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tomical structure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3초

Microspore-derived Embryo Formation and Morphological Changes during the Isolated Microspore Culture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 Han, NaRae;Kim, Sung Un;Park, Han Young;Na, Haeyo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82-389
    • /
    • 2014
  • Raphanus sativus L. cv. Taebaek, a efficiently microspore-derived embryo (MDE)-forming cultivar, and 'Chungwoon', a non-MDE-forming cultivar were selected as donor plants for isolated microspore culture. Radish flower bud of 2.0 (small, S), 4.0 (medium, M), and 6.0 (large, L) ${\pm}$ 0.5 mm in length were isolated to determine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flower bud size and MED yield. Anatomical observations revealed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flower buds between the two cultivars. In both cultivars, the stigmas were much longer than the floral leaf in M-sized flower buds. The MDE yields for 'Taebaek' per petri dish were 6.6 and 1.3 for M- and L-sized of flower buds, respectively, but MDE formation was not induced in the S flower buds. On the other hand, 'Chungwoon' failed to form MDEs in all flower buds. The microspore density of 'Taebaek' was 1.3 times more than that of 'Chungwoon' for M sized flower buds. Of the M-sized buds from 'Taebaek' and 'Chungwoon', 92.1 and 81.6%, respectively, were in the late uninucleate microspore st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frequency of MDE formation. Anatomical observations of MDE formation revealed that the microspores were able to divide to form a primordium from which cell division took place continuously in the 'Teabeak' cultivar. However, the microspores of 'Chungwoon' failed to progress beyond the primodium stage, resulting in lack of MDE formation. By contrast, after the formation of the primordium,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of embyos from microspore were observed in the 'Taebaek' cultivar.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termine MDE forming potentials of radish cultivars.

현사시나무(Populus alba × P. glandulosa)의 부정아유래조직(不定芽由來組織) 및 Dimple의 조직특징(組織特徵) (Anatomical Diagnoses Derived from the Adventitious Buds and Dimples in the Populus alba × P. glandulosa)

  • 박상진;강선구;조재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55-58
    • /
    • 1985
  • 현사시나무에 흔히 분포(分布)하는 부정아유래조직(不定芽由來組織)과 dimple 및 그 주변조직(周邊組織)의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부정아유래조직(不定芽由來組織)은 도관(導管)이 거의 발달(發達)하지 않으며 구성세포(構成細胞)의 직경(直徑)이 작고 벽후(壁厚)가 두껍다. 주변조직(周邊組織)은 목섬유(木纖維)가 만곡(彎曲)하고 격벽세포(隔壁細胞)를 형성(形成)하는 경우가 많으며 방사방향(放射方向)으로 급격(急激)히 만곡(彎曲)하고 방사조직(放射組織)이 다열화(多列化)한다. 또 부정아유래조직(不定芽由來組織) 및 dimple에 인접(隣接)한 선상변색부(線狀變色部)의 도관(導管)에는 상해(傷害) 타일로시스가 발달(發達)한다.

  • PDF

<고려 나전칠기> 제작에 사용된 목공기술과 자개의 해부학적 특징에 대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of the woodworking techniques used in the production of Goryeo mother-of-pear-linlaid lacquerware and the anatomical features of the shell for the mother-of-pearl)

  • 박영만;김태하;고수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5권
    • /
    • pp.27-34
    • /
    • 2021
  •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나전향상(高麗螺鈿香箱)은 당대의 제작기법과 미학적 표현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대표 문화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복원에 필요한 백골 제작에 사용된 수종 및 목공기술과 나전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고려나전향상은 삼나무로 만들었으며 이는 일본과 교역관계를 짐작할 수 있으며 뚜껑 하단에 있는 띠 부분 부착하기 위하여 모서리 부분에 "주름꺾기법"을 사용한 것과 상판과 측판의 결합을 위하여 나무못을 사용한 것은 얇은 판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사용된 나전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얇은 판상의 적층구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일부 패각류에서 관찰되며 정확한 패각의 식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뇌 삽입형 신경 접속 마이크로 시스템의 구현상 이슈 (Implementation Issues in Brain Implantable Neural Interface Microsystem)

  • 송윤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4호
    • /
    • pp.229-235
    • /
    • 2013
  • 본 논문은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뇌-기계 접속을 위한 완전 삽입형 마이크로 시스템의 구현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들을 고찰한다. 현재까지의 과학 기술적 연구는 신경 신호 증폭기, 무선 신호 전송 등 주로 고성능 저전력 전자기기 및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집중되어 왔으나, 마이크로 시스템의 실제적인 응용은 전자 기기의 특성뿐만 아니라 밀봉 구조의 디자인에서 뇌의 생리 해부학적 특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논문은 특히 뇌 삽입형 마이크로 시스템의 실질적인 구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시스템 발열의 영향, 신경 프로브의 감지 부피, 무선 데이터 전송 및 전력 전달, 그리고 뇌의 생리 해부학적인 고려 요인에 대해 논의한다.

