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gal control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초

금강하구 갯벌내 질소화합물질의 연직적인 플럭스 평가 (Estimation of verticle fluxes of nitrogen compounds in tidal flats of the Keum river estuary)

  • 김도희;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10
    • /
    • 2000
  • 1999년 4월, 8월과 11월에 금강 하구역 갯벌 세 지점에서 채니된 퇴적물 표층 5 cm을 입도 조성 분석한 결과 모래와 자갈 성분이 1.18 %, 모래 성분이 29.34 %, 점토 성분이 69.49 %였다. 퇴적물의 IL은 6.7 %, ORP는 -12 mV으로 약간의 환원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퇴적물 중 H₂S 농도는 평균 0.25 mg/gㆍdry으로 측정되었다 금강 하구 갯벌 퇴적물에서의 탈질산화는 4월에 0.186 m mole N₂/m²ㆍday, 8월에 0.192 m mole N₂/m²ㆍday, 11월에 91.3 m mol N₂/m²ㆍday으로 3회 평균 30.6 m mole N²/m²ㆍday였다. 퇴적물과 수층간의 NH₄/sup +/-N의 플럭스는 4월에 -0.37 m mole N/m²ㆍday, 8월에 34.0 m mole N/m²ㆍday, 11월에 0.10 m mole N/m²ㆍday으로 평가되어 평균적으로 11.2 m mole N/m²ㆍday였다. 한편, 퇴적물과 수층간의 NO²/sup -/-N+ NO₃/sup -/-N의 플럭스는 4월에 0.314 m mole N/m²ㆍday, 8월에 0.524 m mole N/m²ㆍday, 11월에 -4.12 m mole N/m²ㆍday으로 측정되어 평균 -1.09 m mole N/m²ㆍday으로 측정되어졌다. 암모니아질소와 아질산질소 및 질산질소의 플럭스로부터 계산한 용존무기질소 (DIN)의 플럭스는 10.2 m mole N/m²ㆍday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금강하구역 갯벌에서의 용존성무기질소의 플럭스와 탈질산화는 이 해역의 질소수지와 1차 생산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Ichthyotoxic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s offshore in the South Sea, Korea in 2014: III. Metazooplankton and their grazing impacts on red-tide organisms and heterotrophic protists

  • Lee, Moo Joon;Jeong, Hae Jin;Kim, Jae Seong;Jang, Keon Kang;Kang, Nam Seon;Jang, Se Hyeon;Lee, Hak Bin;Lee, Sang Beom;Kim, Hyung Seop;Choi, Choong Hyeon
    • ALGAE
    • /
    • 제32권4호
    • /
    • pp.285-308
    • /
    • 2017
  •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s have caused great economic losses in the aquaculture industry in many countrie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metazooplankton in red tide dynamics of C. polykrikoides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abundance of metazooplankton was measured at 60 stations over 1- or 2-week intervals from May to November 2014. In addition, the grazing impacts of dominant metazooplankton on red tide species and their potential heterotrophic protistan grazers were estimated by combining field data on the abundance of red tide species, heterotrophic protist grazers, and dominant metazooplankton with data obtained from the literature concerning ingestion rates of the grazers on red tide species and heterotrophic protists. The mean abundance of total metazooplankton at each sampling time during the study was 297-1,119 individuals $m^{-3}$. The abundance of total metazooplankton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at of phototrophic dinoflagellates (p < 0.01),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he abundance of diatoms, euglenophytes, cryptophytes,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tintinnid ciliates, and naked ciliates (p > 0.1). Thus, dinoflagellate red tides may support high abundance of total metazooplankton. Copepods dominated metazooplankton assemblages at all sampling times except from Jul 11 to Aug 6 when cladocerans and hydrozoans dominated. The calculated maximum grazing coefficients attributable to calanoid copepods on C. polykrikoides and Prorocentrum spp. were 0.018 and $0.029d^{-1}$, respectively. Therefore, calanoid copepods may not control populations of C. polykrikoides or Prorocentrum spp. Furthermore, the maximum grazing coefficients attributable to calanoid copepods on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spp. and Gyrodinium spp., which were grazers on C. polykrikoides and Prorocentrum spp., respectively, were 0.008 and $0.047d^{-1}$, respectively. Therefore, calanoid copepods may not reduce grazing impact by thes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grazers on populations of the red tide dinoflagellates.

