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on the Creativity and Environment-Awarenes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nvironmental Education

초등실과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환경의식에 미치는 효과

  • 최청림 (대구와룡초등학교) ;
  • 정미경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실과교육)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at giving proof that helps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system accomplish as the effects are turned out experimentally. Two classes of the sixth grade of J elementary school in Dae-gu have been selected in order to be experimented. One was chosen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was done as a comparative group. The creative-problem-solving learning-model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was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For four classes of the sixth grades, ‘chapter 8: Making with recycled materials’ was proceeded as the content. Then. tests about the way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reativity were carried out twice. After that, the results of pre and after-test in the comparative and experiment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t-test method. Following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major observations were obtained: First, children who were educate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in a practical arts education achieved higher scores than before. Therefore, it turns out that the CPS method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awareness in children. It showed that it included lots of daily habits connected with daily life and it made the intention to carry out the environment-preservation stronger and children´s attitude towards the environment improved. Moreover, making with recycled materials was used to solve an environmental problem, affecting in a positive way in our life. It also made the positive recognition about the environment. Second. the application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clas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an make positive results to children. It helped children to have mor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round them. Children´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their ideas were improved as much as possible while they were solving problems. Consequently, the application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class model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environmental education lets children exp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creativity.

본 연구는 제 7차 실과교육과정의 6학년 재활용품 만들기 단원에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환경의식 및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를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서 초등 실과 환경 단원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초등실과환경 단원에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안을 적용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비교집단에는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안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비교집단간의 환경의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초등실과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한 실과수업을 받은 아동은 환경의식 점수가 의의 있게 향상되어,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환경의식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이 실천적이고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생활 습관에 관련된 교육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환경 보존 실행의지가 강화되고, 스스로 찾은 여러 가지 환경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을 전개하고 환경관련 주제에 대해 다양한 기능이 배양된 것으로 학생들의 환경의식과 실천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활용 만들기가 우리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서 환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본다. 둘째, 실과교과에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의 적용은 아동의 창의성 검사결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주변의 환경에 대해 민감한 관심을 보이고 이를 통해 새로운 탐색 영역을 넓히려는 민감성이 생겨났고, 의식적, 무의식적 강박 관념을 없애고 일단 떠오르는 모든 생각들을 수용하고 활용함으로써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이 커졌으며, 자신에게 익숙한 관점에만 고착되어 문제를 해결하거나 결론을 내리는 경향에서 벗어나 고정적인 사고의 틀을 깨고 발상 자체를 전환시켜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생각이 변환되어 자기만의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된 것으로 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초등실과환경 단원의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 모형의 적용은 아동의 환경의식과 창의성을 신장시킨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5학년 실과 교사용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2.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서 교육부
  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2 no.3 광주시 가정과 교사의 환경의식과 환경지식 및 환경수행에 관한 연구 김경애;성미순
  4.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초등실과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이 아동의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김지은
  5.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創意性 敎育 프로그램의 類型 및 關聯 變因이 創意性 向上에 미치는 效果 김명숙
  6.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방안의 모색 김보경
  7.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연구체험활동을 통한 환경 보전 의식의 생활화 방안연구 김상옥
  8. 실과교육연구 v.7 no.1 초등학교 6학년에서 수질환경교육을 위한 STS 수업모형의 적응효과 김혜순;최준섭
  9.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초등학교 실과에서 수질환경교육을 위한 STS 수업모형의 적응효과 김혜순
  10.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에서 모의환경학습이 환경의식에 미치는 효과 곽인환
  11. 환경교육론 남상준
  12.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실과 문제해결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노경숙
  13.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이 아동의 창의성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현주
  14.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환경오염에 의한 사회경제적 요소의 차별화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우석
  15.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현장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의식과 환경행동실천력에 미치는 효과 심은옥
  16.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우리 나라 초등교육과정에서의 환경 교육에 관한 연구 양숙경