해부학적 기능을 고려한 환자맞춤형 근위대퇴골 모델의 파라메트릭 변형 방안 (Parametric morphing of subject-specific NURBS models for Human Proximal Femurs Subject to Femoral Functions)

  • 박병건;채제욱;김재정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458-466
    • /
    • 2011
  • The morphology of a bone is closely associated with its biomechanical response. Thus, much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analyzing the effects of variation of bone morphology with subject-specific models. Subject-specific models, which are generally achieved from 3D imaging devices like CT and MRI, incorporate more of the detailed information that makes a model unique. Hence, it may predict individual responses more accurately. Despite these powerful characteristics, specific models are not easily parameterized to the extent possible with statistical models because of their morphologic complexities. Thus, it is still proven challenging to analyze morphologic variations of subject-specific models across changes due to aging or diseas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a generic and robust parametric morphing method for a subject-specific bone structure. We demonstrate thi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on a model of a human proximal femur. Automatic segmentation algorithms are also presented to parameterize the specific model efficiently. A total of 48 femur models were evaluated for defining morphing vector fields. Also, several anatomical and mechanical functions of femur were considered as morphing constraints, and the NURBS interpolating technique was applied in the method to guarantee the generality of our morphed results.

충돌 안전도 해석을 위한 $5^{th}$ percentile 성인 여성 유한요소 모델 개발 - Part I 다물체 동력학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5^{th}$ percentile female finite Element Model for Crashworthiness Simulation - Part I Articulated Rigid Body Model)

  • 나상진;최형연;이진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77-282
    • /
    • 2004
  • 자동차 충돌 시 신체의 크기가 작은 여성 승객의 거동 및 상해 기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5% percentile의 여성 유한 요소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은 작은 신체 여성의 형상을 대표하는 분절된 강체와 해부학적으로 상세하게 묘사된 내부 요소들로 구성되어 진다. 분절된 강체 모델은 상세한 골격 및 장기 등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작은 여성 승객의 전체적인 운동역학을 표현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절된 강체 모델의 체형 구성 및 유한요소 구조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모델의 검증과 함께 소개되어 진다. 모델링의 후반부 즉 작은 여성의 해부학적으로 상세한 내부 요소는 연이은 part II 논문에서 다루게 된다.

손목 관절의 해부학 (Normal Anatomy of the Wrist Joint)

  • 강홍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12
  • 손목 관절은 신체의 관절 중 가장 많은 골들과 다양한 인대 및 근육 의해 형성되는 복합 관절로 그 해부학적 구조가 복잡하여 이해하기 힘든 관절이다. 손목 관절은 하나의 관절 공간이 아닌 요척골과 근위 수근골 사이에 형성되는 요수근 관절(radiocarpal joint)과 근위 수근골과 원위 수근골 사이에 형성되는 중수근 관절(midcarpal joint) 그리고 원위 요골과 척골두에 의해 구성되는 원위 요척 관절(distal radioulnar joint)로 구성되며 각각의 관절은 정상적으로 각기 분리되어 있다. 손목 관절에 발생하는 질환과 외상에 대해 치료하기 위해서는 손목관절의 정상 해부학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종설에서는 손목관절의 해부학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고자 하였다.

  • PDF

요통의 해부학적 고찰 (A Comprehensive Anatomical Approach to Low Back Pain)

  • 김용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0권2호
    • /
    • pp.149-159
    • /
    • 1998
  • 요추가 제기능을 다하려면 추체와 디스크 및 후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주위 연부조직이 정상적 위치에 있어야한다. 또한 체중을 지탱하는 역학적 관계로 볼 때 척주(vertebral column)의 운동범위가 가장 큰 부위가 요천추관절이므로 항상 구조적 변화가 잘 일어난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요통 발생은 요추부의 해부학적 구조 중 후관절, 추체, 추간판의 역학적 관계를 고찰을 통해서 본 결과 어느 특정한 한 부위에서 발생한 것 보다는 추체, 추간판, 후관절의 변화에 따른 주위 연부조직의 변화도 함께 동반 손상이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요통이란 용어는 포괄적인 개념에서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동반하는 매우 광범위한 질병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요통의 해부학적 고찰을 통해서 미비하나마, 요통은 디스크의 문제라는 일반적인 개념에서 탈피해서 여러 가지 복잡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았다. 요통의 치료는 그 원인에 따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좀더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 PDF

해부학적 구조를 이용한 유전자 정보 통합 기법 (Integration Scheme of Gene Information based on Anatomical Structure)

  • 양기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153-158
    • /
    • 2015
  • 생물학자들은 특정 암이나 선천성 질병을 이해하는데 핵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전자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생물학적 실험은 실험당시의 여러 가지 요소나 상황의 차이 또는 해석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결과를 생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현존하는 연구 결과들은 서로 상이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유전자 정보의 통합을 통하여 이러한 불일치를 찾을 수 있다. 유전자 정보들이 불일치가 없이 통합 된다면 생물학자들은 어떤 유전자 정보를 알기 위해서 여러 연구 결과를 검토하지 않아도 되어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연구에 의해 구축된 유전자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통합 및 확장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Classifying Instantaneous Cognitive States from fMRI using Discriminant based Feature Selection and Adaboost

  • Vu, Tien Duong;Yang, Hyung-Jeong;Do, Luu Ngoc;Thieu, Thao Nguyen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1호
    • /
    • pp.30-37
    • /
    • 2016
  • In recent decades, the study of human brain function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anks to the advent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is is a powerful tool which provides a deep view of the activities of the brain. From fMRI data, the neuroscientists analyze which parts of the brain have responsibility for a particular action and finding the common pattern representing each state involved in these tasks. This is one of the most challenges in neuroscience area because of noisy, sparsity of data as well as the differences of anatomical brain structure of each pers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se of appropriate discriminant methods, such as Fisher Discriminant Ratio and hypothesis testing, together with strong boosting ability of Adaboost classifier. We prove that discriminant methods are effective in classifying cognitive states. The experiment results show significant better accuracy than previous works. We also show that it is possible to train a successful classifier without prior anatomical knowledge and use only a small number of fe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