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quaculture Recycling Effluent from a Pond System Treating Animal Excreta Ecologically

축산폐수 처리 연못시스템의 처리수 재활용 양어

  • Yang, Hong-Mo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Utilization of animal excreta in aquaculture can have potentials of high fish production and low maintenance costs for fish farming and it can reduce water pollution caused by animal waste disposal. Integr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ond system with aquaculture has been utilized in many countries. Ecologically balanced pond ecosystem is formed through the stabilization of wastes, the growth of aquatic plants, and the cultivation of fish. The most appropriate fish for rearing in these ponds are those which can feed directly on phytoplankton, especially algae. Carp were introduced into a tertiary pond - water depth of 2.2 m, water surface area of $130\;m^2$, volume of $148\;m^3$ - of a pond system treating milk cow excreta. The carp production was $125g{\cdot}m^{-2}year^{-1}$ which falls into upper range of $18\;-\;137g{\cdot}m^{-2}year^{-1}$ of treated sewage-fed carp farming of other countries. Average $BOD_5$ and T-N of the pond was 19.8 and $21.0\;mg{\cdot}L^{-1}$ respectively,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it was suitable for growth of carp. Several carp of 100g were introduced in August into a secondary pond of the treatment system, whose average $BOD_5$ and T-N was 27.9 and $30.8\;mg{\cdot}L^{-1}$ respectively. They were died within one week,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depletion of dissolved oxygen at dawn. Effluents from primary treatment can be used in fish pond with dilution and those from secondary treatment can be directly funnelled into it. Waste stabilization pond treating animal excreta can be utilized for fish rearing when its water quality maintains secondary treatment level.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연못시스템의 1차연못 처리수(평균 $BOD_5\;49.1mg{\cdot}L^{-1}$, $T-N\;48.6\;mg{\cdot}L^{-1}$)를 1주에 2 - 3회 실험양어지에 공급하여 잉어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처리수 공급유량과 실험양어지의 유량이 1:4가 유지되도록 공급하였으며, 실험양어지의 평균 $BOD_5$$15\;-\;20\;mg{\cdot}L^{-1}$였다. 양어지에 수용한 잉어의 평균 체중은 8월에 204.2 g에서 9월과 10월에 210.4 g와 219.3 g로 각각 늘었으며 60일간 사육에서 생잔율이 82%였다. 운반 및 조사시 잉어에 주는 스트레스를 감안하면 양어지의 수질과 환경은 잉어 성장에 나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8월부터 10월 사이의 다소 낮은 성장률은 양어지의 물을 빼내고 잉어를 잡아 체중과 체장을 측정하는 과정이 잉어에 스트레스를 준데 원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월동 후인 이듬해 4월에 잉어의 평균 체중은 205.3g로 감소하였으며 전년도 10월과 비교하여 생잔율은 83%였다. 일반적으로 잉어는 월동 후에 체중이 약 10 - 20%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양어지 실험결과 양어지의 평균 $BOD_5$$15\;-\;20\;mg{\cdot}L^{-1}$로 유지되면 용존산소결핍으로 잉어가 일시에 죽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평균 $BOD_5$와 T-N이 각각 27.9, $30.8\;mg{\cdot}L^{-1}$인 2차연못에 체중 약 100g 정도의 잉어 10마리를 8월에 넣어 보았으나 1주일 이내에 모두 죽었다. 새벽 무렵의 급격한 용존산소결핍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연못시스템의 3차연못에 잉어를 직접 털어 성장을 분석하였다. 3차연못의 평균 $BOD_5$와 T-N은 각각 $19.8\;mg{\cdot}L^{-1}$, $21.0\;mg{\cdot}L^{-1}$였다. 3차연못은 2차연못에서 발생한 조류(algae)가 죽어 연못바닥으로 침전되는 마무리연못(maturation pond)으로 연못전체가 호기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3차연못에 8월에 넣은 잉어의 평균체중은 107.5g였으며 2개월 후에 165.2g으로 증가하였다. 사육 1년 후의 평균체중은 478.2g으로 약 3배 증가했으며, 1년 후의 잉어 생잔율도 86%로 높게 나타났다. 월동을 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매우 좋은 성장이다. 생잔율이 높게 나타난 원인은 측정 횟수가 적어 측정에 따른 스트레스가 적었다는 점과 3차연못의 환경조건 (수질, 먹이 등)이 잉어사육에 적합했다고 사료된다. 사료공급 없이 하${\cdot}$폐수를 재활용하는 세계 여러나라의 잉어 생산량은 약 $18\;-\;l37g{\cdot}m^{-2}year^{-1}$이다. 3차연못 잉어생산량은 $125\;g{\cdot}m^{-2}year^{-1}$로 아주 양호한 생산량이다. 산업폐수가 유입되지 않은 생활하수나 축산폐수의 처리수를 이용한 양어의 고기는 생체실험결과 인체에 해가 없다고 규명되어 왔다.$^{15,16),17)$ 축산폐수를 자연생태적으로 처리하는 연못시스템의 연못에서 잉어를 사육할 경우 연못의 수질이 2차처리수준인 $BOD_5\;20\;mg{\cdot}L^{-1}$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연못시스템은 축산지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어의 수확으로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