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waste

검색결과 416건 처리시간 0.028초

축산에서 기후변동 관련 기체의 발생원과 방지대책 (Possibilities for Reduction and the Emissions of Trace Gases from Livestock System)

  • 류종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7-45
    • /
    • 1998
  • There are a lot of trace gas of gaseous pollutants produced from farm animals. CO2 and CH4 are gases produced directly by the animal. NH3, N2O are produced from animal waste. Most of the effects of these gaseous pollutants on the farm animal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detail. CO2 emission from animal is very little. CH4 release from ruminant is also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potential global warming. Nitrous oxide (N2O) emissions could be avoided by using organic or mineral fertilizer only as much as is needed by plant growing.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about problems and solving strategies for possibilities for reduction of gaseous pollutants. The way to reduce the gaseous pollution risks from livestock systems are discussed.

u-ICT기술의 가축분뇨 통합관리 시스템 적용방안 연구 - 액비화 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Livestock Manure Management System Using u-ICT - Focusing on liquid fertilization -)

  • 구지희;정태웅;조진현;이상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sup호
    • /
    • pp.7-12
    • /
    • 2012
  • To prevent the inappropriate treatment of livestock manure and induce the correct circulation of them into farmland, systematic monitoring and management by the treatment and circulation stage of livestock manure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ubiquitous information communictation technology (u-ICT) to a livestock waste management system for better treatment by utilizing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in the livestock sector. Elements and levels of applicable u-ICT technology for efficient livestock manure management were deriv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as suggested by analyzing the existing liquid fertilization process.

국내 참치 부산물 내 히스타민 생성 주요 세균의 특성 구명 (Characteristics of Histamine Forming Bacteria from Tuna Fish Waste in Korea)

  • 방민우;정창대;김선호;장문백;이성실;이상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77-283
    • /
    • 2009
  • Biogenic amines은 발효제품과 같이 어류 속의 미생물에서 분비된 decarboxylase의 free amino acid의 decarboxylation에 의해 형성된다. 본 연구는 국내 어분 제조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참치 부산물의 항영양인자로 작용하는 biogenic amines (histamine, tyramine, tryptamine, putrescine, cadaverine)의 분해조절을 위해 참치 부산물의 특성 구명을 위한 연구로 실시하였다. 참치 부산물의 pH 및 염도 농도는 6.51과 3.35%이었으며, 참치 어분의 pH 및 염도 농도는 5.58과 5.83% 이었다. 참치 부산물 내 존재하고 있는 균주 및 주요 미생물을 확인한 결과 Total bacteria, aerobic plate count (APC), Total coliform (TC), Lactobacillus spp. 및 Bacillus spp.는 각각 9.20, 9.29, 5.67, 7.82 및 7.58(Log CFU/g)이었다. 참치 부산물 내 히스타민 주요 생성균을 확인하기 위해 TLC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히스타민 선택배지에서 추출한 미생물 중 총 7종의 히스타민 생성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HPLC 분석을 통하여 히스타민 농도를 측정하여 아민 생성 미생물을 재확인하였다. Trypicase soy broth에 1% L-histidine (TSBH)을 첨가한 배지에서 분리한 7종의 히스타민 생성 균주를 16SrRNA 염기서열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참치 부산물내 주요 우점 아민 생성 미생물은 L. lactis subsp. lactis, K.pneummonlae, L. garvieae, V. olivaceus, H. alvei, L. garvieae 및 Morganella morganii가 주요 균주로 분석되었다. 16S rRNA 분석결과로 만들어진 phylogenetic tree는 다른 계통임을 보여주며 이는 biogenic amine을 생성하는 그람 양성 및 음성균으로 분류될 수 있다.

By-product of Tropical Vermicelli Waste as a Novel Alternative Feedstuff in Broiler Diets

  • Rungcharoen, P.;Therdthai, N.;Dhamvithee, P.;Attamangkune, S.;Ruangpanit, Y.;Ferket, P.R.;Amornthewaphat,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2호
    • /
    • pp.1732-1741
    • /
    • 2013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ermicelli waste (VW) and effect of VW inclusio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In experiment 1, VW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vermicelli industry in Thailand to analyze nutritional composition. Vermicelli waste contained 9.96% moisture, 12.06% CP, 32.30% crude fiber (CF), and 0.57% ether extract (EE), as DM basis. The ratio of insoluble:soluble non-starch polysaccharide (NSP) was 43.4:8.9. A total of 120 chicks (6 pens per treatment and 10 chicks per pen) were fed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or 20% VW substituted diet to determine the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corrected for nitrogen retention ($AME_n$) of VW. The $AME_n$ of VW was $1,844.7{\pm}130.71$ kcal/kg. In experiment 2, a total of 1,200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4 dietary treatments for 42-d growth assay. There were 300 chicks with 6 pens per treatment and 50 chicks per pen. The dietary treatments contained 0%, 5%, 10%, or 15% VW, respectively. Al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caloric and isonitrogenous. From 0 to 18 d of age chicks fed VW diets had higher (p<0.001) feed conversion ratio (FCR)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No difference was observed during grower and finisher phase (19 to 42 d). Chicks fed VW diets had lower relative weight of abdominal fat (p<0.001) but higher relative weight of gizzard (p<0.05) than those of chicks fed the control diet. Increasing VW inclusion levels increased ileal digesta viscosity (p<0.05) and intestinal villus height of chicks (p<0.001). For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ssay, there were 4 metabolic cages of 6 chicks that were fed experimental treatment diets (the same as in the growth assay) in a 10-d total excreta collection. Increasing VW inclusion levels linearly decreased (p<0.05)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DM and CF.

