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d individual variables

검색결과 1,823건 처리시간 0.031초

복지보육과 연계한 지역사회 서비스개발을 위한 욕구도 조사 (A Study on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Services associated with Welfare Education)

  • 안은숙;이지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40
    • /
    • 2006
  • 정부는 보육시설과 지역사회와의 연계방안을 보육지침에 넣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들을 몇 가지 내놓았지만 현재 이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는 보육시설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의 지역사회서비스 내용에 대한 부모들의 전반적이고 포괄적인 보육욕구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보육시설에 유아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지역사회의 각각의 욕구를 해결하는 성공적인 보육서비스의 발판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보육서비스는 개별아동권을 보장하는 보육서비스로, 사회적 필요성을 충족하는 보육서비스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복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자녀를 보육시설에 보내고 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부모들의 생활실태 및 지역사회서비스에 대한 전체적인 견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보육시설 지역사회서비스를 지역사회봉사, 지역사회홍보, 지역사회참여, 지역사회자원동원의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이에 대하여 부모의 요구수준의 정도와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지역사회서비스 프로그램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보육시설 지역사회서비스 프로그램이 전체적인 지역사회 서비스 요구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였다.

  • PDF

A Comparison of Usability between the Height Adjustable Keyboard and the Adaptive Touch Keyboard on Smartphones

  • Choi, Jinhae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5-156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usability of the adaptive touch design method with that of the height adjustable design method that are applied to the Korean QWERTY keyboard and Naratgul keyboard on smartphones, examine the results, and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Background: Smartphone manufacturers have failed to satisfy every user with their uniform touch keyboard designs that do not consider the high use rates of keypad use. In reality, touch keyboard designing customized for every individual is impossible, but there need to be researches on was to improve usability by having touch areas changed automatically depending on user behaviors or having users adjust the keyboard height depending on their hand size. Method: As for the design methods, an object group was given smartphones with the adaptive touch design method and the other group those with the height adjustable design method. As they entered the same characters in the smartphones, typing error rates and text input speed were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s were compared. 35 individuals who would frequently use smartphones in daily lif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group variable was the type of touch keyboards, and the test variables were typing error rates and text input speed, for which a T-test was implemented. Results: As for the QWERTY keyboar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 was verified as the typing error rate of the adaptive touch design method was 4.21% but that of the height adjustable design method was 3.28%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ext input speed. As for the Naratgul keyboard, in contrast, the typing error rate of the adaptive touch design method was 2.5% while that of the height adjustable design method was 1.48%, which indicates a measure of improvement, but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text input speed per minute was improved as much as 22.2%, which is significant. Conclusion: First, the Korean touch keyboard usability of the adaptive touch design method and that of the height adjustable design method, when applied to Model A of Company 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ach other. Second, the height adjustable design method was applied to the QWERTY keyboard, the typing error rate was improved significantly. This indicates that as the keyboard height was raised, the number of buttons within the range of fingering decreased, decreasing the touch bias was reduced. Third, the height adjustable design method was applied to the Naratgul keyboard, the text input speed was improved. Application: When the QWERTY keyboard was applied to a smartphone as small as 5.5inch or less, it is highly probably that the height adjustable design method decreases the typing error rate. It may be considered to develop additional UX functions to make the keyboard font larger or give users the option to adjust button intervals in utilization of the SW advantages of the height adjustable design method.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산림재적추정 모델 개발 - 봉화군 춘양면 애당리 혼효림을 대상으로 - (Development of Forest Volume Estimation Model Using Airborne LiDAR Data - A Case Study of Mixed Forest in Aedang-ri, Chunyang-myeon, Bonghwa-gun -)

