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 content

검색결과 1,203건 처리시간 0.037초

Cetyl alcohol 함량에 따른 크림 제형 Henna 천연 염모제의 안정성 (Stability of Henna Natural Hair Dye Cream Formulation According to Cetyl Alcohol Contents)

  • 강이영;이승희;김운중;정종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76-118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화안정제 중 하나인 cetyl alcohol 함량에 따른 천연 염모제 헤나의 유화 안정성을 분석하고 가장 안정한 유화를 나타내는 cetyl alcohol 함량을 확인하였다. 유화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cetyl alcohol의 함량에 따른 입자 크기, 입자 형태, 점도 및 염색 후 색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zeta 분석 결과, cetyl alcohol 3 % 가 zeta potential 값이 115.9 mV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입자크기분포는 cetyl alcohol의 함량이 3 %인 크림 제형 염모제가 증류수에 분산된 헤나와 비교해 입도분포의 폭이 좁았다. 점도계 분석 결과 cetyl alcohol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였고, 크림 제형의 헤나 pH 측정 결과 두피에 적합한 pH 범위로 측정되었다. 또한 헤나 크림 제형 염모제에서는 cetyl alcohol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화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산도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acidity vinegar prepared with grape juice)

  • 우승미;여수환;권중호;김선화;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0-10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산도 식초 생산 기술을 대체하고자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적정산도 10% 이상의 식초 제조조건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고산도 초산발효에서는 초기 알코올 함량 6%에서 적정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초기 알코올 함량이 높을수록 유도기가 길어져 초산수율이 감소하였다. pH는 구간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당도는 1단계 초산발효(1st AAF)까지 초기 알코올 함량에 비례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2단계 초산발효(2nd AAF)기간 동안에는 초기 알코올 6% 첨가구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고산도 포도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tartaric, malic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유가식 첨가량 및 초산 발효수율 차이로 인하여 초기 알코올 함량이 낮을수록 높게 검출되었다. 미량 알코올 중 ethyl alcohol을 제외한 성분은 극소량으로 검출되어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ethyl alcohol은 364~581 pp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포도 알코올 발효액(초기 알코올 함량 6%)를 이용하여 일체의 영양원을 첨가하지 않고 총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초산수율 향상 및 유가식 첨가에 의한 발효기간 단축에 관한 보완 연구가 요구되었다.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of Citrus Fruit Hydrolysates)

  • 장세영;우승미;박찬우;최인욱;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236-12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향상된 감귤 과실주를 개발하기 위해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과(A)와 과피를 제거한 과육(B)의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 함량은 B 10.83%로 A 10.13%보다 조금 더 높았으며, 당함량은 A $12.98^{\circ}Brix$로 B $11.38^{\circ}Brix$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알코올발효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Hesperidin 함량은 전과와 과피 제거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으나, narirutin 함량은 A가 $281.31\;{\mu}M$로 B $199.05\;{\mu}M$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전과와 과피 제거 조건에서 전과로 설정하였다. 효모 종류에 따른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한 결과, S. bayanus EC-1118에서 알코올 함량 12.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기산도 0.2%일 때 알코올 함량은 12.40%로 가장 높았으며, 초기산도 0.2% 이상에서는 알코올 함량은 조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기당도 $22^{\circ}Brix$에서 알코올 함량은 11.65%, $24^{\circ}Brix$에서는 12.85%로 가장 높게 나타나 초기당도를 $24^{\circ}Brix$로 설정하였다.

