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 oxidative activity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24초

Anti-arthritic activity of D-carvone against complete Freund's adjuvant-induced arthritis in rats through modul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 Chen, Guifang;Song, Yuxiu;Ma, Fang;Ma, Yuxia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6호
    • /
    • pp.453-462
    • /
    • 2020
  • Chronic joint pain due to loss of cartilage function, degradation of subchondral bone, and related conditions are common plights of an arthritis patient. Antioxidant compounds could solve the problems in arthritic condi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arthritic activity of D-carvone against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induced arthritis in rats. D-carvone was orally administered for 25 days at the doses of 30 and 60 mg/kg against CFA-induced arthritic rats. Changes in body weight, paw swelling, organ index, hematological parameters, oxidative stress markers, inflammatory cytokines, and histopathology were recorded. Oral treatment of D-carvone significantly improved the body weight, reduced the paw swelling, edema formation, and organ index in arthritic rats. The levels of white blood cells were reduced, red blood cells and hemoglobin levels were improved in D-carvone treated arthritic rats. Lipid peroxidation levels were lowered whereas enzymatic and non-enzymatic antioxidant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by D-carvone administration against arthritic rats. D-carvone significantly modulated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and improved the ankle joint pathology against CFA-induced arthritic inflammation. In conclusion, D-carvone proved significant anti-arthritic activity against CFA-induced arthritis in rats.

Bioassay-Guided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ounds from Arecae Pericarpium with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d Melanogenesis Inhibition Activities

  • Indriana, Amelia;Lee, Kyoung Jin;Kim, Yeong Shi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193-200
    • /
    • 2016
  • This study describes th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melanogenesis inhibition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and various organic solvent fractions of Arecae Pericarpium. We examined the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1,1-diphenyl-2-picrylhydrazine (DPPH) scavenging activity, 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The study showed that, among all tested fractions, methylene chlorid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inhibition of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IC_{50}$ value $8.89{\mu}g/mL$)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C_{50}$ value $21.39{\mu}g/mL$). Methylene chloride and ethyl acetate fractions similarly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Methanol extract exhibited strongest reduction of melanin content in B16F10 melanoma cells. Based on the bioactivity assay results, methylene chloride and ethyl acetate fractions were further separated. Eight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which are dimeric syringol (1), catechol (2), 4-hydroxybenzaldehyde (3), vanillin (4), 4-hydroxyacetophenone (5), apocynin (6), protocatechuic acid (7) and 4-hydroxybenzoic acid (8).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tested, catechol showed the strongest inhibition of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Catechol also showed the concentration-dependent NF-${\kappa}B$ inhibition activity. Arecae Pericarpium might have potentials to be developed as anti-inflammatory agent or dermatological product for skin-whitening agent.

단기저장 기간 중 커피원두의 지방산가, chlorogenic acid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of acid value of lipid, chloroge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oasted coffee for short term storage)

  • 임진규;김민열;김성희;마진성;오지선;김정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83-390
    • /
    • 2017
  • 쉽게 산화되는 지방이 커피의 풍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라는 것과 chlorogenic acid (CGA)가 커피의 주요 항산화 물질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커피생두의 열처리 가공 정도와 단기저장 기간에 따라 변화하는 지방의 산화와 CGA의 농도변화와 동시에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커피 원두를 얻기 위한 열처리 가공 시간이 길수록 diethyl ether로 추출되는 지방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지방의 산가는 분쇄된 medium과 dark 커피에서 가공 첫날 $8.91{\pm}0.16$$10.37{\pm}0.27$를 각각 보이다가 60일 간의 저장기간 후에는 $17.81{\pm}0.11$$17.93{\pm}0.09$로 증가하였으나 분쇄 생두에서는 $4.47{\pm}0.11$로부터 $11.89{\pm}0.18$로 증가함을 보였다. CGA 함량은 10 g 커피를 이용하여 커피를 제조할 경우 생두, medium, dark 커피의 경우 각각 $310{\pm}8.2$, $282{\pm}11.2$, $5.9{\pm}0.23mg$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농도는 60일간의 저장 기간 동안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었을 뿐 아니라 CGA를 분리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에서 얻어지는 용리 크로마토그램도 저장기간 동안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어 CGA가 저장기간 동안 다른 물질로 변화되지 않음을 보였다. 2,2-diphenyl-1-picrylhydrazyl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소거능 분석에서 원두 간 그리고 저장기간에 따른 특이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ARE-luciferase 활성 분석에서는 오히려 roasting이 진행될수록 저장기간이 오랠수록 항산화활성이 증가함을 보였고 총 polyphenol의 함량은 roasting가공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함을 보였기 때문에 커피의 항산화활성은 polyphenol 외에 다른 물질, 즉, melanoidin과 같은 물질이 생성되어 항산화활성을 높이고 커피 풍미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였다.

