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 oxidative

검색결과 1,623건 처리시간 0.039초

Effects of Taurine on Sperm Characteristics during In vitro Storage of Boar Semen

  • Jang, H.Y.;Kong, H.S.;Park, C.K.;Oh, J.D.;Lee, S.G.;Cheong, H.T.;Kim, J.T.;Lee, S.J.;Yang, B.K.;Lee, H.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1호
    • /
    • pp.1561-1565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aurine on sperm characteristics for in vitro storage of boar semen. Semen was randomly divided into 10 groups in conical tubes and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aurine (25-100 mM) with or without $250{\mu}M$ $H_2O_2$. The percentage of motile spermatozoa in taurine groups after 6 and 9 h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94% and 87%,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85.1{\pm}0.5$ and $72.4{\pm}0.3$, p<0.05). The sperm motility in taurine with $H_2O_2$ after 6 h incubation was sligh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taurine alone treatment, but after 9 and 12 h incubation % sperm motility dropped sharply in taurine with $H_2O_2$ ($75.3{\pm}0.3$ and $69.6{\pm}2.9$, p<0.05). For 3, 9 and 12 h incubation, sperm viability in the control was lower than in taurine groups, irrespective of taurine concentration. In eosin Y and nigrosin staining (ENS), the sperm survival rates (%) for 6 h incub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5 mM ($76.0{\pm}0.6$) and 50 mM taurine groups ($78.0{\pm}0.7$), respectively. Sperm survival rates for 9 and 12 h incubation were higher in taurine groups (${\geq}48%$ in 9 h and ${\geq}42%$ in 12 h) compared to controls ($43.0{\pm}2.1$ and $31.0{\pm}0.6$, respectively). In the hyoosmotic swelling test (HOST), sperm membrane integrity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sperm survival. These experimen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taurine to the semen extender can increase the sperm characteristics(motility, viability, survival and membrane integrity).

항산화 및 암전이 관련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콩잎낙엽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Soybean Fallen Leaves Ethanolic Extract on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 Invasion)

  • 송채은;이수경;홍수경;류준하;김문무;오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39-445
    • /
    • 2016
  • 콩잎은 골다공증 및 유방암 발생을 예방한다고 널리 보고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콩잎낙엽 에탄올 추출물(SBFL)을 제조하여 암 전이와 관련 있는 세포침윤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섬유아육종세포(HT1080)에서 SBFL이 항산화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성산소의 소거 효과에 대한 SBFL효과는 DPPH radical,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실험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SBFL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vitamin C 및 vitamin E와 비교 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SBFL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16 µg/ml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여주었다. SBFL은 gelatin zymography 실험에서 phorbol 12-myristate 13-acetae (PMA) 혹은 phenazine methosulfate (PMS)로 자극된 암 전이에서 중요한 MMP-9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특히 SBFL은 단백질 발현 실험에서 SOD-1, p-FoxO-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더욱이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로 자극된 세포 침윤이 SBFL처리에 의하여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SBFL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MMP-9의 활성과 세포침윤을 억제시켜 암 전이의 예방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식용곤충 분리단백의 특성 및 활용연구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oteins isolated from edible insects)

  • 김선민;안채원;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37-542
    • /
    • 2019
  • 국내에서 식용으로 유통 및 판매가 가능한 7종의 곤충 중 누에(Bombyx mori),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의 4종을 대상으로 단백질을 분리하고, 유청 단백질과 비교하여 항산화 및 영양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물시료에서 분리한 단백질의 수율은 65.0-75.0%로 나타났다. 각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모든 곤충 시료에서 필수 아미노산인 Phe, Trp은 유청 단백질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근육생성에 도움이 되는 세 종류의 BCAA아미노산 중 Val은 모든 곤충단백질에서 유청단백과 유사한 함량을 보였으며, BCAA함량은 곤충분리단백질 중 쌍별 귀뚜라미와 갈색거저리 유충에서 그 함량이 각각 16.8과 16.4%로 가장 높아 유청단백(22.2-23%)의 73-76%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 단백질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유청단백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곤충단백중에는 누에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항산화활성 또한 곤충단백이 유청단백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갈색거저리 유충에서의 활성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관능검사결과에서는 시판 단백질파우더와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했을 경우, 유청단백의 25%의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맛과 향이 대조군에 비해 많이 떨어지므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곤충단백질은 유청단백질에 비해 BCAA함량은 다소 낮았지만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이 있으므로 아미노산 조성을 참고하여 특정목적 단백질 제품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음이 확인되었다.

