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 peptid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of Pyrus serotina var Leaf Extract Using Polymer Micelle and Liposome Containing Cell Penetrating Peptide)

  • 안규민;박수인;김민기;허수현;신문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85-699
    • /
    • 2019
  •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및 화장품 성분으로의 응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항균 실험 및 제형별 피부 침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118.83{\pm}9.39mg/g$, 배나무 잎 열수 추출물에서 $106.89{\pm}4.45mg/g$로 확인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500 mg/L의 농도에서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74.39{\pm}7.48%$의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SOD 유사 활성능은 1,000 mg/L의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이 $91.62{\pm}0.43%$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후 실험으로부터 항산화, 주름 개선, 미백 활성이 확인되어 배나무 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균소재로서의 실현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 피부침투 실험에서는 24시간 동안의 실험 결과, 총 축적된 tannic acid의 투과량은 Formulation 2($55.45{\mu}g/cm^2$), Formulation 1($46.43{\mu}g/cm^2$), Formulation 0($34.36{\mu}g/cm^2$)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배나무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한 리포좀 피부침투 실험에서는 24시간 동안의 실험 결과, 총 축적된 tannic acid의 투과량이 Formulation 5($75.01{\mu}g/cm^2$), Formulation 4($64.01{\mu}g/cm^2$), Formulation 3($36.60{\mu}g/cm^2$)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배나무 잎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주름개선의 효능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침투 결과를 통해 향후 화장품 산업에 긍정적으로 이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Resveratrol Inhibits Nitric Oxide-Induced Apoptosis via the NF-Kappa B Pathway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 Eo, Seong-Hui;Cho, Hongsik;Kim, Song-Ja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1권5호
    • /
    • pp.364-370
    • /
    • 2013
  • Resveratrol (trans-3,4'-trihydroxystillbene), a naturally occurring polyphenolic antioxidant found in grapes and red wine, elicits diverse biochemical responses and demonstrates anti-aging, anti-inflammatory,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in several cell types. Previously, resveratrol was shown to regulate differentiation and inflammation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hile the direct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these cells by treatment with the NO donor sodium nitroprusside (SNP) led to apoptosi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esveratrol on NO-induced apoptosis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as investigated. Resveratrol dramatically reduced NO-induced apoptosis in chondrocytes, as determined by phase-contrast microscopy, the MTT assay, FACS analysis, and DAPI staining. Treatment with resveratrol inhibited the SNP-induced expression of p53 and p21 and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caspase-3 in chondrocytes, as detected by western blot analysis. SNP-induced degradation of I-kappa B alpha ($I{\kappa}B-{\alpha}$) was rescued by resveratrol treatment, and the SN50 peptide-mediated inhibition of NF-kappa B (NF-${\kappa}B$) activity potently blocked SNP-induced caspase-3 activation and apoptosis. Our results suggest that resveratrol inhibits NO-induced apoptosis through the NF-${\kappa}B$ pathway in articular chondrocytes.

Metformin Inhibits Isoproterenol-induced Cardiac Hypertrophy in Mice

  • Cha, Hye-Na;Choi, Jung-Hyun;Kim, Yong-Woon;Kim, Jong-Yeon;Ahn, Myun-Whan;Park, So-Yo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6호
    • /
    • pp.377-384
    • /
    • 2010
  •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metformin treatment prevents isoporterenol-induced cardiac hypertrophy in mice. Chronic subcutaneous infusion of isoproterenol (15 mg/kg/24 h) for 1 week using an osmotic minipump induced cardiac hypertrophy measured by the heart-to-body weight ratio and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thickness. Cardiac hypertrophy was accompanied with increased interleukin-6 (IL-6),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collagen I and III, and matrix metallopeptidase 2 (MMP-2). Coinfusion of metformin (150 mg/kg/24 h) with isoproterenol partially inhibited cardiac hypertrophy that was followed by reduced IL-6, TGF-${\beta}$, ANP, collagen I and III, and MMP-2. Chronic subcutaneous infusion of metformin did not increas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ity in heart, although acut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metformin (10 mg/kg) increased AMPK activity. Isoproterenol increased nitrotyrosine levels and mRNA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 glutathione peroxidase and metformin treatment normalized these chan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formin inhibits cardiac hypertrophy through attenuating oxidative stress.

