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erobe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초

감염 근관에서 분리된 연쇄구균의 16S Ribosomal DNA 중합효소 연쇄반응과 제한효소 절단길이 다형성에 관한 연구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16S RIBOSOMAL DNA OF STREPTOCOCCI ISOLATED FROM INFECTED ROOT CANALS)

  • 정희일;임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577-609
    • /
    • 1995
  • Bacteria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ulpal and periapical diseases. Streptococci are frequently isolated facultative anaerobes in infected root canals. Recently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s have been rapidly progress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ly the molecular biological tools to th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treptococci in the endodontic microbiology. Streptococci isolated from infected root canals were identified with both Vitek Systems and API 20 STREP. Identification results were somewhat different in several strains of streptococci. Eighteen streptococci and enterococcal was difficult so to digest plasmid DNA using Hind III and EcoRI to differentiate strains by restriction enzyme analysis of plasmid DNA. 16S rDNA of chromosome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then restrici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using several restriction enzymes was observed. The molecular mass of 16S rDNA of chromosomal DNA was approximately 1.4kb. There were three to five RFLP patterns using eight restriction enzymes. RFLP patterns digested with CfoI which recognizes four base sequences were identical in all stains. Hind III which recognizes six base sequences could not digest the 16S rDNA. Restriction enzymes which recognize five base sequences were suitable for RFLP pattern analysis. At least three different restriction enzymes were needed to compare each strains. 16S rDNA PCR-RFLP was simple and rapid to differentiate and classify strains and could be used in the epidemiological study of root canal infections.

  • PDF

돼지 사체의 혐기적 고온 매몰퇴비화법에서의 악취발생 특성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naerobic high temperature burial composting of swine carcasses)

  • 양우영;이진영;최연주;류희욱;채정석;전준민
    •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198
    • /
    • 2017
  • It is very important to treat infected livestock carcasses safely and quickly. In this study,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odor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carcasse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treatment of swine carcasses using the anaerobic burial composting method. While the carcasses were decomposed, the temperature remained high, at $40{\sim}55^{\circ}C$ on average, and most of the carcasses were decomposed rapidly. The major odor-contributing substances in the buried composting method are sulfuric odor substances such as $H_2S$, $CH_3SH$, dimethyl sulfide (DMS) and dimethyl disulfide (DMDS), and the odor contribution of these substances is 93~99%. Among them, $CH_3SH$, which accounts for about 56~89% of odor contribution, was the most representative indicator substance. Despite th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the methane concentration in the digestion process was as low as 0.5~0.8% at the burial point of the carcass. The odor and methane produced during the decomposition of the carcasses decreased considerably during the discharge to the surface layer through the buried layer consisting of compo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aerobic high temperature burial composting is one of the most useful methods to treat carcasses of infected livestock.

어육소시지 부원료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 (Bacterial Studies on the Subsidiary Materials of Fish Sausage)

  • 조갑숙;김성준;이응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5-166
    • /
    • 1980
  • 어육 연제품의 부패에 관여하는 세균의 보급원이 되고있는 부원료의 미생물 오염 실태를 알기 위하여 어육 소시지 가공공장과 시중에서 채취한 녹말, 각종 향신료 및 조미료 20종에 총 시료수 59점에 대하에 생균수, 대장균군, 분변계대장균, 곰팡이 및 효모, 내열균, 호기성 아포형성균(중온 및 고온균), 혐기성 아포형성균(중온 및 고온균), 혐기성 황화수소변패 아포형성균을 조사하였다. 1. 부원료 중 녹말, 후추, 고추가루, 양파, 마늘, 생강, 육즙, 프랑크 등은 일반세균 및 포자형성균의 오염이 높았으며 시판품이 가공공장의 것보다 세균함량이 많았다. 2. 생균수가 높았던 시료는 내열균, 호기성 아포형성 중온균 및 고온균의 함량이 높았다. 3. 가공공장의 후추와 육즙, 시판품의 후추, 고추가루, 양파, 마늘 등은 외국의 세균관계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4. 생균수는 가공공장의 후추, 밀가루, 양파, 마늘이 $10^4$~$10^{5}$ /g이었고 시판의 후추, 고춧가루, 양파, 마늘이 $10^{5}$ ~$10^{7}$ /g이였으며 후추정유와 색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5. 대장균군이 검출된 시료는 생균수의 함량이 높았던 종류들이며 후추, 고추가루를 제외한 다른 시료에서는 분변계대장균이 검출되지 아니하였다. 6. 곰팡이 및 효모는 가공공장의 녹말, 밀가루, 후추가 140~460/g이었고 시판하는 후추와 고추가루는 $10^3$/g이였으며, 다른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아니 하였다. 7. 10$0^{\circ}C$에서 5분간 끓인 후 55$^{\circ}C$에서 배양한 혐기성 황화수소변패 아포형성균은 본 실험에 제공된 어느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정상 신생아의 대변에서 생후 1주일 동안 장내세균총의 변화 (The Changes of Intestinal Normal Flora in Neonates for Seven Days Postnatally)