  • 조승완;김용구;박주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1-19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재적 현장자료와 항공 LiDAR 자료 기반의 산림재적 추정을 위한 회귀모델의 개발이다. 추정 모델은 경상북도 봉화군 지역에서 임의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30개의 원형 표본지로부터 산출한 표본지별 산림재적을 반응변수로 하고, 항공 LiDAR 원자료로부터 개별 표본지의 고도분포 백분위수(Height Percentiles, HP) 및 층위 단위 점 개체수 백분율(Height Bin, HB)을 추출하여 예측변수로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단순선형회귀분석, 이차 다항회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적합모델들의 후보들을 도출하였으며, 검증을 위하여 각 모델별로 교차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여 PRESS 통계치를 구하였다. 모델의 $R^2$ 및 PRESS을 비교하여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HB_{5-10}$, $HB_{15-20}$, $HB_{20-25}$, $HBgt_{25}$의 다중회귀모델의 $R^2$이 0.509로 가장 높고, $HP_{25}$ 단순회귀모델의 PRESS 값이 122.352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구조가 복잡한 우리나라 산림재적을 추정하는 모델로는 다양한 수직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HB_{5-10}$, $HB_{15-20}$, $HB_{20-25}$, $HBgt_{25}$이 상대적으로 보다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urnover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강철희;허영혜;장인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189-213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의 관계를 개인 단위가 아닌 조직 단위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직 관련 지식 확장에 기여하고 사회복지조직 이직률에 관한 인적자원관리의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2012년 사회복지시설평가' 중 사회복지관 평가자료에 기초해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의 연평균 이직률은 16.7%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균급여 수준이 높을수록, 수퍼비전의 체계성이 더 높게 갖춰질수록, 그리고 수퍼바이저의 역량이 더 높을수록 이직률은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통제변수로 설정한 외부 취업기회 역시 이직률에 매우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조직 간 경쟁이 증가되는 상황에서 사회복지 조직의 이직률 관리를 위해 조직차원에서의 적절한 보상체계와 수퍼비전 질 확보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개인단위에 초점을 둔 기존의 이직의도 중심 연구가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조직단위에서 측정된 실제의 이직행동 관련 실증자료를 토대로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 간 관계를 국내 최초로 규명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 PDF

전이함수모형과 일기 발생모형을 이용한 유역규모 기후변화시나리오의 작성 (Construction of Basin Scale Climate Change Scenarios by the Transfer Function and Stochastic Weather Generation Models)

  • 김병식;서병하;김남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45-363
    • /
    • 2003
  • 대기순환모형(GCM)에 의하면 온실가스농도의 증가는 전구와 국지규모의 기후변화에 중요한 관련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GCM은 단일지점의 기상학적 순환과정을 분석하는데는 불확실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축소기법이 대기순환모형(GCM)의 개발자들이 제공할 수 있는 것과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영향을 평가하는 연구자들이 요구하는 것 사이의 차이점을 연계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학적 축소기법을 이용하여 국지 규모의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방법을 이용한다면 현재와 미래의 국지적 규모의 기후강제력 하에서의 지표 기상변수의 시나리오를 저 비용으로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다. 기후변화시나리오의 작성은 통계학적 회귀방법인 전이함수와 추계학적 일기발생모형을 이용하였다. 전이함수는 저해상도의 GCM 격자 변수들을 고해상도의 단일 지점의 변수들로 변환시키며, 이 변수들은 단일 지점의 특정 일 지표 기상 변수를 모의하기 위해 추계학적 일기발생 모형의 매개변수를 수정하는데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YONU GCM을 이용하여 제어실험과 점증실험을 실시하여 전구규모의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외래환자에서 금연 성공의 결정요인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in Outpatients)

  • 강윤식;장정순;황영실;홍대용;김장락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3호
    • /
    • pp.248-254
    • /
    • 2003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in outpatients. Method : Subjects were 40f adult smoking patients who saw their doctors in the outpatient setting at a university hospital, regardless of their willingness of otherwise in smoking cessation. Physicians delivered a brief, stop smoking prompt to all patients who smoked one or more cigarettes a day. Then they referred to on-site counselors who provided a brief, nurse assisted intervention with a survey to a randomly assigned intervention group (200 smoking patients), whom the counselors telephoned later to prevent relapse or promote the motivation to quit, or gave only a survey to a control group (201 smoking patients). After at least 5 months, self-reported current smoking cessation was confirmed later using cut-off values of 7 ppm or less in expired alveolar air after breath holding portable CO analyzer. Results : After 5 months, subjects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1.56 times (95% C.I. 0.89-2.73) more likely to quit smoking than those in the non-intervention group (14.0% vs. 9.0%). Willingness to quit smoking in a month, scheduled admission in a month, self efficacy score and FTND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score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with smoking cessation. In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previous attempts to quit smoking were significant instead of self efficacy score. In the intervention group who ha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in a month (132 smoking patients), FTND score, whether quit date was today, and whether quit promise paper was submitting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with smoking cessation. In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cheduled admission in a month and whether quit date was today were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Smoking cessation treatment should be tailored to individual smoking patients considering these predictors.

