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peroxide values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31초

거대배아미 식이가 streptozotocin 유도 당뇨 흰쥐의 혈장과 간 조직 중 지질과산화물 농도와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iant Embryonic Rice Supplementation on the Lipid Peroxide Leve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Plasma and Liver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연리;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58-363
    • /
    • 2005
  •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한 쥐에서 거대배아미의 급여가 혈장 및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과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기간동안 모든 당뇨군들의 체중증가는 정상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거대배아미를 급여한 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해서 체중감소현상이 억제되었으며, 식이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들이 높게 나타났다. 장기무게는 당뇨군이 당뇨대조군보다 높았으나 거대배아미를 포함한 쌀식이군에서는 낮게 나타났고, 혈당의 변화는 당뇨대조군에 비해서 거대배아미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 및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물은 당뇨대조군에 비해서 거대배아미가 낮은 수준의 지질과산화물 값을 보였다. 혈장중의 비타민 A와 E의 농도는 당뇨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당뇨대조군에 비해 거대배아미급여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 중 SOD의 활성은 거대배아미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거대배아미를 급여한 당뇨쥐의 낮은 지질과산화물값과 높은 항산화계 효소의 활성이 간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생각된다.

흑참깨분으로 착유한 참기름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 남미진;정하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1-145
    • /
    • 2008
  • 흑참깨분 참기름과 흰참깨분 참기름 및 흰통참깨로 제조한 상업용 참기름의 산화유도기간, 과산화물가,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여 각 참기름의 산화안전성을 비교하였다. 흑참깨분 참기름의 산화 유도기간은 평균 12.25시간으로 흰참깨분 참기름의 4.37시간에 비하여 2.8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업용 참기름은 9.1시간이었다. 저장 12일 후 과산화물가를 비교해 보면 흑참깨분 참기름이 1.3 meq/kg oil, 흰참깨분 참기름이 18.2 meq/kg oil, 상업용 참기름이 1.7 meq/kg oil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공여능은 흑참깨분 참기름이 각 사용 농도 별로 흰참깨분 참기름에 비해 평균 9%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동일한 조건에서 흑참깨분 참기름의 산화안전성이 흰참깨분 참기름이나 상업용 참기름에 비해서도 대등하거나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흑참깨분 참기름에는 기존의 참기름에 함유된 sesamol 및 sesamolin과 같은 리그난류 뿐 만 아니라 흰참깨분 참기름에는 들어 있지 않은 적갈색 탄닌계 색소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방재료 추출물 처리와 저장방법에 따른 간고등어의 품질 변화 (Chemical Changes of Salted Mackerel by Korean Herbal Extracts Treatment and Storage Methods)

  • 신승렬;홍주연;남학식;허성미;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23
    • /
    • 2006
  • 본 연구는 고등어의 소금절임과정에 한약재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저장중에 간고등어의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한방재료의 추출물처리한 고등어의 pH의 변화는 $4^{\circ}C$$25^{\circ}C$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군에서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증가정도는 처리 및 저장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 동안의 적정산도의 변차는 $4^{\circ}C$$25^{\circ}C$ 모든 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도는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고등어 산가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가가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군에서 낮은 산가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과산화물가도 산가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휘발성 염기 질소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곽향과 초피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군이 저장초기 $6.5mg\%$ 값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균수의 변화는 저장초기에는 대조군에서 균수가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한방재료 추출물에 절인 고등어군에서 균수의 생장이 현저히 낮았다.

로즈마리 분말이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semary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during Storage)

