. 따라서 감자밭으로 날아오는 진딧물을 방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래진딧물의 종류, 비래시기와 비래량, 바이러스 보독률 및 진딧물의 겨울철 월동기주를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고랭지의 씨감자 생산지역 3곳을 중심으로 진딧물 비래양상을 조사하였고, 비래초기부터 6월 하순까지 날아오는 진딧물의 잎말림바이러스(PLRV) 보독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진딧물의 이동방향을 따라 57종의 수목류 가지와 수피를 채집하여 월동중인 진딧물 알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였다. 강릉 왕산 지역과 홍천 내면 지역의 여름기주 비래최성기는 모두 6월 중순이었고 평창 횡계 지역은 5월 하순으로 나타났다. 겨울기주로 날아가는 비래최성기는 3개 지역 모두 10월 상순이었다. 비래진딧물의 2.8%가 PLRV를 갖고 있었으며, 진딧물 종류별 보독률은 복숭아혹진딧물 15.4%, 감자수염진딧물 9.1%였다. 시기별로는 5월 하순부터 PLRV 보독 진딧물이 비래하였고 6월 중순에 비래한 진딧물의 바이러스 보독률이 1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로쇠나무(Acer pictum subsp. mono (Maxim.)),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등 17종의 수목류에서 진딧물알이 월동하였다. 월동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홉사마귀진딧물(Phorodon humuli) 등 14종으로 동정되었다. 특히 자작나무진딧물(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단풍알락진딧물(Yamatocallis hirayamae) 등은 아직까지 감자에서 바이러스를 옮기는지 여부는 알려진 바 없지만,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기주식물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앞으로 바이러스 매개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제 저항성에 관한 연구 (V). Cypermethrin과 Pirimicarb에 의한 저항성 발달과 교류저항성 (Studies of the Insecticide Resistance in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V). Development of Cypermethrin and Pirimicarb Resistance, and Cross Resistance)

  • 최승윤;김길하;안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3-27
    • /
    • 1989
  • Pyrethroid계 살충제인 cypermethrin과 carbamate계 살충제인 pirimicarb를 공시하여 실내 감수성계통 복숭아혹진닷물(Myzus persicae)을 인위적으로 루대도태한 후, 저항성 발달속도와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저항성 계통의 타살충제에 대한 교차저항성 유무와 그 정도를 검토하였다. 저항성 발달속도는 cypermethrin 20세대 도태계통에서 도태전에 비하여 20.5차 증가하였으나, pirimicarb 20세대 도태계통에서는 3.2배 증가에 그쳐 살충제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Cypermethrin 도태계통은 acephate와 pirimicarb에 대해서 , pirimicarb 도태계통은 acephate와 cypermethrin에 대해서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cypermethrin, pirimicarb 도태계통은 demeton-S-methyl에 대해서 비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감자수염진딧물(Macrosiphum euphorbiae Thomas)에 의한 감자 품종별 피해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Infestation of Potato Cultivars by Potato Aphid, Macrosiphum euphorbiae Thomas, and its Infestation-related Factors)

  • 권민;장동칠;안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3-199
    • /
    • 2008
  • 감자(Solanum tubersum L.)의 주요 해충의 하나인 감자수염진딧물(Macrosiphum euphorbiae Thomas)에 의한 50개 감자 품종별 피해정도를 포장에서 검정하고 실내에서 배설 감로수와 식물체 내 성분(glycoalkaloids, total N, Ca, K, Mg) 함량을 품종별로 분석하여 피해도와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50개 품종에 대한 감자수염진딧물의 포장 발생밀도 범위는 5엽당 $4.1{\sim}31.4$정도였으며, Jidose, Recent, Sebago 품종 등은 5마리 이하의 낮은 발생밀도를 보였다. 품종별 배설 감로수는 Jopoong에서 40.3개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Superior로 37.7개였다. 가장 적은 품종은 Anco와 Shepody로 각각 15.7개, 16.7개였다. 포장실험과 실내시험 결과를 각 성분 함량별로 상관분석한 결과, 감자수염진딧물에 의한 피해는 glycoalkaloids 함량이나 전질소 함량과 정의 상관을 보였고, 나머지 식물체 성분함량과는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다.