대한민국 대표 전통주 탁주의 알코올 도수 분석 (Alcohol content analysis for Takju,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liquor in Korea)

  • 오창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631-636
    • /
    • 2022
  • 막걸리라고도 불리우는 전통 병행복발효주 탁주의 중요한 규격인 알코올분은 풍미와 연관이 깊은 요인이다. 알코올분 분석은 증류과정과 주정계 측정으로 구성된 부칭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C법을 개선하여 신뢰성을 검증한 후 시중 유통 탁주 14종의 알코올분을 부칭법과 개선된 GC법으로 분석하였다. GC법의 정밀성 및정확성은 만족스러운 수준이었으며, 정량한계 및 정성한계는 0.5도 및 0.1도로 확인되었다. 표시도수 ±1을 초과한 비살균 탁주 3종 중 표시도수 6.0도를 초과하는 9.9도 (GC법) 및 10.1도 (부칭법)로 측정된 1종을 제외한 나머지는 -1.1도를 초과하였으나, 분석법의 에러범위에 해당되는 수준이었다. 14종 탁주의 알코올분 평균 정밀도 (%RSD)는 부칭법 36.2%에 비하여 GC법이 12.8%로 우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선된 GC법은 넓은 범위의 탁주 중 알코올분 규격 관리 및 개선에 효율적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Extract With Alcohol Extraction

  • Shin, Kwang-Soon;Oh, Sung-Hoon;Kim, Tae-Young;Yoon, Brian;Park, Sung-Sun;Suh, Hyung-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212-218
    • /
    • 2008
  • We extracted red ginseng with various alcohol concentrations and evaluated total carbohydrate, uronic acid, polyphenols compounds and ginsenoside contents, and yields of alcohol extract. The water extraction (0% alcohol extraction) showed a high level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 10% and 20% alcohol extraction showed the highest uronic acid contents (7,978.8 and $7,872.7\;{\mu}g/mL$ of extract, respectively). The efficiency order of the red ginseng extract (RGE) preparations in liberating polyphenols was: $0{\sim}50%$ alcohol${\geq}\;60%$ alcohol> $70{\sim}90%$ alcohol. Solid contents in RGE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alcohol concentration; the same tendency as with the results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 Total ginsenoside contents in $20{\sim}50%$ alcohol extracts showed similar levels ($442,962.9{\sim}47,930.8\;{\mu}g/mL$ of extract). Water extraction showed the lowest ginsenoside content ($14,509.4\;{\mu}g/mL$ of extract). The ginsenoside contents at above 60% alcohol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alcohol concentration. Generally, ginsenoside (Rg2, Rg1, Rf, Re, Rd, Rb2, Rc and Rb1)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alcohol concentrations. However, Rg3 content was decreased with increases in alcohol concentration.

알코올 소비와 음주교통사고 (Alcohol Consumption and Alcohol-involved Traffic Accident)

  • 이원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9-94
    • /
    • 1997
  • Recently, occurrence of alcohol-involved traffic accidents is increasing while all the accidents by violation of law except drunk driving. Traffic accidents by drunk driving has a great external cost. In detecting drunk driving, blood alcohol content Many studies reported close correlation between blood alcohol content and traffic accidents by drunk driving. The risk of traffic accidnet increases exponentially as blood alcohol content increases. To control traffic accidents by drunk driving, decide target population. Heavy drinkers are few and responsible for a small part of the loss while casual drinkers are many and responsible for a large part of the loss. Casual drinkers need to be included in the targer population for the control of traffic accident by drunk driving. Stragegies to reduce the quantity of alcohol consumed, change the pattern of drink, such as frequency of drinking, raise of perceived risk of accident need to be sought.

  • PDF

Alcohol Fermentation of Opuntia ficus Fruit Juice

  • Lee, Sam-Pin;Lee, Suk-Kyung;Ha, Young-Duc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32-36
    • /
    • 2000
  • Prickly pear juice(PPJ) extracted from prickly pear fruit (Opuntia ficus-indica)was used as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alcoholic beverages. Prickly pear juice (PPJ) had 0.88 oBrix of soluble solid, pH 3.96 and 0.14% of total acidity. Alcohol fermentation of 25% PPJ including 22 oBrix of sugar and 1$\times$106 of inoculum was suitable for alcohol fermentation indicating the rapid decrease of sugar content. The 22 oBrix of sugar in PPJ (25%)GJ (50%) mixture was changed to 6.5 oBrix after fermentation at 3$0^{\circ}C$ for 7 days. The alcohol content was 9.2% (w/v). PPJ (70%)/GJ (30%) mixture produced alcoholic beverage with 6.9% alcohol content resulting in the gradual decrease of soluble for 7 days. On the other hand, PPJ (50%)/GJ(50%) mixture carried out completely the alcohol fermentation at 22$^{\circ}C$ for 6 days and enhanced the red color of alcoholic beverages.

