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hangove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랫드에서 Aldehyde Dehydrogenase Related Compounds의 알콜 및 알데히드 분해 효능평가 (Anti-Alcohol and Anti-Aldehyde Hangover Effect of Aldehyde Dehydrogenase Related Compounds in Rat)

  • 신혜정;정세영;강소라;권흥택;김배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9-107
    • /
    • 2023
  • Background: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is at the root of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hangovers, liver dysfunction, and alcoholism.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hangover ameliorating effect of fermented rice extract and a combination of yeast-fermented powder and lysate containing aldehyde dehydrogenase (ALDH) (improved new ingredients) in an ethanol-induced rat study. Methods: The concentrations of alcohol, acetaldehyde, and malondialdehye in serum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anti-alcohol and anti-aldehyde hangover effect in two experiments, one with fermented rice extract) and a second with yeast-fermented powder and lysate, using animal studies. Results: Experiment 2 with yeast-fermented powder and lysate containing ALDH showed similar and higher activity, respectively, in reducing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compared with Experiment 1 with fermented rice extract. Experiment 2 also significantly reduced malondialdehyde, a type of lipid peroxide. The ALDH-related compound (ARC) lysate showed better hangover relief effect than ARC powder.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DH-related compounds exhibit a hangover relief effect, and fermented lysate is considered to be a better candidate for hangover relief.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의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혈액 산성화 기전 조절을 통한 숙취해소 효과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CTE) on Ethanol-Induced Hangover via Modulating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Blood Gas Levels in Rats)

  • 최나은;노주예;이주영;류진협;조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18-2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을 섭취한 흰쥐에서 알코올 대사와 혈액가스 불균형에 대한 꾸지뽕 나무 뿌리 추출물 (이하 CTE)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알코올을 10 ml/kg의 농도로 흰쥐에게 경구 투여하였고, 섭취 30분 후 CTE를 500 mg/kg 및 750 mg/kg의 농도로 투여하였다. 혈액은 알코올 섭취 1시간, 3시간, 5시간 후 꼬리 정맥을 통하여 채취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 음료 (컨디션)를 사용하였다. 약물 처리는 모두 단회 경구 투여로 진행되었다. CTE의 섭취는 흰쥐의 혈액과 간 조직 내 알코올 대사 효소인 알코올 분해효소 (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증가 또는 유지시킴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CTE는 알코올섭취에 의한 혈액가스 (pH, $CO_2$, $HCO_3{^-}$, lactic acid)의 불균형을 회복시켰다. 결론적으로, CTE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음료 보다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CTE를 숙취 해소 및 예방을 위한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고 새로운 물질로써 제시하는 바이다.

포제 및 발효 가공에 따른 오미자와 구기자 물 추출물의 항염증 및 숙취해소 효과 (Anti-inflammation and hangover relief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SC) and Lycium chinense (LC) water extracts depending on drug processing and fermentation)

  • 김하림;김상준;김솔;김홍준;정승일;유강열;김선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5-306
    • /
    • 2018
  • Schisandra chinensis (SC) and Lycium chinense (LC) were widely distributed in Asia and the frui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for medicinal herbs. The processing method was solid-state fermentation using Aspergillus oryzae for 48 h after stir-frying treatment at $220^{\circ}C$ for 12 min. In this study, in vitro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in vivo hangover reduction were compared to unprocessed SC and LC water extract. Anti-inflammatory effects have been evaluated in pro-inflammatory mediators which were secreted by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Nitric oxide (NO) was determined using Griess react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eukin $(IL)-1{\beta}$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were compared to processed SC or LC and mixtures thereof (1:1). In vivo study was compared to hangover relief in alcohol-fed mice. After administering a mixture of SC and LC (300 mg/kg) water extract (1:1), mice were fed 3 g/kg of ethanol. Serum was collected at 1, 3, and 5 h intervals to analyze ethanol and acetaldehyde levels using a colorimetric assay kit. The processed SC and LC water extracts compared to raw materials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NO and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he results of the hangover mouse model are also consistent with anti-inflammatory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cessed SC and LC extracts may be functional material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hangover.

