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 effective way of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대안교육의 눈으로 재발견하는 환경교육 (New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ossibility of Alternative Education)

  • 엄은희;김종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6권2호
    • /
    • pp.29-38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 new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of alternative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troduced by needs of society for an effective way of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But it also has a meaningfulness which is internal need of education for proposing and fostering ecological human corresponds with crisis of modernism. In spite of excessive rhetoric, vision of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very negative.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restricted to optional course. So, its potential isn't fulfil. Education is both part of the problem and the solution. Education is proclaimed at high level as the key to a more sustainable society and yet it daily plays a part in reproducing an unsustainable society. If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fulfil its potential as an agent of environmental problem solution, it becomes both part of the ideal and the practice of education. In this point, alternative education is a model of what environmental education ought to b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lternative education have a common ground in end of education and critical position to the modern education system.

  • PDF

The Effect of a Rainwater Education Program on South Korean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 Seo, Eun-Jung;Kim, Tae-Yeon;Kang, Tae-H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77-84
    • /
    • 2013
  • Recently, rainwater has come to the forefront as an alternative resource contributing to solving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water. However, more or less biased perspectives on rainwater as a pollutant, mainly derived from acid rain, have still been pervasive in public as well as research communities.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rain harvesting in recent society, it is necessary to promote educational efforts to overcome such social prejudices and improve desired values towards rainwater. Thus,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rogram focusing on the theme of rainwater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e group pre/post testing was conducted with 57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urses. According to the survey, studen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rainwater as well as water after the course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on developing an effective educational way to improve students' positive recognitions and attitudes regarding rainwater-related issues. Such an educational effort might contribute to sharing the worthiness of preserving rainwater with the future generation and promoting rainwater harvesting within wider public participation.

초등실과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환경의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on the Creativity and Environment-Awarenes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nvironmental Education)

  • 최청림;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15-132
    • /
    • 2003
  • 본 연구는 제 7차 실과교육과정의 6학년 재활용품 만들기 단원에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환경의식 및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를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서 초등 실과 환경 단원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초등실과환경 단원에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안을 적용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비교집단에는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안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비교집단간의 환경의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초등실과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한 실과수업을 받은 아동은 환경의식 점수가 의의 있게 향상되어,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환경의식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이 실천적이고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생활 습관에 관련된 교육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환경 보존 실행의지가 강화되고, 스스로 찾은 여러 가지 환경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을 전개하고 환경관련 주제에 대해 다양한 기능이 배양된 것으로 학생들의 환경의식과 실천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활용 만들기가 우리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서 환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본다. 둘째, 실과교과에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의 적용은 아동의 창의성 검사결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주변의 환경에 대해 민감한 관심을 보이고 이를 통해 새로운 탐색 영역을 넓히려는 민감성이 생겨났고, 의식적, 무의식적 강박 관념을 없애고 일단 떠오르는 모든 생각들을 수용하고 활용함으로써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이 커졌으며, 자신에게 익숙한 관점에만 고착되어 문제를 해결하거나 결론을 내리는 경향에서 벗어나 고정적인 사고의 틀을 깨고 발상 자체를 전환시켜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생각이 변환되어 자기만의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된 것으로 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초등실과환경 단원의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 모형의 적용은 아동의 환경의식과 창의성을 신장시킨다고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ncept Recognition Possibility of Ecorefugee

  • Park, Jong-Ryeol;Noe, Sang-O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77-184
    • /
    • 2016
  • Since 1980s, 30 years has passed after issues on environmental refugee began to appear. However, why environmental refugee is not considered as refugee officially in international society? Above all, it seems that main point is the responsibility given to those developed countries if they, whom led the climate changes, officially acknowledge environmental refugee. The problem is that environmental refugee has no direct responsibility for causing climate changes. Actually. the responsibility should be granted to the developed and industrialized countries which caused climate changes. In accordance to the refugee protection system established under current international law, it is difficult to include them into refugee category and thus, they can hardly have enough support. It is urgently needed that new refugee treat which have the new standard and solution added to it shall be adopted. To allow new refugee treat to be effective it is compulsory to have constant and binding policy determination and willingness of execution from a united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course, before this, countries should try to have common recognition on recognizing new refugee problem and its seriousness as well as solving those problems together. In reality, it is worth considering adoption of semi-forceable type of system as a more effective way, which allocates responsibility of accepting refugee by amount of carbon emitted. Also, as refugee issu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mother company and the third countries, execution process of the system has to be defined clearly. For those permanent organizations, they should accurately define environmental factors making refugee and set standards to minimize possibility of abuse and misuse.

초등학생을 위한 웹기반 환경교육 시스템 (A Web-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채영욱;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7-36
    • /
    • 2003
  •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공학, 행정, 법률 등 여러 분야에서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국민 각자가 환경 보전에 대한 실천의지를 갖도록 하는 교육에서 찾아야 한다. 특히 유년기 즉 초등학생 시절부터 환경교육을 통하여 환경 보전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로 환경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에 포함된 환경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글쓰기, 그리기, 자연의 소리듣기, 음악 듣기, 보고서 작성, 퀴즈 풀기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환경에 관련된 지식, 기능을 습득하고 환경을 지키는 생활 습관과 태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특히 최신의 적절한 학습자료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웹 기반 시스템으로 설계하였고, 구성주의 학습원리를 기반으로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활동함으로써 환경을 지키려는 실천의지를 기르도록 하는 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학습실, 환경 자료실, 환경 퀴즈실, 작품 전시실 등을 통하여 다양한 학습 활동과 동기유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쉽게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학생들에게 환경과 관련된 지식, 기능, 태도, 참여 등의 환경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그 효과가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