  • 성남주;이승규;김미진;김영호;양승;황일태;정지아;이혜란;김재석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2호
    • /
    • pp.162-168
    • /
    • 2006
  • 목 적: 자궁 내에서 태아의 소화기는 무균상태에 있다가 출생 후 신생아기에 점차 장내세균의 집락화가 이루어진다. 출생 초기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세균은 Staphylococcus, Enterobacteriaceae, Streptococcus가 있으며, 이후 Bifidobacterium spp.와 같은 혐기성 세균이 나타난다. 이에 저자들은 정상 신생아의 대변에서 생후 1주일 동안 장내세균총의 분포와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한림의대 강동성심병원에서 출생한 정상 신생아 15명(자연분만 3명, 제왕절개 12명)(모유수유 1명, 분유수유 8명, 혼합수유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 첫 대변과 1일, 3일, 7일째의 대변을 채취하였다. 대변 배양 배지와 조건를 달리하여 호기성균(blood agar plate), E. coli (trypton bile X-glucuronide 배지), 그람 양성 혐기성균(phenylethyl alcohol agar), lactobacillus (MRS 배지), Bifidobacterium spp. (bifidobacterium selective agar), Clostridium difficile (cefoxitincycloserine-fructose agar)을 검출하여 배양된 균 집락의 수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결 과: 출생 첫 대변에서는 균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호기성균, E. coli, 그람 양성 혐기성균은 출생 시부터 생후 7일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Lactobacilli는 한명의 신생아에서 생후 7일에 검출되었다. Bifidobacterium spp.은 2명에서 검출되었다. Clostridium difficile은 생후 7일까지 검출되지 않았다. 분만 방법과 수유 방법에 따른 균 집락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정상 신생아에서 생후 1주일 동안 장내세균총의 다양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앞으로 생후 1주일 이후의 장내세균총의 변화와 더 많은 환아에서의 연구를 진행한다면 생균제 사용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수종유기물(數種有機物)의 시용(施用)이 타양성(他養性)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Various Carbon Sources on Heterotrophic Acetylene Reducing Activities of Submerged Soil)

  • 이상규;마쯔꾸치 타츠히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6-293
    • /
    • 1983
  • 한국(韓國), 일본(日本) 및 태국(泰國)의 논토양(土壤)을 홍시(洪試)하여 수종유기물(數種有機物)을 첨가(添加)했을 때 지양성(地養性)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져 실내시험(室內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유기물(有機物) 첨가(添加)에 의(依)한 타양성(他養性) 질소고정(窒素固定) 미생물(微生物)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Glucose > 볏짚 > 퇴비(堆肥)의 순으로 높고 3개토양간(個土壤間)에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2. 탄소(炭素) 1g당(當)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토양(土壤)에 따라 상이(相異)하나 담수(湛水)30일간(日間) 췌동(萃東)(한국(韓國)) 2.20mg, 홍소(鴻巢)(일본(日本)) 0.80mg, 그리고 Ratchaburi 토양(土壤)(태국(泰國))이 0.85mg/100g이였다. 3. 논토양(土壤)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근래(近來) 수년간(數年間) 유기물(有機物) 및 화학비료(化學肥料)를 전혀 시용(施用)하지 않은 토양(土壤)(Ratchabur) 및 화학비료(化學肥料)만을 시용(施用)한 토양(土壤)(홍소(鴻巢))에 비(比)하여 볏짚을 운용(運用)한 토양(土壤)(췌동통(萃東統))에서 현저(顯著)히 높았음. 4. 논토양(土壤)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에 의(依)한 전질소(全窒素) 고정력(固定力)은 사질토양(砂質土壤)보다 식질토양(殖質土壤)에서 높으나 광합성(光合成) 질소고정(窒素固定) 미생물(微生物)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반대(反對)로 식질(殖質)보다 사질토양(砂質土壤)에서 높았다.