Native plants (Phellodendron amurense and Humulus japonicus) extracts act as antioxidants to support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blastocysts

  • Do, Geon-Yeop;Kim, Jin-Woo;Park, Hyo-Jin;Yoon, Seung-Bin;Park, Jae-Young;Yang, Seul-Gi;Jung, Bae Dong;Kwon, Yong-Soo;Kang, Man-Jong;Song, Bong-Seok;Kim, Sun-Uk;Chang, Kyu-Tae;Koo, Deog-B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9호
    • /
    • pp.1245-1252
    • /
    • 2017
  • Objective: Phellodendron amurense (P. amurense) and Humulus japonicus (H. japonicus) are closely involved in anti-oxidative response and increasing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However, the effects of their extracts on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bovine embryos have not been investigat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 amurense and H. japonicus extracts on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quality of preimplantation bovine embryos. Method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bovine embryos were cultured for 7 days in Charles Rosenkrans amino acid medium supplemented with P. amurense ($0.01{\mu}g/mL$) and H. japonicus ($0.01{\mu}g/mL$). The effect of this supplementation during in vitro culture on development competence and antioxidant was investigated. Results: We observed that the blastocysts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P. amurense ($28.9%{\pm}2.9%$), H. japonicus ($30.9%{\pm}1.5%$), and a mixture of P. amurense and H. japonicus ($34.8%{\pm}2.1%$) treated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25.4%{\pm}1.6%$). We next confirmed that the intracellular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in P. amurense and/or H. japonicus extract treated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expression of cleaved caspase-3 and apoptotic cells of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bovine blastocysts derived from both P. amurense and H. japonicus extract treated embryo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per treatment with P. amurense and H. japonicus extracts in the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bovine embryos improves the quality of blastocysts, which may be related to the reduction of ROS level and apoptosis.

회화나무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의 피부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Sophora Japonica L. Flowers, Fruits and Branches on Improvements in Skin Condition)

  • 송행선;장혜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1-35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ophora japonica L. (S. japonica)학명의 콩과 식물 낙엽교목인 회화나무의 꽃, 열매, 가지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l,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력 측정 및 porcine pancreatic elastase (PPE) 저해력 측정을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평균 각각 261.37 mg/g, 187.49 mg/g, 81.26 mg/g이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50~1,000 mg/L 농도에서 회화나무 꽃 추출물은$17.68{\pm}1.59{\sim}51.40{\pm}1.04%$, 열매 추출물은 $27.48{\pm}0.22{\sim}50.89{\pm}0.13%$, 가지 추출물은 $30.79{\pm}0.55{\sim}45.17{\pm}0.83%$ 범위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티로시나제 저해능과 PPE 저해능을 실험한 결과 회화나무 꽃 추출물은 $0.27{\pm}0.12{\sim}11.38{\pm}0.57%$, $3.70{\pm}1.23{\sim}7.28{\pm}1.01%$ 열매 추출물은 $0.27{\pm}0.02{\sim}0.82{\pm}0.27%$, $3.06{\pm}2.13{\sim}13.03{\pm}2.99%$, 가지 추출물은 $0.09{\pm}0.16{\sim}0.55{\pm}0.27%$, $6.00{\pm}0.96{\sim}9.71{\pm}0.44%$ 범위로 티로시나제 저해능은 꽃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회화나무의 피부개선에 미치는 효능, 효과를 살펴본 결과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이 각 부위별로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Physiological Damages and Biochemical Alleviation to Ozone Toxicity in Five Species of genus Acer

  • Han, Sim-Hee;Kim, Du-Hyun;Lee, Kab-Yeon;Ku, Ja-Jung;Kim, Pan-Gi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51-560
    • /
    • 2007
  • We investigated physiological damages and biochemical alleviation of five species of genus Acer under ozone fumigation in order to assess their tolerant ability against ozone toxicity. At the end of 150 ppb $O_3$ fumigation,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nd chlorophyll contents, malondialdehyde (MDA)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e leaves of five maple trees (Acer buergerianum, A. ginnala, A. mono, A. palmatum, and A. palmatum var. sanguineum). The reduction of chlorophyll (chl) a in ozone-exposed plants was 16.8% (A. buergerianum) to 26.7% (A. ginnala) of control plants. For the content of chi b, A. ginnala and A. palmatum var. sanguineum represented the high reduction of 26.3% and 23.6%, respectively. The highest reduction on the chi a:b ratio was observed in the leaves of A. palmatum. The reduction of net photosynthesis in five species varied from 2.4% to 37.6%. Among five species, A. ginnala showed remarkable reduction (37.6%) for net photosynthesis in comparison with control. Carboxylation efficiency differed significantly (P < 0.05) among species and between control and ozone treatment. The reduction of carboxylation efficiency was the highest in the leaves of A. ginnala (44.7%). A. palmatum var. sanguineum showed the highest increase (41.7%) for MDA content. The highest increase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represented in A. palmatum (26.1%) and the increase of ascorbate peroxidase (APX) activity ranged from 16.5% (A. ginnala) to 49.1% (A. palmatum var. sanguineum). A. mono showed the highest increase (376.6%) of glutathione reductase (GR) activity under ozone fumigation and A. buergerianum also represented high increase (42.3%) of GR activity. Catalse (CAT) activity increased in the leaves of A. ginnala, A. palmatun and A. palmatum var. sanguineum under ozone exposure, whereas A. buergerianum and A. mono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plants. In conclusion, physiological markers such as chlorophyll content and photosynthesis that responded sensitively to $O_3$ in maple trees were considered as the very important indicators in order to evaluate the tolerance against $O_3$ stress, and parameters were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Among anti oxidative enzymes, SOD and APX might be contributed to alleviate to $O_3$ toxicity through the increase of activity in all maple trees. Therefore, these compounds can be used as a biochemical maker to assess the stress tolerance to $O_3$.

