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hidromous fish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6초

Zoogeography of Taiwanese Fishes

  • Nakabo, Tetsuji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1-321
    • /
    • 2009
  • Three categories (freshwater, amphidromous, and marine fishes) of Taiwanese fishe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zoogeographic elements, viz. China element, Indo-China element, Indo-West Pacific element, Indo-Pacific element, North-Pacific element, Japan-Oregon element, and circumtropical element. Freshwater fishes, which include the China and Indo-China elements, are distributed on part of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Palaearctic and Oriental regions of Wallace (1876). Diadromous fishes include the North-Pacific, Indo-China and Indo-West Pacific elements. Taiwanese salmon, a landlocked (initially diadromous) species that became established in Taiwan between 0.5 my B.P. and the early Pleistocene, is recognized as a distinct taxon included within the Oncorhynchus masou complex, which comprises here three species and two subspecies, viz. Oncorhynchus masou masou (Sancheoneo, Songeo, Sakura-masu or Yamame), O. masou ishikawae (Satsuki-masu or Amago), O. sp. (Biwa-masu), and O. formosanus (Taiwanese salmon), based on molecular,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studies. Marine fishes are discussed under the following headings, brackish-water fishes (fishes of brackish waters and seas adjacent to continental coastlines, North Pacific and Indo-West Pacific elements; fishes of brackish waters and seas primarily around islands, Indo-West Pacific element), reef fishes (fishes of inshore reefs along continental coastlines from 0 to ca.100 m depth, Indo-West Pacific element; fishes of inshore reefs primarily around islands from 0 to ca.100 m depth, Indo-West Pacific element; fishes of offshore reefs along continental shelf edges from ca.150 to 300 m depth, circumtropical and Indo-Pacific elements; fishes of offshore reefs primarily around islands from ca.150 to 300 m depth, Indo-Pacific element), demersal fishes (fishes on continental shelves shallower than ca.150 m depth, Indo-West Pacific and Japan-Oregon elements; fishes on edges and upper continental slopes from ca.150 m to 500 m depth, Indo-West Pacific, Indo-Pacific, and circumtropical elements; fishes on lower continental slopes to abyssal plains from ca.500 m to 6,000 m depth, circumtropical element and rarely Indo-Pacific element), pelagic fishes (epipelagic fishes from 0 to ca.150 m depth, Indo-West Pacific, Indo-Pacific or circumtropical elements; meso- and bathypelagic fishes from ca.150 to 3,000 m depth, circumtropical element). The distribution of Taiwanese marine fishes are influenced by the Kuroshio Current, low-salinity and low-temperature waters from mainland China, and sea-bottom topography.

개량안강망에 채집된 금강하구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a Bag Net in the Geum River Estuary, Korea)

  • 황선완;황학빈;노형수;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9-54
    • /
    • 2005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the Geum River estuary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with a bag net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3. Of a total of seventy-three species collected, four groups of fishes were distinguished. Estuarine fishes such as Chelon haematocheilus and Synechogobius hasta were collected almost all the seasons and predominated in abundance during cold months. Coastal fish species such as Sardinella zunasi, Konosirus punctatus, Engraulis japonicus, Johnius grypotus and Thryssa kammalensis were dominated from late spring to autumn. Their adults entered into the estuary in spring and a large number of their juveniles were collected in summer and autumn till moving out to deeper waters for over-wintering. A few freshwater fishes were collected when the freshwater was discharged during the rainy season. Anguilla japonica elvers (diadromous fish) and Coilia nasus (amphidromous fish) were collected in spring during their upstream migratio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was principally determined by water temperature and/or water temperature related factors.

보길도 소하천 담수어류상 및 군집구조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Small Streams in Bogil Island, Korea)

  • 한정호;박찬서;안광국;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2-80
    • /
    • 2017
  •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보길도 일대의 소하천의 12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 및 어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17속 2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망둑어과(10종, 1,157개체; 상대풍부도 (RA), 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아우점과는 잉어과 (3종, 500개체), 숭어과(2종, 168개체)순으로 나타났다. 버들치(RA 20.7%, 397개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꾹저구(19.5%, 373개체), 사백어(17.2%, 330개체), 가숭어(8.5%, 1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생활형 구분으로 일차담수어가 9종(42.9%), 주연성 어종 11종(52.4%), 양측회유성 어종 1종(4.8%)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종 및 외래어종은 보길도에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 및 종 다양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부황천 최하류 구간(S8)에서 각각 1.831, 1.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우점도 지수는 중류구간(S4) 1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하류 구간(S8)에서 0.17로 낮게 나타났다.