Amelioration of Cognitive Dysfunction in APP/PS1 Double Transgenic Mice by Long-Term Treatment of 4-O-Methylhonokiol

  • Jung, Yu-Yeon;Lee, Young-Jung;Choi, Dong-Young;Hong, Jin Ta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3호
    • /
    • pp.232-238
    • /
    • 2014
  • Alzheimer's disease (AD) is the most common neurodegenerative disease without known ways to cure. A key neuropathologic manifestation of the disease is extracellular deposition of beta-amyloid peptide (Ab). Specific mechanisms underlying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 have not yet been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ffects of 4-O-methylhonokiol on memory dysfunction in APP/PS1 double transgenic mice. 4-O-methylhonokiol (1 mg/kg for 3 month) significantly reduced deficit in learning and memory of the transgenic mice, as determined by the Morris water maze test and step-through passive avoidance test. Our biochemical analysis suggested that 4-O-methylhonokiol ameliorated $A{\beta}$ accumulation in the cortex and hippocampus via reduction in beta-site APP-cleaving enzyme 1 expression. In addition, 4-O-methylhonokiol attenuated lipid peroxidation and elevate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the double transgenic mice brains. Thus, suppressive effects of 4-O-methylhonokiol on $A{\beta}$ gener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the brains of transgenic mice may be responsible for the enhancement in cognitive fu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atural compound has potential to intervene memory deficit and progressive neurodegeneration in AD patients.

Inhibiti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A\beta$-induced PC12 cell death

  • Lee, Sun-Young;Lee, Seung-Ho;Son, Dong-Ju;Kim, Su-Jin;Ha, Tae-Youl;Yun, Yeo-Pyo;Oh, Ki-Wan;Hong, Jin-Ta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82.2-83
    • /
    • 2003
  • Beta-amyloid peptide (A${\beta}$) is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the pathogenesis of the Alzheimer's disease. Several lines of evidence support that A${\beta}$-amyloid-induced cytotoxicity is mediated through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gents that are able to scavenge excess ROS may be useful as protecting or reducing agents for development or progress of AD. Green tea extract has been known to have antioxidant property. Our previous studies also demonstrate that green tea extract protected ischemia/reperfusion-induced brain injury by reduction of cell death through scavenging of oxidative damages of macromolecules. (omitted)

  • PDF

Bioactive peptides-derived from marine by-products: development, health benefits and potential application in biomedicine

  • Pratama, Idham Sumarto;Putra, Yanuariska;Pangestuti, Ratih;Kim, Se-Kwon;Siahaan, Evi Ameli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7호
    • /
    • pp.357-379
    • /
    • 2022
  • Increased fisheries products have raised by-products that are discarded due to low economic value. In addition, marine by-products are still rich in protein and nutritional value that have biological activities and give benefits to human health. Meanwhile, there is raised pressure for sustainability practices in marine industries to reduce waste and minimize the detrimental effect on the environment. Thus, valorization by-products through bioactive peptide mining are crucial. This review focus on various ways to obtain bioactive peptides from marine by-products through protein hydrolysis, for instance chemical hydrolysis (acid and based), biochemical hydrolysis (autolysis and enzymatic hydrolysis), microbial fermentation, and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Nevertheless, these processes have benefits and drawback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This review also addresse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that are favorable in pharmaceutical industr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hypertensive, anticancer, anti-obesity, and other beneficial bioactivities. In addition, some potential marine resources of Indonesia for the marine biopeptide from their by-product or undesired marine commodities would be addressed as well.

고분자 미셀과 경피투과 펩티드를 이용한 파슬리 추출물의 피부흡수 효과 (Skin Permeability of Petroselinum Crispum Extract Using Polymer Micelles and Epidermal Penetration Peptide)

  • 안규민;박수인;김민기;허수현;신문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파슬리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이용하여 파슬리 추출물에 대한 피부흡수 효능을 검토하는 것이다. 항산화 측정방법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121.68{\pm}2.49mg/g$이며 파슬리 열수 추출물의 경우에는 $72.42{\pm}1.52mg/g$이었다. 농도 2,000 mg/L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90.48{\pm}0.46%$이고 열수 추출물의 경우 $83.92{\pm}0.13%$로 나타났다. 농도 800 mg/L에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91.08{\pm}0.14%$로 열수 추출물의 값($69.63{\pm}0.55%$)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SOD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보였고, 모든 농도에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SOD 활성능이 파슬리 열수 추출물의 값보다 높았다. 16,000 mg/L의 농도에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128.45{\pm}0.70%$의 가장 높은 SOD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능 실험 결과에서도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2,000 mg/L에서 가장 높은 $99.99{\pm}1.54%$의 elastase 저해능이 나타났다. 난용성 문제와 피부 흡수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과 1% 세포투과 펩티드(6개 알르기닌, R6)를 함유한 40.01 nm의 입자크기를 갖는 PCL-PEG 고분자 미셀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24시간 동안 피부흡수 실험 결과에서, 총 축적된 beta-carotene의 투과량은 파슬리 추출물만 적용한 경우 $37.99{\mu}g/cm^2$을 나타내었지만, 고분자 미셀과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께 적용한 경우의 파슬리 추출물의 투과량은 $68.38{\mu}g/cm^2$으로 1.8배의 경피투과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경피투과 펩티드를 이용한 경피 약물전달의 응용 (Physiological Activity of Supercritical Poria cocos back Extract and Its Skin Delivery Application using Epidermal Penetrating Peptide)

