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kle-brachial index (ABI)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당뇨병성 말초혈관병증에서 항혈소판제의 효과: 발목상완지수 및 맥파전달속도를 통한 비교 (Effect of Antiplatelets in Diabetic Peripheral Vasculopathy: Comparison by Ankle-Brachial Index and Peak Wave Velocity)

  • 박세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9-16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antiplatelet drugs in diabetic peripheral vasculopathy in diabetic foot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designed a retrospective study in diabetic foot patients with diabetic peripheral vasculopathy. From October 2007 to December 2013, 278 cases in 139 patients who took antiplatelet drugs over at least a six-month perio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categorized these pati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drug used. The efficacy of antiplatelet drugs was evaluated using anklebrachial index (ABI) and pulse wave velocity (PWV). Results: Only the aspirin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ABI after antiplatelet therapy ($1.10{\pm}0.12$ to $1.12{\pm}0.11$). In addition, only the cilostazo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PWV after antiplatelet therapy ($1,701.20{\pm}396.56$ to $1,627.42{\pm}324.98$). Conclusion: Aspirin and cilostazol may be used in treatment of diabetic peripheral vasculopathy, whereas dual antiplatelet therapy with aspirin and clopidogrel has no specific benefits in diabetic peripheral vasculopathy.

Pulse Wave Velocity, Ankle Brachial Index와 담음(痰飮)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Clinical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Retention of Fluid and PWV/ABI)

  • 박명원;조정훈;장준복;이경섭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73-78
    • /
    • 2004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retention of fluid and PWV/ABI. Methods : The sample consists of 35 women who took plethynography(VS-1000;Fukuda Co.Ltd, Japan) at Oriental medicine exhibition held in COEX mall from August. 26. 2004 to August. 29. 2004. They were asked the intensity of the symptoms like dizziness or headache, nausea or bowel trouble, coldness in knee, and palpitation(1:none, 2:a little, 3:mild, 4:moderate, 5:severe). Women who answered 1,2 were classified as control group, and women who answered 3,4,5 were experimental group. Result : There was sta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zziness and ABI Conclusion : It is believed that ABI may be the favorable alternative to the diagnosis of dizziness or headache.

  • PDF

정상 청소년에서 맥파 속도와 발목 상완 동맥압 지수에 대한 연구 (Pulse wave velocity and ankle brachial index in normal adolescents)

  • 김지혜;길태영;이희우;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6호
    • /
    • pp.549-555
    • /
    • 2007
  • 목 적 : 성인에서 맥파 속도와 발목 상완 동맥압 지수는 동맥 경직도를 측정할 수 있는 비침습적 방법이며 혈압, 고지혈증 등의 심혈관계 위험 인자와 연관성이 있어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와 혈압, 맥파 속도, 발목 상완 동맥압 지수를 측정하였고 이들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정상 기준값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서울 시내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5-16세 사이의 청소년 392명(남자 213명, 여자 179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좌우 상완 및 발목의 수축기, 이완기, 평균 혈압과 양측 맥파 속도, 발목 상완 동맥압 지수, 박출 시간, 전구출기를 VP-1000(Colin사, Komaki,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사지의 수축기, 이완기 평균 혈압은 남자에서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우측 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남자에서 $1,015.4{\pm}130.0cm/sec$, 여자에서 $947.6{\pm}105.1cm/sec$로서 남자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좌측 상완 발목 맥파 속도도 마찬가지로 남자에서 $1,023.4{\pm}132.5cm/sec$, 여자에서 $954.6{\pm}102.4cm/sec$로 남자에서 유의하게(P<0.05) 높은 값을 보였다. 발목 상완 동맥압 지수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우측 상완-발목 맥파 속도의 기준값는 남자에서 1,032.4 cm/sec, 여자에서 963.1 cm/sec이었고, 좌측 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남자에서 1,041.3 cm/sec, 여자에서 969.7 cm/sec이었다. 우측 발목 상완 동맥압 지수의 기준값은 남자에서 1.06, 여자에서 1.06이었으며, 좌측 발목 상완 동맥압지수의 기준값은 남자에서 1.05, 여자에서 1.06이었다. 맥파 속도는 사지 모두에서 혈압이 높아질수록,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신장이 커질수록, 체중이 증가할수록, 체질량지수가 커질수록 사지의 혈압이 증가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발목 상완 동맥압 지수는 남녀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어느 것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혈압은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에 따라 높아지며 맥파 속도와 혈압 사이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정상 청소년에서 측정한 맥파 속도의 기준값을 바탕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조기 발견하고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족부 무지외반증 수술 후 후유증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Sequela of Operation of Hallux Valgus)

  • 정수정;박경미;송유림;조성희;양승정;마영훈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3-192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a sequela of operation of hallux valgus.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Dangkisoosan-gami, Acupuncture treatment including Herbal-Acupuncture and physical therapy. We evaluated treatment effects by circumference of foot and ankle, Edema index score by Body Composition Analyzer, Ankle-Brachial Index (ABI)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Results : After 25 days of treatment, the symptoms such as lower extremity edema, foot pain and ankle pain were improved. Conclusions : In this case,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a sequela of operation of hallux valgus was effective.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se methods.