Effects of a Health Drink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Hovenia Dulcis Fruit Stalk and Theracurmin, on Ethanol-Induced Hangover

  • Kang, Nam E;Oh, Yoon Sin;Yeo, Hee Kyung;Baik, Hyun Wook;Jang, Se-Eun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63-570
    • /
    • 2021
  • The fruit stalk of Hovenia dulcis (H.dulcis) is traditionally used to relieve hangovers in Korea. Theracurmin is a highly absorbable curcumin preparation which increases the bioavailability of curcumin. Curcumin is known for i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the role of this combination in lowering alcohol levels in the body, thereby alleviating the severity of alcohol-induced hangover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refore, we conducted a study to investigate the eliminatory effects of a health drink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H. dulcis fruit stalk and theracurmin (theracurmin drink)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The theracurmin drink delivered orally to rats 30 mins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40% ethanol (5 g/kg body weight), lowered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and acetaldehyde in the blood samples collected 1, 3, and 5 h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theracurmin drink increased the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enzymes.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curmin drink was thus superior to that of other health drink products, suggesting that its consumption may alleviate or prevent an alcohol-induced hangover.

방사선 유도 돌연변이체 블랙베리 발효음료의 알코올 대사 및 숙취 억제 효과 (Effect of Fermented Blackberry Drinks Formed from Radiation-induced Mutant on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in Rats)

  • 조병옥;소양강;이창욱;조정근;우현심;진창현;정일윤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5-80
    • /
    • 201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fermented blackberry drinks (BD) on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in alcohol-treated rats. We show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BD increased the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DH) in alcohol-treated rats. Moreover, the administration of BD reduced the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in alcohol-treated rats. Furthermore, the administration of BD attenuated the levels of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alcohol-treated ra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D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cohol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by reducing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through the activation of ADH and ALDH in alcohol-treated rats and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anti-hangover drinks.

한약재 조성물이 흰쥐의 알코올성 숙취 및 사염화탄소 유발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 Oriental Herbal Composition, Jang Baek Union (JBU), on Alcohol-Induced Hangover and CCl4-Induced Liver Injury in Rats)

  • 양동식;홍성길;최선미;김복남;성현제;윤우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8-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숙취제거 및 간기능 개선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재로 구성된 조성물 JBU의 효능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숙취제거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코올과 그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혈중 농도를 측정한 결과, 혈중 알코을 농도에서 JBU 추출물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특히 숙취의 원인물질로 지목되는 아세트알데히드 감소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간기능개선 효능의 확인을 위하여서는 사염화탄소 유발 간손상 동물모델에서 GPT와 GOT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간손상 정도를 확인하였고,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통하여 간의 병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사염화탄소는 확연하게 간손상을 유발시켰고, JBU 추출물은 GPT 및 GOT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조직학적으로도 간조직의 손상을 뚜렷하게 억제하였다.

흰쥐에서 어성초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숙취해소 효과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 유양희;이현미;정창식;이민재;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508-1512
    • /
    • 2016
  • 어성초 열수 추출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인 MIX가 흰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대사 효소들에 작용하는 효과와 직접적인 에탄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 숙취해소 소재로서 MIX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급성 에탄올을 투여한 EtOH군과 MIX-200군은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은 NC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MIX-200군은 EtOH군에 비교해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 투여 3시간부터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에탄올 투여 1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은 MIX-200군에서 EtOH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MIX는 높은 alcohol dehydrogenase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IX는 에탄올 대사 효소들의 활성 증가에 직 간접적으로 작용해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감소시키는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staxanthin과 Astaxanthin-Cyclodextrin 포접화합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Astaxanthin and its Inclusion Complex with Cyclodextrin)