  • PDF

현미 품종별 알코올발효액 및 부산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Broth and By-Product of Brown Rice Varieties)

  • 우승미;김태영;여수환;김상범;김진숙;김미현;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7-56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현미 4종의 알코올 발효액 및 부산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비열처리 알코올발효 구간에서 알코올함량은 대안벼(A), 백진주(B) 및 설갱(C)이 각각 9.5, 9.7 및 9.8%로 높게 나타났으며 고아미(D)가 3.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비열처리구간의 유리당 총 함량은 고아미가 244.2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열처리 알코올 발효구간이 전반적으로 당 함량이 높았으며 현미 품종간 차이는 약간 있었다. 비열 및 열처리 알코올 발효 방법에 따른 부산물의 총식이섬유 소 함량은 설갱 > 백진주 > 대안벼 > 고아미 품종순으로 높았다. 고아미의 알코올발효방법에 따른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비열처리 고아미 부산물 > 고아미 분말 > 열처리 고아미 부산물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아미(D)는 비열처리 알코올발효에서 수율은 가장 낮았으나 발효 부산물의 활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아미 발효 부산물에는 전분, 식이 섬유소, 유리아미노산 등 영양성분이 많아 다양한 식품재로 활용이 기대되었다.

콩나물의 Asparagine이 숙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sprout Asparagine on Hangover)

  • 정연신;;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7권
    • /
    • pp.53-58
    • /
    • 200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asparagine content in soybean sprout soup as well as its effect on the regulation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human body. Asparagine content and alcohol concentration in blood were analyzed using the amino-acid analyzer and alcohol tester, respectively. Asparagine content in soybean sprout soup was highly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prout soups sampled from different restaurants, although the boiling time and amount of sprout used were different among the samples. Significantly higher asparagine content was observed in soups with higher amounts of sprouts (2.81% in 500 grams of sprout) and 10 minutes after boiling with other solid ingredients in the soup. Lower concentration of alcohol in blood was recorded in persons with higher body weight. The asparagine+soybean extract (eaten immediately after drink) lowered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significantly followed by only asparagine and control.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fter drinking become zero earlier (by 30 minutes), when asparagine+soybean extract or only asparagine was consumed as compared to control.

  • PDF

효모 종류에 따른 참외의 알코올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in Oriental Melon by Different Yeast)

  • 조용준;박찬우;장세영;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79-7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참외를 이용한 알코올 발효과정에서 효모에 따른 발효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 총산도 및 당도는 효모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발효과정에서 pH는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당도는 발효 3일째부터 급격하게 감소하여 발효 후 약 7 $^{\circ}Brix$로 감소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모든 구간에서 lactic 및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주요 유기산으로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발효 9일째는 대부분 검출되지 않았다. 알코올함량은 (C) S. cerevisiae RC-212에서 14.20%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구간에서도 12%이상의 알코올이 생성되어 효모 종류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알코올 성분에서 acetaldehyde의 함량은 (E) S. cerevisiae K1-V1116에서 가장 높았으며 methanol함량은 (C) S. cerevisiae RC-212와 (D) S. bayanus EC-1118에서 비교적 높았다. Fusel oil류인 n-propanol, 2-methyl-1-propanol 및 isoamyl alcohol은 발효 3일째부터 대부분 생성되어 점차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참외 알코올 발효에서 효모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