당뇨발 환자에서 Syme 절단술의 위험 인자 (Risk Factors of Syme Amputation in Patients with a Diabetic Foot)

  • 곽희철;김전교;김영준;이정한;이운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8-8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foot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Syme amput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7 patients diagnosed with a diabetes mellitus foot and who had undergone a Syme amputation from January 2010 to January 2014. Some of the risk factors (age, body mass index [BMI], disease duration, smoking, ankle brachial index [ABI], HbA1c, serum albumin, total lymphocyte, C-reactive protein [CRP], and serum creatine) that affect the successful Syme amputation were analyzed. Results: The healing rate of a Syme ampu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lymphocyte count was above $1,500mm^3$ (p=0.029). The factors affecting the surgical outcome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is were HbA1c and the BMI (p=0.014, p=0.013). Regarding reampu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HbA1c, lymphocyte, and BMI (p=0.01, p=0.03, and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age, diseas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smoking, ABI, serum albumin, CRP, and serum creatine. Conclusion: The HbA1c level, BMI and total lymphocyte count are risk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successful Syme amputation in patients with diabetic foot disease.

비만 청소년에서 맥파 속도와 발목 상완 동맥압 지수에 대한 연구 (Pulse wave velocity and ankle brachial index in obese adolescents)

  • 김지혜;구희선;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078-1084
    • /
    • 2007
  • 목 적 : 맥파 속도는 동맥 경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이다. 비만은 여러 가지 기전에 의하여 동맥 경직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소아 비만에서 맥파 속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저자들은 비만 청소년에서 비만이 맥파 속도와 발목 상완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1군은 15-16세 사이의 체질량지수가 85-95 백분위수 사이인 비만 위험군 청소년 40명(남자 22명, 여자 18명)으로 하였고, 2군은 체질량지수가 95백분위수 이상인 비만 청소년 39명(남자 26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청소년 99명(남자 54명, 여자 4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신장,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를 산출하였고, VP-1000 기기(Colin Medical Technology Company, Komaki, Japan)를 이용하여 사지 수축기, 이완기, 평균 혈압, 양측 맥파 속도, 발목-상완 동맥압 지수, 박출 시간, 전구출기를 측정 후 비교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와 좌우 상완-발목 맥파 속도, 발목-상완 동맥압 지수, 혈압을 비교 분석하였고, 각 변수 간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 우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1군(944.8 cm/sec)이나 3군(941.0 cm/sec)에 비하여 2군(1,012.8 cm/sec)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여 주었고, 좌상완-발목 맥파 속도도 2군(1,015.3 cm/ sec)에서 1군(940.1 cm/sec)이나 3군(942.2 cm/sec)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발목-상완 동맥압 지수, 심박동수, 전구출기/박동 시간 값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완-발목 맥파 속도와 혈압은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발목-상완 동맥압 지수는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어느 것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맥파 속도가 증가하는 점을 볼 때, 비만이 동맥 경직도의 증가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맥파 속도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비만군 및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성인기에 심혈관 질환으로 이환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노인에서 동맥경화지표와 단문형 국제신체활동설문지(IPAQ­SF)로 평가한 신체활동수준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rterial Stiffnes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Assessed by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hort form (IPAQ­SF) in the Elderly)

  • 이현주;곽지연;전하연;김은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6-245
    • /
    • 2020
  • Objectives: Cardiovascular disease is a major cause of death in the elderly in Korea. Increased arterial stiffness is linked to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erial stiffness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Methods: A total of 209 older adults (110 men and 99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terial stiffness of subjects such as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and ankle brachial pressure index (ABI) was measured using a non-invasive vascular screening device (VP-1000 Plus, Omron, Kyoto, Japan). The interviewed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short form (IPAQ-SF) was used to evaluate subject's physical activity level and classify subjects as active or inactive group based on the time spent doing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MVPA). Results: The mean age of total subjects was 75.3 ± 5.6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distribution between the active group (39.7%) and inactive group (60.3%). The baPWV (1,758.1 ± 375.2 cm/sec) of the activ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1,969.7 ± 372.3 cm/sec) of the inactive group (P < 0.05).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association between time spent in MVPA and baPWV (r = -0.245, P < 0.01).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older adults are needed to prevent arteriosclerosis.