  • PDF

고농도 암모니아를 함유한 돈사폐수의 고율혐기성 소화시 메탄균의 활성연구 (Activity of Methanogens in the High Rate Anaerobic Digestion of Swine Wastewater Containing High Ammonia)

  • 오세은;이채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81-987
    • /
    • 2000
  • 축산분뇨에 대한 처리도 및 암모니아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UASB 반응조를 운전하였다. 반응조의 운전결과 유기부하량 $2.6kg\;COD/m^3.day$과 수리학적 체류시간 3일에서 70%의 COD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나, 유기부하량과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각각 $7kg\;COD/m^3.day$과 2일로 유지한 경우 COD 제거율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반응조 슬러지의 유리암모니아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된 회분식 실험 결과, 각 단계별 슬러지의 메탄균 활성은 0.5, 0.47 및 $0.3kgCH_4-COD/kgVSS.day$로 반응조내 유리암모니아 농도가 $500mg-N/{\ell}$에서는 메탄균의 활성이 4%, 유리암모니아 농도가 $1000mg-N/{\ell}$에서는 메탄균의 활성이 40%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유리암모니아 농도가 $500mg-N/{\ell}$ 이하에서는 반응조 미생물에 미치는 저해정도가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1000mgVSS/{\ell}$ 이내의 휘발성 고형물질을 포함하는 폐수는 혐기성균에 의해 쉽게 분해되므로 UASB 반응조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 PDF

통성혐기성 수소생산균주 Rhodopseudomonas sp. MeL 6-2를 이용한 수소생산효율에 미치는 포도당 및 자당 농도의 영향 (Effect on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Sucrose on the Hydrogen Production using by the Facultative Anaerobic Hydrogen Producing Bacterium Rhodopseudomonas sp. MeL 6-2)

  • 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6-182
    • /
    • 2009
  • 안양천 공단 주변 슬러지를 미생물 접종원으로 무기염배지에 10 g/L의 자당을 첨가하여 수소 생산 균주 MeL 6-2을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 MeL 6-2은 호기성조건과 혐기성 조건에서 모두 생장하는 통성 혐기성 균주 Rhodopseudomonas sp.였다. 유기성 폐기물 내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포도당과 자당의 농도변화가 수소 생산 속도 및 수소 생성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포도당을 1~12 g/L의 범위로 첨가할 경우 lag phase 없이 생장하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위시간 및 단위부피당 수소 생산성 이 증가하여, 10 g/L에서 최대값인 $4.2\;mmol-H_2{\cdot}L^{-1}{\cdot}h^{-1}$을 보이고 그 이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균체량에 대한 수소생산수율은 $0.76{\sim}2.46\;L-H_2{\cdot}g-DCW^{-1}$의 값을 보였으며, 첨가된 기질인 포도당에 의한 수소생산수율은 $2.6{\sim}3.1\;mol-H_2{\cdot}mol-glucose^{-1}$의 범위였다. 자당을 1~12 g/L의 범위에서 첨가할 경우 약 10시간의 지체기 후 원할한 생장을 보였다. 단위시간 및 단위 세포무게 당 비수소 생산속도는 및 수소 생산수율은 자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각각 $163\;mmol-H_2{\cdot}mg-DCW^{-1}{\cdot}h^{-1}$$4.5\;mol-H_2{\cdot}mol-glucose^{-1}$의 최대값을 보였다.

Effects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Administration on Fecal Microflora and Putrefactive Metabolites in Healthy Adults

