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Nakdong River Estuary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7초

낙동강 하구역내 사주간의 단면유량플럭스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Net-water Flux of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윤한삼;이인철;류청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86-192
    • /
    • 2005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을 대상으로 하구지형의 변화를 고찰하였고, 하구지형 변화에 미치는 해수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무방류시, 홍수시의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을 입력하여 해 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사주사이의 단면유량flux를 계산하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동강 하구 일대의 사주 발생변천과정을 고착해 본 결과, 대규모 낙동강 하구둑 건설시기에 맞추어서 사주군의 형성치 서측으로부터 동측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현재는 다대포 전면해역에서의 사주발달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낙동강 하구역에서의 해수유동양상은 낙동강 하구둑으로부터 방류되어지는 하천수량에 따라서 조간대 지역내의 흐름패턴이 변화한다. (3) 단면유량flux 계산결과를 통해 홍수 하천유량이 방류될시 낙동강 하구역 중 장자도와 백합등, 다대 전면해역에서의 퇴적활동이 가강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평수시(무하천 유량시 및 일평균 하천유랑 방류시)의 유량flux의 밀도분포를 살펴보면 진우도 전면해역에서 크게 나타났다. (4) 이상의 결과를 통해 낙동강 하구역에서의 육상 유입 하천수의 영향을 가장 민감하게 받는 지역으로는 최근 사주퇴적이 급속히 발생하는 지역인 장자도와 백합등, 다대 전면해역과 진우도 전면해역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낙동강 하구역 식물플랑크톤 생물상 변동과 출현종 고찰 (Literature Survey on the Phytoplankton Flor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정익교;김남림;송은혜;이지은;이상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67-487
    • /
    • 2013
  • Long-term and systematic monitoring of phytoplankton is important, as phytoplankton serve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status in aquatic environments. In the present study, the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over the past 30 years was investigated by literature survey to provide references for the occurrence of planktonic species. A total of 876 species from 18 taxonomic lineages were reported and, among them, 569 species were identified to occur seasonally at the Mulgeum, Seonam and Eulsukdo sites. Diatoms and chlorophytes were dominant in the microscopic studies. The 54 species at the Mulgeum and the 96 species at the Eulsukdo sites have not been reported since the river barrage construction in 1987. The majority of reports speculate that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aquatic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due to operation of a river barrage since 1987.

인공시설물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 환경인자의 시·공간적분포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n Environmental Factors After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윤상철;윤석현;서영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17
  • 낙동강 하구는 최근 하구둑, 보 등의 인공시설물 건설과 매립 및 준설 등 인위적인 활동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위적 영향에 대한 낙동강 하구의 해양환경 변화를 확인하고자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하구로 유입되는 담수를 비롯하여 해수역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하구로 유입되는 방류량은 보 건설전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평균 염분은 증가하여 기수역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질산염과 규산염의 주요 공급원은 유입되는 담수로 나타났으며 인산염은 저층과 외해에서 공급되었다. 인산염과 용존산소의 농도는 춘계와 하계에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담수의 인산염은 하구둑에 의한 영향으로 제거되었고, 해수의 인산염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제거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낮은 용존산소 농도는 식물플랑크톤의 대번성 이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저층에서 소모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춘계와 추계에 대번성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일반적인 특성에 비해 낙동강 하구에서는 하계에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의 생태계 변화는 유입되는 담수의 유량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보에 의해 또 다른 환경변화에 직면해 있다.

낙동강 하구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zoobenthos in the Subtidal Area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서진영;김정현;최진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1권3호
    • /
    • pp.112-124
    • /
    • 2016
  • 낙동강 하구역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계절별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8개 정점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울타리섬 남쪽의 정점들과 낙동강 수로역의 정점들에서 모래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수심이 20 m 이상 되는 곳의 정점들에서는 니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 조하대 해역은 저층 염분이 조사기간 동안 30 psu 수준을 보여 담수에 의한 혼합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낙동강 조하대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266종, 서식밀도는 859개체 $m^{-2}$였으며, 다모류의 비중이 출현 분류군 중 가장 높았다. 본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은 Goniada maculata, Sternaspis chinensis, Magelona japonica, Heteromastus filiformis 등이었고, 2013년 8월에 Pseudopolydora kempi가 일시적으로 대량 출현하였다. 집괴분석 결과, 낙동강 하구역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는 퇴적상에 따라 구분이 되었는데, 울타리섬 인접 천해 사질해역에서는 G. maculata, 바깥쪽의 니질해역에서는 S. chinensis와 M. japonica가 우점하는 군집이 분포하고 있었다.

