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xiety to death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7초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와 가치관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A Relational Study on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Values of Juveniles)

  • 정숙경;김초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1-73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waken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healthy attitudes toward death and life. For this purpose, it observed the attitudes toward death by Juveniles and recognized life satisfaction & values related to i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as based 504 students of high school in Seoul.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s of frequency, percentage, reliability,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the higher value on self one's ability and life. 2.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that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is the higher lever death anxiety, negative to suicide and death. 3.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values and death anxiety. However,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that the higher values was negative to suicide and reject death.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attitudes toward death, there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oman, general high school, the lower grade, the higher the lever of socioeconomic statues were the lower anxiety, positive to death and awaken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 PDF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죽음 불안 및 돌봄 요구: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Death anxiety and Needs of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of Nurses in Hospice Wards: Focused on Types of Personality)

  • 심지연;이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37-745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죽음 불안과 돌봄 요구를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호스피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11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SPSS Statistics 26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죽음 불안은 2.41±0.27이었고, 하위 항목 중 '자신의 죽어감에 대한 두려움(2.60±0.38)'이 가장 높았다. 돌봄 요구는 3.58±0.60이었고, 하위 항목 중 '용서하기(3.74±0.64)'가 가장 높았다. 죽음 불안과 돌봄 요구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265, p=.004)를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성격유형별 죽음 불안이 돌봄 요구에 미치는 영향은 감정 중심 유형에서 타인의 죽어감에 대한 두려움(𝛽=-1.021, t=-2.388, p=.027)이 돌봄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3.724, p=.020)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죽음 불안과 돌봄 요구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감정 중심 유형에서 죽음 불안이 돌봄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 죽음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Esteem,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Home and Facilities)

  • 오미나;최외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05-118
    • /
    • 2005
  • The purposes or this study were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lderly in their own home and those in facilities in terms of their self-esteem, death anxiety, depression leve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the 386 elderly over 55 living in home and in facilities, free or paid. They had no physical or cognitive disabilities and were living in Daegu city, Kyungbuk and Kyungnam prov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death anxiety, depression level and the path to depression between the two elderly groups with the elderly in facilities showing negative asp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roblem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should be covered by social welfare.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삶의 질의 관계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Aged Women)

  • 박경은;권미형;권영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27-53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needed in living successfully in elderly women's later yea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Methods: Subjects were 115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who were capable of verbal/nonverbal communication and could understand/answer the questionnaire in H reg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fter receiving written consent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12.0/WIN program.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as $4.14{\pm}3.22$ on average and the degrees of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were $2.41{\pm}0.55$ and $3.72{\pm}0.59$ on average,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however, dep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448, p<.001) with quality of life and death anxiety also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219, p<.05) with quality of life. Conclusion: We can predict that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negatively affect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노인 암 생존자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아통합감, 우울,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on Death Anxiety in Elderly Cancer Survivors : Focusing on Ego Integrity, Depression and Awareness of Good Death)

  • 임헌숙;유재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97-20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재가 노인 암 생존자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소재 보건진료소 관할 지역에 거주하며, 재가 암환자로 등록된 노인 암 환자 216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2월 27일부터 3월 15일까지이며,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 이용하여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죽음불안은 4점 만점에 2.47±0.39점, 자아통합감 2.60±0.29 점, 우울 6.35±4.0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2.97±0.35점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β=.255, p<.001), 우울(β=.185, p= .020), 종교(없음=1; β=.148, p= .021)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들이 노인 암 생존자의 죽음불안을 16.4%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 암 생존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우울, 종교가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간호학적 유용성은 지역사회 재가 노인 암 생존자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점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 암 생존자의 죽음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실증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죽음 불안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of Perceptions and Anxiety of Home Health Nurses about Death, on their Attitudes to Terminal Care)

  • 김숙희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1-26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in-hospital-based home health nurses' perceptions and anxiety about death following terminal care, affects their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Methods: The subjects were 128 advanced practice nurses working in hospital-based facilities for home health care,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 2019, to June 3,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terminal care and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he Student'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variable stepwise regression using the SPSS Version 25.0 program. Results: The scores of the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of home health care nurses was 3.25 points out of a possible 4 points. Factors affecting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were their concern about death(β=0.45, p<0.001), religion(β=-0.26, p=0.001) and the anxiety of others about dying(β=-0.23, p=0.003), which explained 32.0% of the observed variance concerning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concern about death, anxiety about how other people process dying, and relig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factors. The more concerned the nurses were about death and the less their anxiety about how others process dying, the better the home health care nurses' attitude toward implementing terminal care.

융복합 시대 한국 노인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s among Korean Aged in the Convergence Er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현심;박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71-82
    • /
    • 2022
  •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노인', '죽음교육 프로그램', '죽음불안', '죽음태도' 등 주요어들을 병합하여 검색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1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죽음불안, 죽음태도를, 조절변인으로는 출판유형, 총 중재기간, 중재빈도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에 대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07로 나타났다. 그리고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죽음불안(Hedges' g=1.30)은 낮추고, 죽음에 대한 태도(Hedges'g=0.93)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크기의 동질성 검증 결과, 모두에서 이질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질성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절효과분석에서는 중재빈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이론적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추후 관련 연구의 효과를 반복적으로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Attitude)

  • 양승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73-88
    • /
    • 2015
  •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90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 불안, 임종 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32.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 검증: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Verification of Spiritual Mediation and Control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Focused on the Baby Boomers)

  • 길태영;류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91-30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인과관계에서 이들 간 영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연구 자료는 A시에 거주하는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출생한 베이비 부머를 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최종 분석에 총 50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각 변인 간 가설검증을 위한 매개회귀분석, 영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불안이 삶의 의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 수준에 따라 영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삶의 의미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죽음불안을 감소 또는 해소하고, 영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재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학 이론을 바탕으로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Based on the Ecology Theory)

  • 김연하;김민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1호
    • /
    • pp.30-38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노인의 죽음불안을 결정짓는 요인들을 Belsky(1980)의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우울, 자아통합감, 영적안녕감의 개인유기체 요인과 미시체계 요인으로는 가족지지, 그리고 외체계 요인으로는 사회적연락망, 노인차별경험, 가족주의가치관의 요인들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의 16개 구(區) 중 10개 구에 소재한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에서 85세 미만의 재가노인이었다. 연구 참여가 가능한 노인은 설문지의 내용을 읽고 이해하며 그에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로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후 설문에 참여하였다. 총 189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 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개인유기체 요인 중 우울은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32$, P<0.001). 미시체계 요인인 가족지지는 죽음불안에 대한 직접(${\beta}=-0.15$, P=0.026), 간접효과(${\beta}=-0.06$, P=0.022) 및 총 효과(${\beta}=-0.21$, P=0.006)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외체계 요인들 중 사회적연락망(${\beta}=0.21$, P=0.003)과 가족주의가치관(${\beta}=0.23$, P=0.009)은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인의 죽음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유기체 요인 중 우울, 미시체계 요인인 가족지지, 그리고 외체계 요인인 사회적 연락망 및 가족주위 가치관이 확인되었다. 비록 자아통합감, 영적 안녕감 및 노인차별경험이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노인의 개인유기체, 미시체계 및 외체계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어 노인의 죽음불안에 대한 중재개발에 있어서 개인과 가정 그리고 사회적 환경을 고려한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