동물플랑크톤 배양여과액에 의한 Microcystis aeruginosa의 성장,형태 및 microcystin 생성량의 변화 (Changes of Growth, Morphology and Microcystin Production in Microcystis aeruginosa in Response to Zooplankton Culture Media Filtrate)

  • 하경;장민호;정종문;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36권1호통권102호
    • /
    • pp.1-8
    • /
    • 2003
  • 동물플랑크톤 배양여과액 내의 분비물질 (info-chemi-cals)에 의해 유도되는 Microcystis aeruginosa의 성장, 군체형성과 독소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성체까지 자란 동물플랑크톤 Daphnia magna Straus와 Moina macrocopa Straus의 배양 여과액 (ZCMF)을 비교적 낮은 독소를 생성하는 M. aeruginosa배지에 첨가해준 후, ZCMF의 농도에 따른 성장시기별 세포밀도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지수성장기 (7일 이후)부터, ZCMF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세포밀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20% ZCMF를 M. aeruginosa배지에 첨가해준 후, 군체형성 변화 및 microcystin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동물플랑크톤 처리군에서 2${\sim}$4일 째까지 군체당 세포수 및 평균 입자체적의 증가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 현상은 Moina 처리군보다는 Daphnia-처리군에서 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Microcystin 생성량의 경우 동물플랑크톤 처리군에서 4일째 최고값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Daphnia 처리군에서는 4일째최고 $70.5{\pm}16.8\;{\mu}g/g$-dry cell까지 검출되었다. M. aeruginosa의 성장형의 변화, 군체형성과 microcystin 생성현상은 동물플랑크톤의 분비 화학물질을 매개로 한 M. aeruginosa의 방어수단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기작은 수생 생태계 내에서 피${\cdot}$포식자간의 상호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한 현상으로 생각된다.

부유형 해양 광생물반응기의 선택적 투과막의 술폰화 반응을 통한 Biofouling 억제 및 미세조류 생산성 향상 (Improving Microalgal Biomass Productivity and Preventing Biofouling in Floating Marine Photobioreactors via Sulfonation of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s)

  • 김광민;이윤우;김지훈;박한울;정인재;박재훈;임상민;이철균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2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hibit biofouling on a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 (SPM) and increase biomass productivity in marine photobioreactors (PBRs) for microalgal cultivation by chemical treatment. Surfaces of a SPM, compos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as sulfonated to decrease hydrophobicity through attaching negatively charged sulfonic groups. Reaction time of sulfonation was varied from 0 min to 60 min. As the reaction time increased, the water contact angle value of SPM surface was decreased from $75.5^{\circ}$ to $44.5^{\circ}$, indicating decrease of surface hydrophobicity. Furthermore, the water permeability of sulfonated SPM was increased from $5.42mL/m^2/s$ to $10.58mL/m^2/s$, which reflects higher nutrients transfer rates through the membranes, due to decreased hydrophobicity. When cultivating Tetraselmis sp. using 100-mL floating PBRs with sulfonated SPMs, biomass productivity was improved by 34%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non-reacted SPMs). In addi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SPMs used for cultivation clearly revealed lower degree of cell attachment on the sulfonated SP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lfornation of a PET SPM could improve microalgal biomass productivity by increasing nutrients transfer rates and inhibiting biofouling by algal cells.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에 대한 국내 참나무들의 살조 효과 (Algicidal Effects of Korean Oak Trees against the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 박명환;김백호;한명수;안치용;윤병대;오희목
    • 생태와환경
    • /
    • 제38권4호통권114호
    • /
    • pp.475-481
    • /
    • 2005
  • 본 연구는 새로운 환경친화적 살조제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담수에서 조류 대발생 원인종 Microcystis aeruginosa.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9가지 참나무 잎과 줄기로부터 추출한 물질의 조류생장 억제능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 농도 100 mg $L^{-1}$ 첨가시, 5가지 참나무 추출물 (QAT-L, QAT-S, QAS-L, QGI-S 및 QSA-L)은 M. aeruginosa의 7일 후 세포수를 90% 이상 감소시켰다. 20 mg $L^{-1}$의 경우에는 상기의 5가지 참나무 추출물에서 M. aeruginosa의 세포수가 약 50% 정도 감소하였다. M. aeruginosa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참나무 추출물의 최소 농도는 20 mg $L^{-1}$로 조사되었다. 참나무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tannic acid는 17 mg $L^{-1}$의 농도에서 M. aeruginosa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참나무 추출물은 부영양 수계에서 조류 대발생 원인종 M. aeruginosa를 제어하는 환경친화적 살조제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중분광 및 다중시기 영상자료 통합을 통한 토지피복분류 갱신 (Updating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Integration of Multi-Spectral and Temporal Remotely Sensed Data)