Antioxidant and Skin Anti-Aging Effects of Marigold Methanol Extract

  • Kang, Chul Ho;Rhie, Sung Ja;Kim, Young 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31-39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marigold methanol extract (MGM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Total poly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MGME were 74.8 mg TAE (tannic acid equivalent)/g and 85.6 mg RE (rutin equivalent)/g, respectively. MGME ($500{\mu}g/mL$) increased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and 2,2'-azino-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ntioxidant activities by 36.5, 54.7, and 14.8%,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1,000{\mu}g/mL$, these activities increased by 63.7, 70.6, and 20.6%, respectively. MGME ($100{\mu}g/m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ynthesis of type 1 procollagen by 83.7%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It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activity and MMP-1 mRNA expression by 36.5% and 69.5%, respectively; however, it significantly increased laminin-5 mRNA expression by 181.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GME could protect human skin against photo-aging by attenuating oxidative damage, suppressing MMP expression and/or activity as well as by stimulating collagen synthesis.

Anti-oxidative Effect of a Protein from Cajanus indicus L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Hepato-nephro Toxicity

  • Ghosh, Ayantika;Sil, Parames C.
    • BMB Reports
    • /
    • 제40권6호
    • /
    • pp.1039-1049
    • /
    • 2007
  • Overdoses of acetaminophen cause hepato-renal oxidative stres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a 43 kDa protein isolated from the herb Cajanus indicus,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hepatic and renal toxicity. Male albino mice were treated with the protein for 4 days (intraperitoneally, 2 mg/kg body wt) prior or post to oral administration of acetaminophen (300 mg/kg body wt) for 2 days. Levels of different marker enzymes (namely,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and alkaline phosphatase),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 were measured in the experimental sera.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were also determined from acetaminophen and protein treated hepatocytes. Indices of different antioxidant enzymes (namely,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S-transferase) as well as lipid peroxidation end-products and glutathione were determined in both liver and kidney homogenates. In addition, Cytochrome P450 activity was also measured from liver microsomes. Finally, histopath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from liver sections of control, acetaminophen-treated and protein pre- and post-treated (along with acetaminophen) mice. Administration of acetaminophen increased all the serum markers and creatinine levels in mice sera along with the enhancement of hepatic and renal lipid peroxidation. Besides, application of acetaminophen to hepatocytes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reduced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the treated hepatocytes. It also reduced the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and cellular reserves of glutathione in liver and kidney. In addition, acetaminophen enhanced the cytochrome P450 activity of liver microsomes. Treatment with the protein significantly reversed these changes to almost normal. Apart from these, histopathological changes also revealed the protective nature of the protein against acetaminophen induced necrotic damage of the liver tissues.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in protects hepatic and renal tissues against oxidative damages and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protector against acetaminophen induced hepato-nephrotoxicity.

