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t Quality of Mallard by Feeding of MS-Fermented Food Waste

MS 발효 잔반사료가 청둥오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 Lim, Kye-Taek (Biodefensive Substances Group, Institute of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Chae (Biodefensive Substances Group, Institute of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eong, Jin-Hyung (Biodefensive Substances Group, Institute of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ung, Woo-Ji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Hwa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임계택 (전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생물방어물질그룹) ;
  • 이정채 (전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생물방어물질그룹) ;
  • 정진형 (전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생물방어물질그룹) ;
  • 정우진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과) ;
  • 김태환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과)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with MS (miraculous soil-bacteria)-fermented food waste on feeding efficiency and meat quality of mallard. Twenty one heads of 12 weeks-old mallards were fed with three different mixing rates of MS-fermented food waste (0, 20 and 50 %) with 7 replicates. After 6 weeks of feeding,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measured to estimate feeding efficiency, moreove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of the fresh slaughtered mallards were analyzed to determine meat quality. The feeding efficiency of 0 % fermented food waste (control)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Water holding capacity and p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d. The color value in lightness of control meat was higher, while in redness was lower than that of the plots mixed with fermented food waste. Total content of amino acids in thigh meat was relatively lower in control, but that in breast meat showed a reverse trend. Th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in both thigh and breast meat was the highest in the 50 % mixed plot. Considering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for mallard feeding, this results indicated that MS fermented food waste could be a useful resources for mallard feed.

본 연구는 대조구로서 일반배합사료에서 사육된 청둥오리와 처리구로서 일반배합사료에 MS 발효 잔반사료를 20% 또는 50%를 혼합하여 일정기간 사육한 후 사육효과를 알아보았고 이화학적 분석 및 아미노산과 지방산 분석 등을 통해 처리구에 따른 육질을 비교함으로서 MS 발효 잔반사료의 오리사료로서의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사육효과에 대한 결과로서 도체율 및 각 장기무게는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P<0.05). 이화학적 분석으로서 보수성과 pH는 모든 처리구간에 있어서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육색에 대한 결과를 보면 명도($L{\ast}$)는 대조구가 20% 또는 50% MS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고 (P<0.05), 적색도($a{\ast}$)에서는 각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0.05). 관능평가로서 냄새와 기호성에서 있어서는 각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한편 각 처리구의 부위별 아미노산 분석에 있어서 다리고기의 경우는 20% MS 처리구가 가장 많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가슴고기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20% 또는 50% MS 처리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에 있어서 각 처리구별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MS 발효 잔반사료 처리구에 더 많은 함량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둥오리 사육에 있어서 시판 배합사료에 50% 수준까지 MS 발효 배합사료를 혼합급여하여도 성장 및 육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사료효율 측면에서 시판 배합사료에 비해 MS 발효 잔반사료 처리구가 더 낮게 나타났으나,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경제적 및 환경적 손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결과가 주는 의미는 크다고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