  • 장동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86-803
    • /
    • 2004
  • 최근, 다중 센서 영상과 GIS 주제도 정보를 이용한 토지 피복 분류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분류에 필요한 효과적인 GIS 정보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대우도법(MLE) 같은 전통적인 방법은 기존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GTS 자료를 제대로 다룰 수 없다는 이유로 유용한 정보의 이용에 제한을 받아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파장대 및 다중 시기 영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영상 분류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MLE기법을 확대하여 다중 스펙트럼 영상 자료 및 토지 피복 분류 자료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파라미터가 데이터에서 추정되는 경우 우도비(LRE) 추정법이 오히려 더 적합할 수 있어서 LRE기법도 함께 사용하였다. 연구 지역은 서해안 안면도 지역이며, 자료는 Landsat ETM+ 영상과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만든 토지 피복도이다. 연구 결과. 제안된 방법은 단일 스펙트럼 자료를 사용하는 것보다 현저히 개선된 분류 정확도를 나타낸다. 즉, 개선된 분류 영상들은. MLE를 사용했을 때는 $6.2\%$, LRE를 사용했을 때는 $9.2\%$의 분류 정확도 개선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제시된 알고리즘이 토지 피복 변화에 따른 그 지역의 변화 지역 추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토지피복 분류 결과는 실 세계에서 보다 정확한 의사결정을 위한 보완적인 자료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된다.

인공습지에서 영양소 제거 설계모델 검토 및 질소제거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Evaluation of various nutrients removal models by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stormwater wetlands and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the nitrogen removal)

  • 박기수;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0-1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과거 2년에 걸쳐 강우유출수 처리목적의 인공습지로부터 수집된 수질자료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국외에서 개발된 다양한 형태의 영양소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검토결과 질소제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온과 수리학적 부하율(HLR) 이었는데 습지의 수표면적이 습지의 용량에 비해 더 중요하게 작용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질소제거는 미국 WEF(water environment federation)가 개발한 준경험적인 형태의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인 제거 모델은 수온과 제거속도상수의 관계를 Power Model로 보고 모의했을 때 실측치와 가장 가깝게 계산치를 산출할 수 있었으며 실측치의 증가와 감소경향을 비교적 정확하게 모의할 수 있었다($R^2=0.79$). 그러나 모든 시도에서 수온이 특정온도 이하로 감소했을 때 가장 심한 오차를 발생하여 취약한 예측성능을 보였다. 한편 인공습지에서 질소제거특성을 검토한 결과 질산화에 비하여 탈질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탄소원의 부족과 높은 용존산소 농도로 인하여 Anoxic 조건의 미형성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질소제거 향상방안으로 용존산소의 제어와 탄소원의 확보차원에서 햇빛에 노출된 개방수역과 햇빛에 노출된 식생구역, 그리고 습지의 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구성요소의 배분 및 부유 수생식물 및 무기성 여재를 이용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인공식물섬에 의한 조류(Algae)및 영양염류의 제거 (Algae and Nutrient Removal by Vegetated Artificial Floating Island)

  • 박선구;조인기;권오병;문정수;엄한용;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93-98
    • /
    • 2008
  • 인공식물섬의 BOD, SS, T-N, T-P제거효율과 조류의 성장억제 능력을 분석하였으며 조류제어효과에 있어서 미생물보유활성화, 식물의 흡수효과에 대한 각각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해 구성요소별 장치를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구성요소별 장치는 (1) Blank Test, (2) 인공식물섬(VAFI) $0.25m^2$, (3) 식물을 식재 하지 않은 인공식물섬(AFI) $0.25m^2$, (4) 인공식물섬을 수면위로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재 $0.25m^2$, (5) Media (부력재 $0.25m^2$에 50cm 길이로 Media를 4줄 부착)이다. BOD제거는 VAFI, AFI, 부력재, Media에서 각각 82.7, 80.8, 45.2, 59.6%로 나타났다. T-N제거는 VAFI, AFI, Media에서 각각 51.2, 31.7, 25.1%로 나타났다. T-P제거는 VAFI, AFI, 부력재, Media에서 각각 23.3, 16.7, 10.0, 13.3%로 나타났다. 엽록소-${alpha}$는 VAFI에서 97.9%가 제거되었다. VAFI의 구성 요소별 제거율은 차광효과 35.1%,미생물의 복합작용에 의한 효과 61%, 식물과 뿌리에 의한 효과 1.8%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식어 붕어의 섭식활동에 퇴적물 및 독성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의 영향 (Effects of Sediment and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on the Feeding Behavior of Omnivores Gold Fish Carassius auratus)