  • 강병선;문성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5-159
    • /
    • 2009
  • 기능성 스폰지 케이크의 제품 개발을 위하여 항산화효과와 항균력이 있는 건강기능성의 생리활성 소재인 로즈마리 분말을 첨가하여 이화학적특성을 보았다. 스폰지 케이크에 로즈마리 분말의 첨가량은 0, 0.1, 0.3, 0.5, 0.7%(w/w)로 하였고, $20^{\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비중, pH, 수분함량, 산가 및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로즈마리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반죽의 2차 비중은 대조구(0%)가 0.49였으나, 로즈마리 분말 0.7% 첨가구는 0.54로 증가하여 유의차를 보였으나 일반적인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한 비중의 범위($0.45{\sim}0.55$)에 포함되어 0.7%까지 로즈마리 분말을 첨가해도 스폰지 케이크의 제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즈마리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해서 반죽의 pH는 유의차를 보이며 증가하였으나, 로즈마리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초기 수분 함량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장 기간에 따라 수분함량이 점차 감소하여 저장 3일 후에는 $38.5{\sim}39.7%$로 감소하였으며, 초기 수분함량과는 유의적 차이(p<0.05)를 보였다. 로즈마리 분말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산가와 과산화물가의 변화는 스폰지 케이크에 로즈마리 분말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항산화력이 강하게 나타났다. 스폰지 케이크에 로즈마리 분말을 0.7%까지 첨가하는 것은 제조 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항산화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 부산물 급여가 냉장 중 토종 닭고기의 표면 색도, 지방산패도 및 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trus Byproduct Diet on Meat Color, Rancidity and Freshness in Korean Native Chickens during Cold Storage)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1-557
    • /
    • 2009
  • 감귤 부산물 급여가 냉장 중 토종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토종닭고기(39주령, $1.30{\pm}0.5$ kg)는 감귤 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T0구, 17주령부터 39주령까지 감귤 부산물을 4% 급여한 T1구로 나누었다. 각각 가슴살과 다리살을 진공포장하고 $3^{\circ}C$에서 2주일간 냉장하면서 표면 색도, 지방산패도, 항산화력 및 선도 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감귤 부산물 급여구(T1구)는 T0구보다 냉장 중 표면 색도의 $L^*$ 값, $a^*$ 값, $b^*$ 값의 변화가 느리게 나타났다. T1구는 T0구보다 냉장 중 산가, 과산화물가, TBA 값의 상승 속도가 늦었으며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T1구는 T0구보다 냉장 중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 및 일반 세균수의 증가 현상이 느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감귤 부산물 급여에 의하여 냉장 중 토종닭고기의 표면 색도, 지방산패도, 선도의 변화가 억제되고 전자공여능 값이 높게 나타나서(p<0.05) 품질 유지에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볶음 조건 및 추출 방법에 따른 오미자씨유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seed oils by roasting conditions and extraction methods)

  • 이현정;조정석;이영민;최지영;성준형;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45-850
    • /
    • 2015
  • 본 연구를 통해 오미자의 산업 부산물인 오미자씨를 이용하여 볶음 조건과 추출 방법에 따른 오미자씨유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볶음 조건과 추출 방법이 다른 10종 오미자씨유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용매 추출에 비해 압착 추출의 수율이 더 높았으며 이는 압착 시 함께 얻어지는 오미자씨 박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미자씨의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이 길수록 오미자씨유의 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음 시간이 길고 볶음 온도가 높을수록 오미자씨유의 $L^*$ 값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용매 추출에 비해 압착 추출의 $L^*$ 값이 더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a^*$$b^*$ 값의 경우 볶음 시간이 길고 볶음 온도가 높을수록 그 값이 증가하여 볶음 조건과 추출 방법에 따른 오미자씨유의 색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볶음 처리하지 않은 오미자씨의 경우 용매 추출 오미자씨유에 비해 압착 추출 오미자씨유의 과산화물가가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이 길수록 추출 방법에 의한 과산화물가의 값 차이는 감소하였으며 $250^{\circ}C$에서 볶음 처리한 오미자씨유의 과산화물가는 추출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이 길수록 오미자씨유의 과산화물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미자씨유 희색액의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31.91{\pm}1.57{\sim}39.27{\pm}1.61%$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볶음조건에 따른 오미자씨유 희석액의 ABTS radical 저해능 측정 결과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볶음 조건과 추출방법을 달리한 오미자씨유의 fatty acid methyl ester(FAME) 조성의 분석결과, 주요 FAME로는 methyl butyrate, methyl hexanoate, methyl arachidate, methy eicosanoate가 분석되었다. 이 중 methyl butyrate가 $96.96{\pm}0.39{\sim}97.39{\pm}0.10%$로 가장 높은 조성으로 존재하였으며, 주요 4종의 FAME의 총 함량은 99.56~99.65%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오미자씨유의 제조에 있어서 높은 수율, 낮은 과산화물가, 다소 높은 항산화성을 위하여 용매 추출, 긴 볶음 시간 및 높은 볶음 온도가 더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고온가열처리에 의한 어육성분의 변화 (Changes in Composition of Fish Meat by Thermal Processing at High Temperatures)

  • 오광수;김정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59-464
    • /
    • 1991
  • $121.1^{\circ}C$에서 가열처리했을 때 고등어육의 수분함량은 가열처리 후에, 그리고 Fo값이 커질수록 약간씩 감소하는 반면, 조단백질 함량은 약간씩 증가하였다. pH는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증가하였고, 휘발성염기질소량 역시 급증하였다. 비타민 함량은 자숙처리 및 Fo 5 시료에서는 생시료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가열처리가 더 진행될수록 점차 분해되었다. 고등어육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히스티딘, 타우린, 리진, 알라민, 류우신 및 글루탐산 등이 주성분이었고,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Fo값이 커질수록 상당량 감소하였으며, 히스티딘의 양적 감소가 가장 컸다. 핵산관련물질 중 이노신산 및 아데노신이인산은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아데노신일인산 및 히포크산틴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산화트리메틸아민 함량도 가열처리 정도가 커질수록 감소한 반면, 트리메틸아민 함량은 급증하였다. 또한 총크레아틴 함량도 가열처리 정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지질성분의 변화에서, 과산화물값. 카르보닐값 및 갈변물질량은 가열처리 후에 급증하였고, Fo값이 커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지방질(TL)에 대한 비극성(NL) 빛 극성지방질(PL)의 조성비는 생시료가 71.9%, 28.1%였고, Fo 15 시료는 81.5%, 18.5%로서 가열처리 정도에 따라 NL은 증가하는 반면, PL은 감소하였다.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보면, 자숙처리에서는 지방산조성비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121.1^{\circ}C$ 열처리에서는 Fo값이 커질수록 22 : 6 등 폴리엔산의 조성비가 점차 감소하는 반면, 16 : 0 및 18 : 0 등의 조성비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 때 가열처리에 따른 고도불포화지방산의 감소는 대부분이 PL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 PDF