천마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 허진철;박자영;안상미;이진만;윤치영;신흥묵;권택규;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3-87
    • /
    • 2006
  • 한의학에서 천마는 여러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이 되는 한약재이다. 본 연구는 천마의 항산화활성과 항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천마와 이를 이용한 식음료를 이용하여 항산화활성과 암세포를 이용한 세포의 운동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활성의 경우 DPPH, FRAP, Hydroxyl radical assay를 실시하였으며, 항암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wound / invasion assay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천마의 항산화 활성은 매우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DPPH / FRAP 실험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항암효과로 세포의 운동성을 확인한 결과 천마와 제품군 모두에서 세포의 운동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천마는 항산화 효과와 함께 암세포의 운동성을 억제하는 항암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절초 꽃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 유선희;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62-770
    • /
    • 2016
  • 본 연구는 구절초 꽃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과 피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항염증,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구절초 꽃 추출물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높은 함량과 뛰어난 DPPH radical 소거작용을 확인하였고, Raw 264.7세포와 B16F10세포에 대해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Raw 264.7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절초 꽃 추출물이 B16F10세포에 ${\alpha}$-MSH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후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멜라닌의 생성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구절초 꽃 추출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고, 높은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미백효과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우엉차의 항산화 활성과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Changes to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Amino Acid Content of Arctium lappa Tea by Heat Treatment)

  • 임도연;이경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58-136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엉의 뿌리를 차의 원료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적정한 가열 처리 조건 설정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열처리 단계의 가열 온도와 시간에 따른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변화와 항산화 활성수준 등을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에서 180℃-4분 가열 처리 조건과 200℃-3분 가열 처리 조건이 비교적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폴리페놀 함량 측정에서 200℃-3분 가열 처리 조건과 180℃-4분 가열 처리 조건에서 각각 62.74 mg/l와 60.09 mg/l로 다른 가열 조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인 것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열 조건별 우엉차의 유리 아미노산 분석 결과에서 가열온도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초기의 아미노산 함량보다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phenylalanine, histidine, leucine과 isoleucine 등의 함량 변화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aspartic acid, proline 등은 비교적 감소 비율이 낮았다. 전반적으로 180℃에서 3분~4분 가열 조건과 200℃의 2분 가열 조건을 넘어서는 온도와 시간 조건에서는 아미노산 함량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실험이 실시된 항산화 활성과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기준으로 180℃-4분 수준의 가열 처리 조건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출 조건에 따른 어수리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Various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Extracts)

  • 방지은;최해연;김순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65-771
    • /
    • 2009
  • 본 연구는 생식으로만 이용하고 있는 어수리 잎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80^{\circ}C$ 50% 에탄올/ $20^{\circ}C$ 50% 에탄올/ $80^{\circ}C$ water/ $20^{\circ}C$ water) 어수리를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성 물질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80^{\circ}C$에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64.73 mg GA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80^{\circ}C$에서 5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은 50 ppm에서 69.14%, reducing power는 1000 ppm에서 흡광도 0.93을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1000 ppm에서 85.62%의 성을 보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추출방법 중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50% 에탄올 추출물의 일반성분 측정결과 수분함량은 6.38%, 조단백질 함량은 4.35%, 조지방 함량은 0.67%, 그리고 조회분 함량은 1.96%였다. 또한 무기질 분석결과 Na 53.41 mg/100 g, K 396.26 mg/100 g, Mg 5.80 mg/ 100 g, P 47.17 mg/100 g, Zn 0.40 mg/100 g, Fe 5.27 mg/100 g, 그리고 Ca 3.56 mg/100 g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어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관련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4.73 mg GAE/g과 49.54 mg RE/g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어수리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 시 $80^{\circ}C$에서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항산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청미래덩굴 잎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alpha}$-Glucosidase 억제 및 항염증 활성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leaf and root extracts of Smilax china L.)

  • 김경곤;강윤환;김대중;김태우;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4호
    • /
    • pp.315-323
    • /
    • 2013
  • 본 연구에서 청미래덩굴 잎과 뿌리의 물추출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에서 더 많은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도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함량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잎에서 높은 활성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항당뇨 효능에 대한 최초의 시도로서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뿌리추출물에서는 효소의 억제력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잎 추출물에서는 농도 및 반응시간의 증가에 따라 억제력이 증가하여 물 추출물 상태에서 1 mg/mL 기준으로 acarbose의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과 비교하여 71.8%의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당뇨와 염증의 관련성이 대두되는 최근의 연구 상황에서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의 IL-$1{\beta}$, IL-6, iNOS, COX-2의 mRNA 발현 억제작용을 확인함으로써 염증반응의 개선 가능성도 제시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의 항산화능,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능 및 항염증효능을 확인함으로써 neutraceuticals 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증명하였고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