금은화 수용성 추출물의 LPS 유도 염증매개물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Lonicera japonica Flower on LPS-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 264.7 Macrophages.)

  • 윤용갑;김규민;이성준;유승훈;장선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7-125
    • /
    • 2007
  • Objective : Lonicera japonica (Caprifoliaceae) has long been used for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in oriental countr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ive the effect by which the aqueous extract from flower of L. japonica (LJFAE) inhibited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in murine macrophages, RAW 264.7 cells Methods : The dried flowers of L. japonica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t $100^{\circ}C$ for 7 h. The extract was filtered through 0.45 ${\mu}m$ filter, freeze-dried. The dried extract was dissolved in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and filtered through 0.22 ${\mu}m$ filter before use. Accumulated nitrite, an oxidative product of nitric oxide (NO), was measured in the culture medium by the Griess reaction. The levels of prostaglandin E2 (PGE2),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L-6 producti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LJFAE (10-400 ${\mu}g$/ml) per se had no cytotoxic effect in unstimulated macrophages, but LJFAE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ed NO, PGE2, TNF-, IL-l, and IL-6 production and COX-2 activity caused by stimulation of LPS. The levels of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s were markedly suppressed by the treatment with LJFA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JFAE suppress the NO and PGE2production in macrophages by inhibiting iNOS and COX-2 expression and these properties may contribute to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onicera japonica.

  • PDF

고욤(Diospyros lotus)잎 유래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가려움 활성 (Antioxidant and Antipruritic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Diospyros lotus Leaves)

  • 전인화;강현주;김상준;정승일;이현서;장선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35-1641
    • /
    • 2014
  • 본 연구는 고욤잎 유래 EA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가려움 활성을 조사하였다. EA 분획물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수용성 및 MeOH 추출물보다 매우 우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합성 항산화제인 BHT보다 현저히 높았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도 수용성과 MeOH 추출물뿐만 아니라 Trolox보다 현저히 높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EA 분획물과 수용성 및 MeOH 추출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었다. 또한 EA 분획물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활성화된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방출 억제와 TNF-${\alpha}$ 생성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같은 농도에서 수용성 및 MeOH 추출물보다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더욱이 EA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compound 48/80으로 유도된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이 있었고, 같은 농도에서 항가려움 약제로 알려진 azelastine보다는 그 효과가 낮았지만 수용성 및 MeOH 추출물뿐만 아니라 methysergide보다 우수한 항가려움 효과를 발휘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항가려움 효과에 대한 EA분획물의 분자적 작용기전을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고욤잎 유래 EA 분획물은 강력한 항산화 및 항가려움 활성을 지닌 우수한 소재라 사료된다.

굴 가수분해물이 SD-Rat의 혈청과 간 균질물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Oyster Hydrolysate on the Serum and Hepatic Homogenate in SD-rats)

  • 허성익;박시향;이수선;정세영;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40-1948
    • /
    • 2013
  • Sprague Dawley계 rat을 이용하여 굴 효소 가수분해물 함유식이가 혈청과 간 균질액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식이 그룹은 대조군과 실험군으로써 TGPN 굴 효소 가수분해물 1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TGPN-100FG), TGPN 2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TGPN-200FG), PN 가수분해물 시료 1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PN-100 FG), 2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PN-200FG) 5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식이를 제공하여 실험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TGPN-200FG 식이군이 혈청과 간 균질액에서 각각 28.9%, 26.1%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간 균질물의 중성지질은 TGPN-100FG 식이군에서 6.3%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은 TGPN-200FG에서 유의적으로 34.7% 감소하였다. 굴 가수분해물 TGPN-200FG는 수퍼옥사이드 및 히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함으로써 라디칼 소거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수준을 감소시키며, 단백질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환경에 따른 가공식품 소재로서 참취의 품질 비교 (Quality assessment of Aster scaber cultured at different conditions for processed food production)

  • 오일남;김정은;곽지윤;조혜진;유민지;정다한;김연미;박규빈;누엔푸끙;박종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71-376
    • /
    • 2018
  • 산채류의 생리활성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산채류의 소비가 늘고 있지만 아직 수확시기 외에는 신선한 산채의 섭취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바쁜 현대인들의 직접적인 조리는 더욱 어렵기 때문에 가공식품으로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산채작물인 참취의 재배 방법에 따른 품질비교와 데치기 처리 전후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노지재배 참취는 시설재배에 비해 총 페놀성 화합물 양은 물론 산화방지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본올 중에서는 특히 퀘세틴이 시설재배에 비하여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치기 처리 시 경도와 영양성분, 기능성성분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변화 정도에 있어 재배방법에 따른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색도의 경우 노지재배 참취가 시설재배에 비하여 확연히 진한 색을 나타내었는데 데치기 전후의 색도변화는 두 시료 모두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당 함량은 노지재배 참취가 두 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이적으로 엿당은 검출되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노지재배 참취의 영양적 가치가 시설재배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데치기 처리에 따른 성분변화와 색도변화 양상은 재배방법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