  • Park, Kyu-Yong;Jung, Hwang-Yeong;Woo, Kang-Lyung;Jun, Kyoung-Dong;Kang, Jae-Seon;Paik, Hyun-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657-663
    • /
    • 2002
  • Probiotics have been suggested to improve gastrointestinal health in huma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administration on fecal microflora and putrefactive metabolites in humans,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4.00${\times}$10$\sub$5/ CFU/mg) was administrated to ten healthy subjects (5 men and 5 women, average age 24 years) three times a day for 2 weeks.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1st and 2nd weeks, control), during (3rd and 4th weeks), and 2 weeks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fo11owing microbial groups were evaluated in the feces: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total lactic acid bacteria, Salmonella, Clostridium, Clostridium perfringens, Eubacterium, Staphylococcus, Coliform bacteria, Pseudomunas, and Yeast. Fecal concentr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p<0.05, p<0.01, 3rd and 4th weeks), total lactic acid bacteria (p<0.01, 3rd, 4th and 5th weeks), and Bifidobacteria (p<0.05, 4th and 5th week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subjects, compared to the control, from the 3rd week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products. Clostridium (p<0.01, 4th week), Clostridium perfringens (p<0.05, p<0.01, 3rd and 4th weeks), and coliform (p<0.01,5th week) were significantly reduced from the 3rd week of administration.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fecal concentrations of Pseudomonas, Lactobacillus, Eubacterium, Staphylococcus, yeast, and total anaerobes were observed. Six weeks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concentration of all rnicroorganlsrns returned to the basal level.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was significantly maintained from the 3rd week to 6th week of the study. Despite the absence of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utrefactive metabolites (ammonia, indole, skatole, and $\rho$-cresol) and the pH value tended to be lower during and after the test periods than the base line. These results show that this probiotic preparation is able to colonize the intestine, and suggest that it may be useful as a beneficial probiotic in humans.

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Probiotic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 류경선;박홍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37
    • /
    • 1998
  • Two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ing value of probiotics for the broiler chicks. Basal diets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with no supplemental probiotics contained 21% dietary crude protein for the first 3 weeks and 19% for the rest of two weeks. In experiment 1, 0.2 % probiotics containing 2X 10 6 cfu /ml of Saccharomyces cerevisiae(S), Clostridium butyricum(C), Lactobacillus acidophilus(L), Bacillus polyfermenticus(B) were respectively supplemented to control groups. Two hundred day-olo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treatments which had four replicates of 10 chicks each per treatment. Weight gain, feed consurnption,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weekly measured for 5 weeks. The number of intestinal microflora was examined at the end of experiment. In experiment 1,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f chicks fed probiotics exhibited a significant respons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for the first three weeks(P<0.01). Weight gain of S or C treatment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for the rest of two weeks, whereas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L and B treatments than S or C treatments (P<0.01). Chicks fed S or 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eight gain(P <0.05) compared to that of control at five weeks of age. FCR of C treatment seemed to improve relative to other supplemental probiotics groups,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number of intestinal anaerobes and Lactobacillus in large intestine of chicks fed probiotics suppleme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s(P<0.01). In experiment 2, there were six treatments: Ti, control; T2, 0.2%S; T3, 0.2%S + 0.2%C; T4, 0.2%S + 0.2%L; T5, 0.2%S + 0.2%B; T6, 0.2%S + 0.1%C + o.i%L + 0.1%B. Control diet based on corn soybean meal contained 21% CP and 3,2OOca1 /g ME with no probiotics. There were four replicates of 10 chicks each per treatment. Weight gain of chicks fed probiotics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control groups,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FCR was also improved in probiotics treatmen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biotics supplementation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l probiotics improved weight gain, feed efficiency for the first three weeks of young broiler chicks, whereas supplementation of C, L, B combined probiotics to young broiler chicks was not superior to those of single or two probiotics.

  • PDF

인삼재배지 유기물 시용이 토양미생물과 미소동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on Soil Organisms in a Korean Ginseng Field)

  • 어진우;박기춘;이성우;배영석;연병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88-193
    • /
    • 2010
  • 본 연구는 인삼재배지 포장에서 부엽토와 돈분퇴비 시용이 토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토양미생물, 선충, 응애 등 미소동물의 군집과 개체밀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토양 미생물 군락 조성과 생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인지질지방산을 추출하여 지표지방산으로 분석한 결과 세균, 곰팡이, 방선균의 상대밀도는 차이가 없었다. 부엽토 처리구에서 환경스트레스 지표인 포화지방산/단불포화지방산 비율과 Cyclopropyl 지방산/전구체 지방산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호기성/혐기성균 비율이 낮았던 것은 유기물의 분해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시사한다. 돈분퇴비 처리구에서 내생균근균인 VAM의 상대밀도 증가는 pH 증가의 영향으로 보이지만, 유기물 증가에도 불구하고 그램음성균/그램양성균 비율과 스트레스 지표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던 것은 EC나 pH 증가 등으로 인한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돈분퇴비 시용구에서 선충의 개체밀도는 증가하였지만, 날개응애류의 개체밀도는 감소하였다. 부엽토 또는 돈분퇴비의 시용에도 불구하고 토양동물의 개체밀도는 일반 농경지와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개간지의 경우 장기간의 예정지 관리를 통해 토양생물의 밀도를 높여 유기물의 분해효율을 증가시키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