주택시장 변동의 지역간 인과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s of Fluctuations in the Housing Market)

  • 김경훈;장호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18-527
    • /
    • 2016
  • 주택시장은 장소와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택시장의 변화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파급효과를 미친다. 한편, 지역에서 소비되는 주택의 양은 가격이동의 중심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주택시장의 변동 원인은 주택 수요자의 특성에 따라 분리될 수 있으며, 그 소비자의 개별적인 특성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주택시장의 지역적 인과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문헌의 경우, 국내 주택매매시장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주택전세시장까지 고려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서울 강남, 강북지역 및 경기지역의 주택시장 지역적 인과성을 매매시장과 전세시장으로 세분화하여 벡터오차수정모형을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강남, 강북 및 경기지역의 주택매매와 주택전세가격을 분석변수로 정의하였으며, 시계열 자료는 2003년 6월부터 2015년 11월까지의 월별 자료이다. 분석 결과 주택매매시장의 경우 강남지역 주택가격 변동이 주변지역 주택가격 변동에 주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전세시장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강남지역 주택전세가격이 주변 지역 전세가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청소년의 팬덤활동이 삶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Adolescents' Fandom Activ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 나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96-405
    • /
    • 2017
  • 2000년대 이후 청소년의 팬덤활동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팬덤활동은 청소년들에게 하나의 하위문화이기 때문에 문화를 인정해주는 동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팬덤활동이 삶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아존중감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중 초등학교 1학년의 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108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팬덤활동과 삶만족도, 팬덤활동과 자아존중감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만족도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팬덤활동은 삶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팬덤활동과 삶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팬덤활동의 부정적인 역할을 조절할 수 있는 변인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고, 추후 팬덤활동과 개인내적변인, 청소년의 삶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치위생전공 학생의 분노표현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er Expression on Self-Esteem in Dental Hygiene Students)

  • 한양금;유지수;김한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0-216
    • /
    • 2016
  •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치위생전공 여학생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분노에 대한 감정표현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고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편의 추출된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치위생과 598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5월 20일부터 2014년 6월 5일까지 수집하였다. 자아존중감과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분노표현과 자아존중감은 부적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분노표현의 하위영역인 괴롭힘(p<0.01), 언어 심리적 폭력(p<0.05), 따돌림(p<0.01)과도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 중 부모양육태도 및 관계(p<0.01)만이 분노표현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는 학년(p=0.040), 학교 성적이 낮은 하 집단보다 상 집단(p<0.001)과, 중 집단(p=010)인 경우 분노표현의 하위영역인 괴롭힘(p=0.002), 언어 심리적 폭력(p=0.035), 따돌림(p<0.001)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9.3%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자아존중감은 분노표현과 높지는 않지만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졸업 후 다양한 대인관계, 즉 환자, 치과의사, 동료 치과위생사 및 치과관련 다양한 직종분야의 사람들과의 밀접한 관계에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에게 개인 및 학과 또는 대학 차원에서 자신을 존중하고 타인을 배려할 수 있도록 자기계발 및 자아존중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daptation on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김수연;신용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34-24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8년 4월 26일부터 2018년 5월 4일까지 간호대학생 180명에게 전환충격(17문항), 사회적지지(24문항), 임상 실습준비도(2문항), 임상실습 적응(14문항)으로 구성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18.0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실습적응은 전환충격(r=-.55)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의 친구영역(r=.24), 부모영역(r=.32), 교수영역(r=.38), 임상실습 준비(r=.35)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환충격이 작아질수록(B=-.409), 임상실습 준비도(B=.766)와 교수의 지지(B=.228), 부모의 지지(B=.163)이 커질수록 임상실습 적응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충격, 임상실습 준비도, 교수의 지지 순으로 임상실습 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실습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실습 준비나 교수의 지지뿐만 아니라 간호대학생의 전환충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