낙동강 하류 보, 하굿둑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ICT 시스템 융합 구현 (The implementaion of ICT systems convergence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Nakdong River Downstream Weirs and Estuary Barrages)

  • 김석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88-991
    • /
    • 2013
  • 낙동강 하류 지역에는 합천 창녕보, 창녕 함안보, 낙동강하굿둑 좌안배수문 그리고 우안배수문의 수자원시설이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원거리에 위치한 각각의 시설물을 연계하여 통합 운영하는 것은 국가 수자원의 관리와 설비 운영의 효율과 효과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ICT 기술을 활용하여 개별 시설물을 유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구현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부산 낙동강하굿둑 인근에 위치한 K-water 낙동강통합물관리센터에서 개별 시설들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수자원관리와 운영비용 절감 등의 상당한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diverse species of the genus Hantzschia (Bacillariophyta) in sand flat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in Korea

  • Joh, Gyeongj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245-255
    • /
    • 2014
  • To collect the diatom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Hantzschia, bottom sediments were collected from 32 sampling sites in 23 sand-flat areas in the intertidal zone and river reaches of Nakdong River estuary, Korea. The sand sediments contained a total of 19 species of genus Hantzschia, Hantzschia amphioxys (Ehrenberg) Grunow, H. amphioxys f. capitata O. Muller, H. baltica Simonsen, H. distinctepunctata (Hustedt) Hustedt, H. elegantula (Østrup) Witkowski et al., H. longiareolata Garcia-Baptista, H. marina (Donkin) Grunow, H. pseudomarina Hustedt, H. virgata (Roper) Grunow, H. virgata var. gracilis Hustedt, H. virgata var. kariana Grunow, H. virgata var. leptocephala Østrup and H. weyprechtii Grunow, including six unconfirmed species. Eleven Hantzschia species are reported as new to Korea. Hantzschia virgata, its infraspecies, and neighboring speceis showed large morphological variations within a single species or among the closely related species. Hantzschia amphioxys, H. distinctepunctata, and H. virgata var. leptocephala prefer freshwater habitat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river, while others occurred mainly in the sand flats composed of coarse sand in the intertidal area. In the estuarine sediments, the Hantzschia taxa are classified to be typical sand-attached forms.

낙동강하구의 보전지역 설정을 통한 현명한 이용방안 모색 (Wise Use through establishing Conservation Area in Nakdong River Estuary)

  • 차민준;김승환;이기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3-9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서부산권의 낙동강하구역 일원을 대상으로 낙동강하구를 잘 이해하고 있는 각계각층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낙동강하구를 핵심보전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분된 보전지역을 설정하고 각 보전지역별 현명한 이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보전지역 설정은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설정된 보전지역 범위에 문화재보호지역과 습지보호지역 등의 법정보호지역과 비오톱보전가치평가도를 중첩시키고 보전지역 세부범위 설정에 관한 워크숍 및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세부조정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보전지역을 설정하였다. 이 후 설정된 핵심보전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 별로 현명한 이용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낙동강하구에서의 보전과 개발에 관한 이해당사자간의 갈등을 조율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비디오를 이용한 하구 사주 변화 모니터링 시스템(I) - Hardware System 구축을 중심으로 - (Monitoring System of Sandbar Variation of Estuary using Video-based Technique)

  • 윤한삼;류승우;강태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630-636
    • /
    • 2008
  • Monitoring the location of the shoreline and foreshore changes through the time and core tasks are carried out by coastal engineers for a wide range of research. With the advent of digital imaging technology, the shore-based video monitoring system provides many advantages than field surveys.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installation) of video monitoring system to assist the study of coastal and shoreline dynamics and evolution, especially sandbar variation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high building near the Dadea-po beach (St. 2) and Jinudo(island) (St. 1) foreshore region, where coastline variation is highly active, 5 video cameras installed; the coastline movement has monitored since Aug. 2007 using the systems. From the image results of video camera, the 'Spit' type sandbar appears at the foreshore region of Doyodeung and Dadea-po beach and measured the deposition process of Jinudo(island) foreshore region. As a result, the monitoring system using video-based technique built in this study would be able to identify changes in the area and width of shoreline and beach of Nakdong river estuary.

한국 부산 연안의 저서 해조상과 군집 구조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Busan, Korea)

  • 김주희;윤석현;남기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920-933
    • /
    • 2012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at four stations in Busan, in which coastal area and estuary affected by Nakdong river are involved, from February 2011 to October 2011. Total 78 species including 9 of cholophyta, 17 of phaeophyta and 52 of rhodophyta were found during the study period. Maximum and minimum species number were recorded at station 1(57 species) and at 3(32 species). As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grouping pattern between the four station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ason and Nakdong river run off. At station 3 directly exposured on Nakdong river run off, species diversity was relatively low and dominant species were similar throughout four seasons. However, coverage at the station was relatively high because of Ulva bloom. This difference results from salinity and nitrates concentrations closely related with river runoff controlled according to precipitation. Marine algal coverage was high at lower salinity and higher nitrat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benthic marine algae in estuary of Nakdong river was mainly determined by the precipitation and river run off with the seasons, whereas that in coastal area was seasonally affected by general physical, chemical, biological and dynamic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