  17.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초등학교 환경 교육에 관한 교육과정 연구 오일정
  18. 사고력 신장을 위한 가정교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1999년도 교육부 교과교육공동연구비 지원 답신보고서- 윤인경;정미경;이미자;장명희;박선영
  19.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Gordon의 학습이론을 토대로 한 수업 모형 개발연구 윤향숙
  20.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사활동을 중심으로 한 환경 교육 교수 방법 연구 이동열
  21.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초등학교 사회과 환경관련 단원의 체험학습이 환경의식 고취에 미치는 영향 이대섭
  22. 창의성 계발을 위한 열린 실과 교수-학습 모형과 자료개발.- 1998년도 교육부 교과교육공동연구 학습연구비 지원 답신보고서- 이방자;정미경;전세경;김영애
  23.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초등실과 '생활 기술' 영역을 통한 환경교육 이위서
  24.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초등학교 수질 환경 교육에서의 모의 학습 적용의 효과 이정순
  25. 창의성의 초대 임선하
  26.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초등교원의 환경 교육에 대한 의식 연구 임재문
  2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10 no.2 초등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실과교육 지도 방안 정미경
  2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12 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모형의 실과적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 정미경;김지은
  29.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가정교과과정에서의 환경 교육 실태 및 학생의 환경 보전 행동 연구 정현희
  30.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초등학교 학생의 환경 교육에 대한 실태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조균득
  31.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초등학교 환경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조용대
  32. 동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환경 주제 탐구 활동 모형을 적용한 올바른 환경의식 및 태도 함양에 관한 연구 최기학
  33. 실과교육학연구 최유현
  34.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능, 성 및 인성적 특성 최진이
  35. 창의성·사고력 검사(6학년용) 한국창의성연구소
  36.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초등학교 환경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분석 한세근
  37.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Gordon의 창의성 수업모형 적용이 아동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정혜
  38.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arsen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의 효과 홍옥자
  39. 연세논총 초등학교 환경교육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홍웅선
  40. Social Education v.49 no.4 Critical Thinking: What is it? Beyer
  41. Developing a thinking program Beyer
  42. 2001 Seoul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International Textile & Apparel Association The effects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lothing Education Chung, Mee-Kyung
  43. Educational Leadership v.42 no.1 Critical thinking is not enough de Bono
  44. How we think Dewey
  45. CPS for Teens: Classroom activities for teaching Creative Problem Solving Elwell,P.A.;Treffinger,D.J.
  46. Harvard Educational Review A concept of critical thinking Ennis
  47. Developing minds: A resource book for teaching thinking Goals for a critical thinking curriculum Ennis;Casta,A.L.(eds.)
  48. Creativity Research and Educational Planning The purdue creative thinking program Feldhudsen;I.S.Sato
  49. Creative problem solving through design education an experimental study Forsyth
  50. Havard Educational Review v.56 no.4 In search of a critical pedagogy Greene
  51.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Guliford
  52. Exploration in teaching strategies that foster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n a community college Hamza
  53. The Complete Problem Solver(2nd ed.) Hayes,J.R.
  54. Sixty-third yearbook of the NSSE Theories of learning and instructions Hilgard
  55. Creative Aporoaches to Problem Solving. Isaksen;Dorval;Treffinger
  56. The all new universal Traveler Koberg;Bagnal
  57. Teaching models in education of the gifted Maker,C.J.
  58.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Moore;Stockton
  59. Higher order thinking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Newman
  60.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The teaching of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Nickerson;r.J.Sternberg(ed.)
  61. Educational leadership Kinds of thinking taught in current programs Nickerson;Beyer
  62. Scratching the Surfac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 bird's eye view of CPS Noller
  63. Applied Imagination Osborn
  64.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ity Thinking Applied Imagination Osborn
  65. The magic of your mind Parnes
  66. Educational Leadership Critical Thinking: Fundamental to Education for a Free Society Paul
  67. Thinking: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Critical thinking and the critical person Paul;perkins,D.N.(et al.)(eds.)
  68. Education leadership Needed: Better Methods for testing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Quellmalz
  69. Teaching thinking across the curriculum Ruggiero
  70. An assessment: Models of teach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 Sanfilippo
  71.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29 no.3 Creative Problem-Solving in Art: A model for idea inception and image development Sapp
  72. Practical intelligence: Nature and origins of competence in the everyday world Thining in action: Some characteristics of paractical thought Scrivener;R.J.Sternberg(ed.);R.K.Wagner(ed.)
  73. Teaching creative problem-solving in technology education Sheldon
  74.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A three-facet model of creativity Stetnberg;sternberg,R.J.(ed.)
  75. Assessing the worth of the national technology student association curricular activities in promo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in north carolina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Trainer
  76. Encouraging Creative Learning for the Gifted and Talented Treffinger
  77.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basic course Isaksen;Treffinger
  78. A kick in the seat of the pants Van Oech
  79. A Model for teaching thinking skills: The inclusion process Worsham;Stock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