음주남성의 나이대별 생리학적 변수들의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Variables by Age Group in Drinking Men)

  • 현경예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374-1381
    • /
    • 2009
  • 본 연구는 남성 음주자의 나이대별 생리학적 변수들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30대 남성들은 waist-hip ratio, 좌 우 심장-발목 혈관지수, 좌 우 발목-상완지수, 아밀라제, hs-CRP, CPK가 가장 낮았고 체중, IL-6, 좌 우 안와혈압, 혈색소, 적혈구수, 적혈구 분포도, ALT,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페르틴 농도는 높게 나타났다. hs-CRP, CPK는 40대 음주남성에서 높았지만 페리틴 농도는 반대였다. 50대 음주남성에서는 WHR이 높았으며 이완기 혈압, 좌 우 안와혈압, 호산구와 아밀라제 농도는 높게 나타냈다. 60대 음주남성에서는 좌 우 심장-발목 혈관지수, 평균 혈색소 농도, $\gamma$-GTP, RF, AFP, PSA의 농도는 높았으며, 체중, 이완기 혈압, 좌 우 안와혈압, 혈색소, 혈소판, 백혈구, 적혈구 분포지수, 호산구, 단구, 아밀라제 중성지방, CPK 농도 변화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음주는 남성들에 있어 나이대별로 다양한 생리학적 변화를 유도 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음주가 성별, 즉 남녀 간에 미치는 생리학적 영향의 차이에 대한 연구 역시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 해녀의 맥파전도속도 분석 (The Analysis of Pulse Wave Velocity of Jeju female divers)

  • 이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515-52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는 평균 연령이 높은 제주 해녀의 경-대퇴 맥파 전도 속도와 발목-상완지표를 측정하여 찬물에서 산소의 보조 없이 채취활동을 하는 제주 해녀의 동맥 혈관의 경직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대퇴 맥파 전도 속도는 동연령대의 일반여성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발목-상완지표(ABI)는 해녀와 일반여성 모두 정상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일반여성보다 해녀집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의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침수활동을 통해 신체의 적응이 이미 완료된 상태로써 저온 및 높은 수압환경에 대한 적응이 완료된 신체상태이며, 아울러 높은 신체활동 수준으로 인하여 말초혈관저항이 고연령임에도 불구하고 감소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동연령 여성들보다 양호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해녀들의 고령화는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중요한 현상이기에 동맥혈관경직도에 대한 관심과 향후의 지속적인 연구는 반드시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ontrol of Femoral Cannulation with a ProGlide Pre-Closure Device during Cardiac Surgery: Is It Reliable?

  • Kim, Chang Hun;Ju, Min Ho;Lim, Mi Hee;Lee, Chee-Hoon;Je, Hyung G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3호
    • /
    • pp.179-185
    • /
    • 2021
  • Background: The use of ProGlide as a percutaneous vascular closure device in cardiac surgery remains inconclus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using ProGlide in the percutaneous cannulation of femoral vessels in adult cardiac surgery. Methods: From September 2017 to July 2018, 131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femoral vessel cannulation during cardiac surgery. The ProGlide (Abbott Vascular Inc., Santa Clara, CA, USA) with percutaneous cannulation was used in 118 patients (mean age, 55.7±15.5 years). The accessibility of femoral cannulation was evaluated through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For cannulation, sonography was routinely used. The postoperative ankle-brachial index (ABI) was used to evaluate femoral artery stenosis. Results: Of the 118 patients, 112 (94.9%) and 6 (5.1%) underwent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and median sternotomy, respectively. Most femoral cannulations were performed on the right side (98.3%) using 15F to 19F arterial cannulas. The technical success rate of cannulation with ProGlide was 99.2%, with no delayed bleeding or cannulation site-related complications during hospitalization. During follow-up, only 1 patient showed femoral artery stenosis with claudication and was treated with interventional balloon angioplasty. The postoperative ABI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stenosis between the cannulation and non-cannulation sides (n=86; cannulation vs. non-cannulation, 1.2±0.1 vs. 1.1±0). Conclusion: Percutaneous femoral cannulation with ProGlide was safe and feasible in adult cardiac surgery. This technique may be a good alternative option in patients requiring femoral vessel cannulation for cardiac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