발효한 남은 음식물사료의 급여가 돼지의 성장 및 돈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Food Wast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in Pigs)

  • 박용국;윤민성;주원석;용홍봉;박형용;김유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61-37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ermented food waste (FFW) supplementation on growth, nutrient digestibility and pork quality of growing pigs. A total of 48 crossbred pigs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Treatments were 1) Control (basal), 2) FFW 2% (basal+2%FFW), 3) FFW 4% (basal+4%FFW) and 4) FFW 6% (basal+6%FFW). Diets were formulated based on corn-soybean meal and the FFW products were provided to weaning, growing and finishing period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FFW treatment groups showed similar ADG, ADFI and G:F ratios (P>.10) compared to control group. However, In the finishing period, pigs fed 6% FFW tended to be lower ADG than other dietary treatments (P=0.13) resulting in lower final weight. All pigs showed inconsistent blood urea nitrogen (BUN) concentrations pattern. In metabolic trial, nutrient digestibility was not affected by the supplementation of FFW. The pork quality was affected by the supplementation of FFW based upon pork pH, lipid peroxidation (TBARS) and meat color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tilization of fermented food waste to growing pig's diet reduce production cost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 on pork quality when it was provided at low level.

폐오일을 이용한 아마이드계 아스팔트 박리방지제의 합성 및 특성 분석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of asphalt anti-stripping agents, amides synthesized from waste oils)

  • 이상아;김지웅;조남준
    • 분석과학
    • /
    • 제29권6호
    • /
    • pp.300-304
    • /
    • 2016
  • 폐지방산과 ethylenediamine 또는 N,N'-bis (2-hydroxyethyl)ethylenediamine으로부터 아스팔트 박리방지제를 합성하였다. FT-IR과 NM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아마이드결합의 생성 및 박리방지제의 합성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이 확인하였다. 합성된 여러 종류의 박리방지제의 접착특성은 접촉각과 BBS 시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접촉각 측정으로부터 에틸렌다이아민과 동물유지로부터 제조된 시료가 가장 소수성이 컸으며, BBS 시험으로부터 수분저항성도 94%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에틸렌다이아민과 폐식용유의 반응생성물이 수분처리 전과 후의 절대적인 접착력은 각각 약 3610 및 3227 kPa로 가장 우수하였다. 전반적으로 접착력은 ED의 반응생성물이 HEED의 반응생성물보다 우수하였으며, 폐식용유나 동물유지의 반응생성물들이 순수한 콩기름의 반응생성물들보다 우수하였다.

발효 미역부산물이 반추위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Brown Seaweed Waste (FBSW) on in vitro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 홍중산;이홍구;이철호;김영성;이상범;강한석;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49-356
    • /
    • 2011
  • DS-01 균주 접종에 의한 미역부산물 발효산물이 분해 정도, 영양소 변화 및 미생물오염 정도에 관한 관찰과 반추위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미역부산물의 저장성 확보와 반추동물의 사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발효단계에 따라 조사하였다. DS-01 균주와 함께 배양된 미역부산물은 발효 1개월부터 현저한 분해율을 보이기 시작했다. 미역부산물중의 영양성분 함량은 발효와 함께 커다란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모든 처리에서 반추동물에 병원성을 가지는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는 발효시간 및 첨가농도에 따른 pH 변화, 암모니아태 질소와 휘발성지방산의 생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pH의 경우 6% FBSW는 1개월 및 2개월 발효조건에서 대조구, 2% 및 4% FBSW 보다 pH 값이 증가한 것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1개월 FBSW 경우 실험 3시간 경과 후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지만 시간이 경과에 따라 대조구보다 감소한 경향을 보인다. 2개월 FBSW의 경우 4% 첨가량만 24시간 경과 후 타 처리구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전 발효기간 동안 6% FBSW 처리구가 발효 3시간과 24시간 경과 후 타 처리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지방산의 경우 발효 1개월 미역부산물의 4, 6% FBSW 첨가구가 6시간 경과 후 총 VFA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p<0.05), 발효 2개월 미역부산물의 2, 4% FBSW 첨가구가 9시간 경과 후 총 VFA 농도가 6% FBSW 첨가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p<0.05).