한국산 둑중개속(Cottus)의 분류학적 재검토와 자어의 형태적 특징 (Taxonom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Juvenile Cottus(Cottidae) Fishes from Korea)

  • 변화근;최재석;손영목;최준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8-134
    • /
    • 1995
  • 한국산 둑중개속(Cottus)의 둑중개(C. poecilopus Heckel)와 한둑중개(C. hangiongensis Mori)의 두 종에 대하여 계측형질, 계수형질, 발생형질 및 자어형태을 조사하므로써 분류학적으로 비교하고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계측형질에 있어서는 문장 및 미병장에서 종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나머지 형질에서는 비슷하였다. 계수형질에 있어서는 가슴지느러미의 연조수에서 C. poecilopus가 13인 반면 C. hangiongensis는 14로 명확히 구분되었다. 포란수와 난의 크기에 있어서는 C. poecilopus(평균 포란수 744 ; 난의 평균 직경 2.7mm)가 C. hangiongensis(1005 ; 1.6)에 비하여 포란수가 적고 대란형이며 부화 직후의 자어 크기에 있어서도 2배 이상 크게 나타났다. 이는 Cottus poecilopus가 하천육봉형인 반면 C. hangiongensis는 양측회유형에 따른 적응의 결과로 판단된다.

  • PDF

멸종위기에 처한 한둑중개(Cottus hangiongensis)의 산란습성 및 초기생활사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Endangered Cottus hangiongensis)

  • 서원일;유동재;변순규;김이청;이성훈;연인호;한경호;임후순;이배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6-53
    • /
    • 2010
  •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tuman river sculpin, Cottus hangiongensis were studied in the laboratory and in the field at Wangpi Stream, Gyeongsangbuk-do,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7. The spawning ground was in the lower Wangpi Stream, which is a shallow region about 40cm or less in depth. During the spawning period, from March to April, mature males made nest cavities under stone 10 which they led a gravid female. The male and female then turned upside down, and spawning and fertilization occurred onto the ceiling of the nest cavity. After spawning, the male chased the female from the nest and mated with several other females. Fertilized eggs were spherical in shape, demersal, adhesive, transparent and yellow in color, measuring 1.86 mm (1.79~1.93 mm) in diameter. A mean of 17(12~22) various-sized oil globules were counted in the yolk. Granular materials formed a mass in the yolk. Fertilized eggs hatched at 256 hrs, 10 minutes after the morula stage under water temperature of $15.0{\sim}18.0^{\circ}C$. Newly hatched larvae 9.34 mm (9.02~9.69 mm. n=10) in total length (TL) had a large yolk At 14 days after hatching, larvae 11.40 mm (11.07~11.72 mm, n=10) in TL transformed to the postlarval stage. At 41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of 18.42 mm (17.31~18.62 mm, n=10) in TL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ttus hangiongensis has the spawning ground in the lower stream and the amphidromous life history which is the different from that of Cottus poecilopus.

어구조사 및 환경 DNA 메타바코딩을 이용한 태화강, 창원천 하구 생태계의 어류 군집 구조 및 종 다양성 평가 (Investigation of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 two river estuary ecosystems, the Taehwa River and Changwon Stream, based on conventional survey and eDNA metabarcoding)

  • 최희규;김유림;황순영;추연수;김평범;이혁제
    • 환경생물
    • /
    • 제41권4호
    • /
    • pp.637-656
    • /
    • 2023
  • 강 하구는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는 생물다양성이 가장 높은 대표 수생태계이다. 환경 DNA (eDNA)를 이용한 수생태계 모니터링은 현장의 환경 시료를 확보하여 시료 내 존재하는 생물로부터 유래된 DNA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기존의 어구를 이용한 현장조사 모니터링에 비해 효율적이고 민감도가 높아 보완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 수계 하구 생태계를 대표하는 내륙 습지 하천인 태화강과 창원천을 대상으로 환경특성, 어류 군집구조와 종 다양성을 파악하였다. 태화강에서는 양측회유성, 소하성 및 강하성 어류인 은어, 황어 및 뱀장어의 서식이 대부분의 조사 시기 동안 확인되어 연안에서부터 중류 및 지류까지 비교적 원활한 서식처 종적 연결성을 나타내는 생태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원천의 경우 특히 바다와 가까운 내륙 습지 하천으로 많은 다양한 해산어류 및 망둑어류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회유성 어종인 은어는 환경 DNA에서만 검출되었고 현장조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어구조사를 통한 종 다양성 평가 결과 태화강이 창원천에 비해 낮은 우점도지수, 높은 풍부도, 균등도, 다양도지수 수치를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양호한 어류 군집 구조 상태를 나타냈다. 어구를 이용한 현장조사와 환경 DNA 메타바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태화강과 창원천 하구 생태계 어류 군집 구조 및 종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어구를 이용한 3회 현장조사 결과 9~19종이 확인되었고 환경 DNA 1회 분석 결과 11~18종으로 환경 DNA 분석이 현장조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의 종 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어구를 이용한 5월 현장조사 결과는 6~11종이 확인된 점을 고려하면 환경 DNA가 종 탐지에서 민감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환경 DNA를 이용한 수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어류 종 탐지의 잠재적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우리나라 고유종 및 유전적으로 가까운 근연종들의 경우 명확한 종 동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현장조사 시 관찰되었으나 환경 DNA에서 검출되지 않은 경우(위음성; false negative)와 현장조사 시 관찰되지 않은 종이 환경 DNA에서 검출(위양성; false positive)되는 자료의 한계점도 존재하였다. 향후 국내 고유종의 local DB 확보, 환경 DNA 조사 표준화 방법 구축, 국내 담수어류 대상 분자마커 개발 등이 확립된다면 수생태계 모니터링에 아주 효율적이며 실용적인 조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