  • 김민기;박수인;안규민;허수현;신문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66-77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공정에 의해 복령피를 추출하였고, 에탄올 복령피 추출물과 비교하여 항염, 미백,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추출물의 제형과 약물전달 펩티드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경피투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복령피의 항암, 항염성분으로 알려진 Pachymic acid를 지표성분으로 HPLC 분석 결과 에탄올 복령피 추출물 보다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이 2배 이상 높게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령피의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소거능과 ABTS 소거능은 복령피 에탄올 추출물이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IC_{50}$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RAW 264.7 세포 내 NO(Nitric oxid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에탄올 복령피 추출물보다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이 동일 농도에서 더 낮은 NO 생성량을 나타냈다. 또한 B16 melanoma 세포에 복령피 추출물을 $20{\mu}g/mL$ 농도를 72시간 처리 후 세포 내외 멜라닌 합성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에탄올 복령피 추출물과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 모두 효과가 있었으며 초임계 추출물이 더 낮은 멜라닌 함량을 보였다. NO 생성량 실험에서 활용된 RAW 264.7 세포에서는 $800{\mu}g/mL$농도에서도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B16 melanoma 세포에서는 $50{\mu}g/mL$에서도 에탄올 추출물과 초임계 추출물 모두 60 % 미만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리포좀 제형과 약물전달 펩티드를 활용하여 Franz diffusion cell 실험 결과에서는, 리포좀 제형과 약물 전달 펩티드가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을 경피 투과를 증진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계 복령피 추출물이 다양한 효능의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녹용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에 의한 플라보노이드 생성과 항산화활성 효과 (Flavonoid produ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effe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of deer antler extract)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399-408
    • /
    • 2022
  • 녹용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녹용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를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산균 발효중 증식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녹용 추출물 기질에 이들 4종의 유산균을 첨가한 결과, 측정된 유산균 수는 2.04~5.00×107이었다. 한편, 녹용 추출물에 프로테아제(Baciullus amyloliquefaciens culture: Ma×azyme NNP DS)를 첨가하여 함유된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을 분해하였다. 그런 다음 이들 4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유산균의 수는 2.84107~2.21108로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유산균 발효추출물에서 4.82~6.26g/mL이었으며, 프로테아제 효소와 젖산발효 반응 후 14.27~20.58g/mL로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산균 발효추출물에서 1.52~2.21 g/ml이었고, 프로테아제 반응 및 발효 후에는 5.59 ~ 8.11 mg/mL로 증가하였다. 유산균 발효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7.03~22.75%였으나, protease 반응과 발효 후에는 32.82~42.90%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프로테아제 종류에 따른 이용한 연산 오계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및 생리활성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otein Hydrolysates Derived from Yoensan Ogae Meat by Various Commercial Proteases)

  • 하유진;김주신;유선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018-1027
    • /
    • 2019
  • 천연물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들은 항산화, 고혈압 완화, 면역조절,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연산오계육 단백질을 상업용 프로티아제(alcalase, bromelain, flavourzyme, neutrase, papain, protamex)를 이용하여 저분자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항산화 활성(DPPH 소거능,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 및 금속 킬레이션 능력), 펩타이드의 구성 아미노산 및 분자량을 분석하였다. 효소반응은 효소반응기에 다진 오계육 슬러리 50 g와 단백질 효소 2%(w/v)를 넣고 pH 6 와 온도 $60^{\circ}C$ 조건에서 2시간 반응을 하였다. 반응 후 가수분해도(%)의 범위는 $36.65{\pm}4.10%$에서 $70.75{\pm}5.29%$ 사이의 범위를 보여주었는데 protamex의 가수분해도는 46.3%로 가장 높았으며, papain hydrolysate가 $70.75{\pm}5.29%$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반면에 alcalase hydrolysate가 $36.65{\pm}4.10%$로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bromelain 처리 저분자 펩타이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alcalase 처리 펩타이드에서 소거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 역시 bromelain 처리 저분자 펩타이드가 50% 이상의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은 약 16.73에서 69.16% 사이의 분포를 보여 주었는데 bromelain 처리 저분자 펩타이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e^{2+}$ 킬레이션 능력은 약 17.85에서 47.84% 사이의 분포를 보여 주었다. hydrolysate들의 킬레이션 능력은 사용 효소들에 상관없이 큰 차이점이 없었다. 아미노산의 분석결과 alcalase, bromelain, flavourzyme, neutrase, papain, protamex 효소 가수분해 시켰을 때 차이점을 보여 주었고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다. 효소 hydrolysate들의 분자량의 분포는 처리 효소에 따라 분자량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300-2,000 Da 범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