알칼리 촉매와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폐식용유로 부터 바이오 디젤 생산 1. 지방산 조성 (Biodiesel Production from Waste Cooking Oil Using Alkali Catalyst and Immobilized Enzyme 1. Fatty Acid Composition)

  • 신춘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247-1256
    • /
    • 2010
  • Since biodiesel as bioenergy is defined as ester compounds formed by esterification of animal/vegetable oils, in this study three vegetable cooking oils (market, waste and refined waste ones) were esterified by reactions of alkali catalyst and immobilized enzym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formed ester compounds wa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biodiesel production. By lipolysis (i.e, hydrolysis of Triglyceride (TG)), all three vegetable oils u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produce Diglyceride (DG), Monoglyceride (MD) and Fatty acid ethylester (FAEE). However, the amount of produced FAEE (which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was in the increasing order of market cooking oil, waste one and refined waste one. With NaOH catalyst, FAEE was produced about 24.92, 17.63 and 11.31 % for the respective oils while adding Lipozyme TL produced FAEE about 43.54, 38.16 and 24.47 %,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enzyme catalyst is more effective than alkali one for transesterifi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produced by hydrolysis of TG was unchanged with alkali and immobilized enzyme reactions. Thus it can be expected that stable conditions remain in the course of mixing with gasoline whose composi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atty acids.

전분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에 관한 연구 1. 소맥 전분포수 처리균의 분리와 처리효과 (Biological Treatment of Starch Waste Part 1. Isolation of Wheat Starch Waste Decomposing Organisms and Their Efficiency on Waste Treatment)

  • 기우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17-122
    • /
    • 1975
  • Activated sluge를 폐수처리와 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고구마와 소맥 전분폐수에서 채집한 32종의 균원을 선별한 결과 2종의 우수한 균원을 확인하고 N-9균원으로부터 7종의 세균J-3으로부터 6종의 세균을 분리하여 최종 선별 결과 3종의 세균 J-3-1, J-3-2, J-9-2를 선별하였다. 1. N-9의 혼합 배양의 경우 J-3보다는 floc형성능이 좋았으며 N-9로부터 Eugelena속의 원생동물 1종이 J-3에서는 Bodo 속의 원생동물 1종이 동정되었다. 2. 3종의 선별된 균에 대한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검사했다. 3. Sample N-9의 혼합균 배양에 의해 99%의 폐수의 B.O.D가 제거되었으며 세균 단독 배양일 경우 92% 이상의 B.O.D.가 제거되었다. 4. 원료소맥 전분폐수의 B.O.D가 8,000 ppm이하에서도 B.B.D. 제거율과 sludge에서 생산된 protein 량은 폐수의 B.O.D. 와 처리하는 균에 따라 상이하였다.

  • PDF

MS 발효 잔반사료가 청둥오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Meat Quality of Mallard by Feeding of MS-Fermented Food Waste)

  • 임계택;이정채;정진형;정우진;김태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2-338
    • /
    • 2000
  • 본 연구는 대조구로서 일반배합사료에서 사육된 청둥오리와 처리구로서 일반배합사료에 MS 발효 잔반사료를 20% 또는 50%를 혼합하여 일정기간 사육한 후 사육효과를 알아보았고 이화학적 분석 및 아미노산과 지방산 분석 등을 통해 처리구에 따른 육질을 비교함으로서 MS 발효 잔반사료의 오리사료로서의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사육효과에 대한 결과로서 도체율 및 각 장기무게는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P<0.05). 이화학적 분석으로서 보수성과 pH는 모든 처리구간에 있어서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육색에 대한 결과를 보면 명도($L{\ast}$)는 대조구가 20% 또는 50% MS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고 (P<0.05), 적색도($a{\ast}$)에서는 각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0.05). 관능평가로서 냄새와 기호성에서 있어서는 각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한편 각 처리구의 부위별 아미노산 분석에 있어서 다리고기의 경우는 20% MS 처리구가 가장 많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가슴고기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20% 또는 50% MS 처리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 있어서 각 처리구별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MS 발효 잔반사료 처리구에 더 많은 함량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둥오리 사육에 있어서 시판 배합사료에 50% 수준까지 MS 발효 배합사료를 혼합급여하여도 성장 및 육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사료효율 측면에서 시판 배합사료에 비해 MS 발효 잔반사료 처리구가 더 낮게 나타났으나,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경제적 및 환경적 손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결과가 주는 의미는 크다고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