Development of the Turnip Aphid, Lipaphis erysimi Kaltenbach (Homoptera: Aphididae), and Test of Insecticidal Efficacy of Some Commercial Natural Products

  • Kim, Dong-Young;Chang, Sung-Kwon;Jeong, Hyung-Uk;Kim, Min-Jee;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6권2호
    • /
    • pp.93-99
    • /
    • 2008
  • The turnip aphid is a worldwide pest, damaging mainly to crucif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fe parameters of Lipaphis erysimi for the eventual goal of control, the developmental periods, survival rates, lifespan, and fecundity of the species were investigated under five temperature regimes ($15^{\circ}C-35^{\circ}C$). Furthermore, the efficacy of sever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that are on the market was subjected to test in order to obtain further accurate information. The developmental period of the turnip aphid nymph was longest at $15^{\circ}C$ as 16.9 days, shortened as temperature goes up to $25^{\circ}C$ (5.4 days), and then somewhat increased at $30^{\circ}C$ (5.9 days), suggesting that the most efficient temperature for nymphal development could be around $25^{\circ}C$. Mortality of the nymphal turnip aphid was obvious at $35^{\circ}C$, whereas it was minimal at other temperature schemes. The longevity of adults shortened as temperature goes up to $30^{\circ}C$. In particular, the maximum lifespan for adults continued for 55 days at $15^{\circ}C$, but shortened to 21 days at $30^{\circ}C$. The total fecundity was 35.7 at $15^{\circ}C$, 81 at $20^{\circ}C$, 64.2 at $25^{\circ}C$, and 6.6 individuals at $30^{\circ}C$, showing the highest fecundity at $20^{\circ}C$. After the turnip aphids were successfully stabilized in indoor environment the insecticidal activity was tested and mortality was determined 12, 24, 36, and 48 hrs after EFAMs are treated. Several on-the-market EFAMs showed more than 90% of insecticidal activity within 24 hrs or 48 hrs, but a few showed less than 90% activity, signifying importance of selection of proper EFAMs.

Pseudomonas sp. EP-3 rhamnolipid 에 의한 진딧물 살충성 생산을 위한 유자씨앗 부산물의 재활용 (Reuse of Yuza Seed By-product for Production of Aphicidal Rhamnolipid by Pseudomonas sp. EP-3)

  • 임다정;박태현;양시영;김진철;김인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6-42
    • /
    • 2017
  • BACKGROUND: Yuza seed by-product has been produced in a large amount from the agricultural farm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It has been mostly abandoned after commerci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juice, jam and tea. The study on the reuse of the yuza seed by-produc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bio-resource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active compound in agriculture. METHODS AND RESULTS: Insecticidal rhamnolipid-producing Pseudomonas sp. EP-3 was grown in mineral salt media with the yuza seed by-product at 2, 20, 50 and 100 g/L. The growth of EP-3 was accompanied by a increase in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green peach aphid. The highest insecticidal activity was observed when EP-3 was grown in the medium containing 50 g/L of the seed sample, producing approximately 996 mg/L of rhamnolipid at 96 h.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determined a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seed sample. The EP-3 cultures grown on the fatty acid mixture extracted from the seed sample showed a aphid mortality similar to that of cultures grown on the seed sample. The EP-3 cultures grown on 50 g/L of the seed sample showed aphid mortality more than 90% under greenhouse condition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yuza seed by-product may be used as a renewable material for microbial production of rhamnolipid against green peach aphid.

Compatibility of Entomopathogenic fungus Lecanicillium attenuatum and Pesticides to control Cotton Aphid, Aphis gossypii

  • Kim, Jeong-Jun;Kim, Kyu-Ch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2호
    • /
    • pp.143-146
    • /
    • 2007
  • Concerns of entomopathogenic fungi as alternative pest control agents are increasing even though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as the main control agents for pests and diseases in crop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influence of fungicides and insecticides on an isolate of Lecanicillium attenuatum that was reported to have the pathogenicity against cotton aphid, because fungicides and/or insecticides can apply with mycopesticides simultaneous, before and/or after. Fungicides fenbuconazole+thiram and propineb inhibited the spore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L. attenuatum CS625; dimethomorph and procymidone did not affect spore germination or mycelial growth. The insecticide abamectin, deltamethrin, imidachropride, and spinosad had no detrimental effects on spore germination or mycelial growth.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areful selection of pesticides and fungicides can be applied to the integrated pest and disease control with microbial pestic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