Potato Chip 제조시 TBHQ 와 Silicone 첨가유에 의한 저장 연장 효과 (Storage Effectiveness of Deep-Fried Potato Chip Prepared with Canola Oil Fortified with TBHQ and Silicone)

  • 정병두;이순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35-640
    • /
    • 1997
  • Potato chip을 제조시 canola유를 선택하여 potato chip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potato chip의 기름 함량이 40%정도까지 흡수하게 되는데 이 흡수된 기름이 저장과 유통되는 동안 potato chip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항산화제인 BHA, BHT, TBHQ와 silicone유를 첨가한 첨가 유의 항산화제 효과를 관능 검사와 함께 비교 고찰하였다. Potato chips에서 추출한 oil의 항산화제 효과는 canola oil+TBHQ (0.02%)+silicone (10 ppm)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다음은 canola oil+TBHQ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보다 silicone을 첨가한 것이 탁월한 안정성을 보였고 항산화제로서 TBHQ가 매우 효과가 있었고 silicone를 첨가한 유지에서 탁월한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canola oil은 2개월부터 overall, flavor, aftertaste의 변화에 약간의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TBHQ과 silicone을 첨가한 oil는 2개월에서는 전 항목에서 변화가 없었고 4개월부터 overall, flavor, freshness, aftertaste의 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2개월 정도 저장 안정성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ormul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Chicken Nuggets Supplemented with Beef and Chicken Livers

  • Liaqat Mehmood;Syeda Afnan Mujahid;Sawera Asghar;Hafiz Ubaid ur Rahman;Nauman Khalid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20-634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utilizing meat byproducts, specifically chicken and beef liver, to enhance the nutritional value of processed foods like chicken nuggets. Proximat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livers, including moisture, ash, fat, and protein content, and degradation potential was observed. Antioxidant potential was analyzed through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oxidative stability through peroxide value (POV), and free fatty acid (FFA) were performed to evaluate quality changes during seven-day storag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at beef liver has excellent antioxidant capacity (61.55%- and 195.89- mM gallic acid equivalent for DPPH and TPC, respectively) compared to chicken liver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nuggets by 5%-10%. POV and FFA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days for the liver and its incorporation in nuggets. However, the values remained under the 10 meq/kg threshold. Incorporating the livers into chicken nuggets led to a significant (p=0.000) improvement in nutritional content, particularly a 1.5%-2% increase in protein, with a similar increase in mineral content.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s indicated favorable consumer acceptability for liver-enriched nuggets. Overall, this research shows the value of adding liver as a functional ingredient to enhance the nutritional profile of processed foods.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ck, Chicken, Swine and Bovine Skin Fats Extracted by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 Shin, Dong-Min;Kim, Do Hyun;Yune, Jong Hyeok;Kwon, Hyuk Cheol;Kim, Hyo Juong;Seo, Han Geuk;Han, Sung G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46-458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our animal skin-derived fats extracted using an identical extraction method.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a green extraction method, was used to extract animal skin fats (duck, chicken, swine, and bovine skin). Multiple experiments were performed during accelerated storage at $60^{\circ}C$ for 90 days.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extraction yield, iodine value (IV), fatty acid composition, and fat viscosity were determined. In addition, indicators for oxidative status, including acid value (AV), peroxide value (PV), p-anisidine value (p-AV),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jugated dienes (CD), and total oxidation (totox) values were evaluated. The fat extraction yield was highest in bovine fat, followed by duck, swine, and chicken fats. The IV was higher in duck and chicken fats. Duck fats contained the most unsaturated fats and the least saturated fats. Fat oxidation indicators, such as PV, TBARS, and totox values, were relatively higher in duck fats during storage compared to the other fats. Other indicators, including AV, p-AV, and CD, were similar in duck, chicken, and swine fats. Viscosity was similar in all the tested fats but markedly increased after 70 days of storage in duck fats. Our data indicate that duck skin fat was more vulnerable to oxidative changes in accelerated storage conditions and this may be due to its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Supplementation with antioxidants might be a reasonable way to solve the oxidation issue in duck skin f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