  • 김백호;김건희;김용재;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212-220
    • /
    • 2010
  • 잡식성 어류 붕어(Carassius auratus)의 섭식활동에 퇴적물과 독성남조 Microcystis aeruginosa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 및 현장 mesocosm실험을 실시하고 어류에 의한 식물플랑크톤과 수질변화를 각각 조사하였다. 퇴적물 실험은 실내 수조(7 L)에서 남조발생 저수지(일감호, 서울)의 현장수와 퇴적물을 이용하였고, 독성남조 실험은 독성(NIES-298) 및 비독성(NIES-101) 남조 M. aeruginosa를 이용하였다. 현장 mesocosm실험은 남조 발생이 극심하였던 2005년 7월에 저수지 연안에 총 9개 mesocosm를 설치하고 어류를 밀도별 처리한 다음 식물플랑크톤 밀도와 수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씩 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퇴적물이 없는 수조에서는 Chl-a의 감소를 보였으나 퇴적물 수조에서는 오히려 Chl-a의 증가를 보였으며, 독성에 상관없이 뚜렷한 M. aeruginosa 제어능을 나타냈다. 현장 mesocosm 실험에서는 비교적 세포크기가 큰 macrophytoplankton (>$50{\mu}m$)를 선호한 반면 나머지 플랑크톤(<$2{\mu}m,\;2{\sim}20{\mu}m,\;20{\sim}50{\mu}m$)은 오히려 성장을 촉진하였다. 영양염은 조류밀도가 높은 조건에서 어류 도입 이후 암모니아의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잡식성 어류인 붕어는 남조독성에 상관없이 도입초기 일시적으로 조류제어능을 보이지만 퇴적물 교란 및 영양염 배출로 인하여 현장 조건보다 퇴적물이 적은 정수장이나 생물관리가 가능한 조건에서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laying hens with α-linolen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resources on egg quality and n-3 fatty acid profile

  • Zhang, Pingping;Tang, Chuanqiu;Ding, Zongqing;Huang, Hui;Sun,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73-978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laying hens with alpha-linolenic acid (ALA) resources (flax, perilla, and Eucommia ulmoides [E. ulmoides] seeds) and ei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EPA/DHA) resources (Schizochytrium sp.) on egg quality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profile. Methods: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i) diet C (control diet); ii) diet F (diet C+10% flaxseeds); iii) diet P, (diet C+10% perilla seeds); iv) diet E (diet C+10% E. ulmoides seeds); v) diet A (diet C+1.5% microalage); vi) diet AF (diet C+10% flaxseeds+1.5% microalage); vii) diet AP (diet C+10% perilla seeds+1.5% microalgae); viii) diet AE (diet C+10% E. ulmoides seeds+ 1.5% microalage). Results: Egg weight, yolk weight and production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ither algae or in combination with seed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A and DHA concentration in eggs between flaxseed, perila, and E. ulmodies seeds supplementation alone (p>0.05). N-3 PUFA in eggs was slightly improved by microalgae supplementation. The best supplementation, a combination of microalgae and perilla seeds, elevated (p<0.05) ALA from 19.7 to 202.5 mg/egg and EPA+DHA from 27.5 to 159.7 mg/egg. Highest n-3 PUFA enrichment (379.6 mg/yolk) was observed with supplementation of a combination of perilla seed and microalgae (362.2 mg/yolk), followed by a combination of flaxseed and microalgae (348.4 mg/yolk). The ALA, EPA, and DHA content obtained with a combination of microalgae and seeds surpassed the total sum of that obtained with microalgae or ALA-seeds alone. Conclusion: It is feasible to enrich eggs with n-3 PUFAs by perilla or E. ulmodies seeds instead of flaxseeds.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microalgae and seeds helped improve the transfer from EPA and docosapentaenoic acid into D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