  • 김소영;조은아;유귀재;유지민;손석민;인만진;김동청;채희정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70-578
    • /
    • 2009
  • 헤마토코커스로부터 아스타잔틴의 추출과 제형화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헤마토코커스 추출물과 아스타잔틴 포접화합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헤마토코커스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에 대해 in vitro 실험에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헤마토코커스 추출물은 대조군인 kojic acid에 비해 동일한 농도에서 2배 이상의 미백활성을 나타냈고, 자궁암 세포주 (HeLa)에 대해 대조항암물질인 5-fluorouracil (5-FU)과 비슷한 항암활성을 나타냈다. 아스타잔틴은 또한 숙취해소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대조군인 지구자 추출물에 비해 1.5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스타잔틴과 싸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화합물 As-$\beta$-CD와 헤마토코커스 추출물과 싸이클로 덱스트린의 포접화합물인 H.p.-$\beta$-CD의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 As-$\beta$-CD는 대조군인 지구자추출물보다 높은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냈고, H.p.-$\beta$-CD는 대조군인 kojic acid와 비슷한 수준의 미백효과를 나타냈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에탄올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Ethan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 도재호;곽정원;이선정;노정진;이광승;김동청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3호
    • /
    • pp.286-291
    • /
    • 2017
  • 약용식물의 열수 추출물이 in vitro에서 alcohol dehydrogenase (ADH)와 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약용식물에 20배의 증류수를 넣고 $80^{\circ}C$에서 8시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50종의 약용식물 중에서 마늘과 육계 추출물이 숙취해소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늘 추출물은 ADH에 비해 ALDH의 활성을 2배 이상 촉진시킴으로써 acetaldehyde의 분해가 잘 되게 하였다. 육계 추출물은 ALDH의 활성에 비해 ADH의 활성을 획기적으로 저해함으로써 acetaldehyde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였다. 육계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ADH와 ALDH의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45.33{\mu}g/mL$의 농도에서 ADH의 활성을 52.8% 저해하였고 ALDH의 활성을 11.0% 저해하였다.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과 적정 조성추출물 및 그 발효물이 알콜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Medicinal Herb Extracts and Aqueous Fermented Extracts on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 이가순;김관후;성봉재;김현호;김미연;김미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9-265
    • /
    • 2009
  • 숙취해소효과가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25종의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에서 ADH와 ALDH의 저해 및 활성작용이 우수한 약용식물 12종을 선발, 일정 비율로 혼합한 약용식물 추출액에 대하여 발효를 행한 후 in vitro 및 in vivo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감초 -0.3%, 갈근 -3.2%, 구기자 -1.7%, 맥문동 4.8%, 속새 8.3%, 오가피 3.5%, 및 지구자 -2.1%를 보여 지구자를 비롯한 7종의 추출물이 90%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보였고, ALDH활성에서는 오가피가 166.3%로 활성이 가장 촉진되었고, 뒤이어 구기자, 속새 및 백복령도 1.5배 이상의 활성을 촉진하였으며 이 외에 맥문동, 인진쑥, 작약, 차전초, 지구자, 홍삼 및 흑두에서도 효소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갈근을 포함하여 약 10여종의 약용식물에서 130%이상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12종으로 조성 혼합된 약용식물 추출물에서는 ADH활성이 -20.22%인데 비하여 추출발효액은 -62.63%정도 ADH저해활성이 높았으며, ALDH활성은 추출물에서는 173.20%이었으며, 추출발효액은 280.17%로 ALDH활성이 추출액보다 약 1.6배가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흰쥐를 이용하여 약용식물 추출발효물의 숙취해소효과를 보기 위해 알코올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알코올 섭취 후 3시간 경과시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이 시판 숙취개선음료 처리군보다 24.1% 정도 우수한 효능을 보였고, 추출발효물 공급 3시간 경과 시부터 7시간까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감소폭은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에서 -65.1%로 시판 숙취개선음료를 공급한 군에서 -57.5%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