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lycone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2초

쥐눈이콩-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Fermented Small Black Soybean (Rhynchosia volubilis) with a Solid State Culture of the Bearded Tooth Mushroom (Hericium erinaceum) Mycelia)

  • 김훈;신지영;이아름;황종현;유광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48-1358
    • /
    • 2017
  • To enhanc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Rhynchosia volubilis (RV), R. volubilis (RVHE-A) and R. volubilis-added herbal powder (RVHE-B) were fermented with a solid state culture of Hericium erinaceum mycelia (HE). The total isoflavone contents of the non-fermented RV-A ($489.9{\mu}g/g$) and RV-B ($571.1{\mu}g/g$)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fermented RVHE-A ($1,836.4{\mu}g/g$) and RVHE-B ($1,276.7{\mu}g/g$). In particular, aglycone isoflavones such as daidzein and genis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VHE-A than any other sample. When hot-water (HW) and EtOH extracts (E) were fractionated from the RV and RVHE, both extracts from the RVHE-A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RV-A i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However, the RVHE-B-HW showed a lower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level than did RV-B-HW. RVHE-A-HW and -E also had more poten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ny extract from the non-fermented RV and other ferments (RVHE-B). In the meanwhile, RVHE-A-HW potently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macrophage activation-related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6 and IL-12 ($841.7{\pm}71.3pg/mL$, $3.9{\pm}0.1ng/mL$, $179.3{\pm}30.2pg/mL$) from peritoneal macrophage more than RV-A-HW ($92.5{\pm}1.5pg/mL$, $0.1{\pm}0.0ng/mL$, $37.4{\pm}5.4pg/mL$) as well as RVHE-B-HW ($557.0{\pm}21.3pg/mL$, $1.8{\pm}0.0ng/mL$, $90.0{\pm}10.0pg/mL$). However, all the EtOH extracts did not show significant activity. In addition, the RVHE-A-HW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through Peyer's patch and GM-CSF production than did any other extract from RV and RVHE-B.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rmented R. volubilis with H. erinaceum mycelia possesses a possible use as an industrial application as functional food or material.

Daidzein과 Genistein의 급여가 어린 병아리의 골격발달에 미치는 영향

  • 김기대;지규만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33-135
    • /
    • 2002
  • DE와 GE의 급여가 어린 병아리의 골격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일령된 Hy-Line Brown 수평아리 4처리$\times$4반복$\times$5수/반복 100마리에게 3주간 대조군으로 IF 함량이 매우 낮은 SPC를 급여했다. 실험군은 DE와 GE를 1. 0, 2.0mM 두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였다. 이때 사료의 Ca 수준은 골격발달에 좀더 민감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도록 요구량의 50% 수준으로 했으며, Phosphate는 정상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은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ALP activity는 GE군과 대조군에 비해 DE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첨가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경골의 회분 %는 대조군에 비해 DE, GE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두 IF간 및 첨가수준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경골의 파괴강도는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즉 DE의 급여가 GE에 비해 ALP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지만, 경골의 회분 %와 경골 파괴강도에 있어서는 DE와 GE군 간에 급여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두 단백질 및 배아를 이용한 Bifidobacterium lactis BL740의 균체성장 및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생산를 위한 통계적 배지 최적화 (Statistical optimization of culture media contained soy proteins and hypocotyl for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lactis BL 740 and production of soy isoflavone aglycones)

  • 이충영;이윤복;이근하;박명수;황석연;홍승복;유영춘;유병연;김정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26-131
    • /
    • 2010
  • 대두가공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인 대두배아 및 대두 단백질을 이용하여 Bifidobacterium lactis BL740의 생균수 및 대두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생산 최대화를 위한 배지최적화를 수행하였고 이를 위하여 통계적 방법인 fractional factorial design (FFD) 및 central composite design(CCD)를 이용, 대두 유래 성분들이 포함된 배지 (S-medium)의 최적 조성물을 확언하였다. FFD의 경우 glucose, cellobiose, fructooligosaccharidde, soy peptone, soy protein, 대두배아를 이용 총 6가지 요소를 2수준에서 적용하였으며 이 중 soy protein, soy peptone 그리고 대두 배아가 B. lactis BL740의 균성장 혹은 대두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에 중요 인자로 확인이 되었다. FFD에서 확인된 3가지 인자를 CCD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균성장의 경우 최적의 배지조성함량이 soy peptone 29.55 g/L, soy protein 12.73 g/L, 대두 배아 130.67 g/L로 확인되었으며 비배당체 전환의 경우 soy peptone 1.25 g/L, soy protein 2.06 g/L, 대두 배아 60.02 g/L로 최적화 되었다.

감초 중 리퀴리티게닌 분석법 개발 및 함량분석 (Analysis of Liquiritigenin, an Aglycone of Liquiritin in Licoric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이종화;제금련;김도훈;박주영;심영훈;김종환;임숙;신진선;김인선;김지연;성상현;장승엽;김동섭;성락선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9-314
    • /
    • 2009
  • Licorice(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is recorded as the root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or Glycyrrhiza glabra Linne or Glycyrrhiza inflata Bat.(Leguminosae) in Korean Pharmacopoeia $9^{th}$ edition (KP9) and Chinese Pharmacopoeia 2005(CP2005),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or Glycyrrhiza glabra Linne in Japanese Pharmacopoeia 2005(JP2005). It is established the content standard of Glycyrrhizin 2.5 % and liquiritin 1% in KP9 and CP2005. But, according to the reports, all Licorice species were not sufficient for content standard of liquiritin 1.0% for licorice in KP9 and CP2005. It shows different content of liquiritin among G. uralensis, G. glabra and G. inflata. Also, it was reported liquiritin, liquiritin apioside are transformed into liquiritigenin by human internal flora. Therefore, we have studied for the pre-treatment condition and analytical method of liquiritigenin; It was good efficinet in 2M HCl reflux(1 hr) for hydrolysis and in methylene chloride for solvent fractionation. And 1% acetic acid in DW(A) and acetonitrile(B) with gradient condition as a mobile phase was most effective in HPLC analytical condition. According to these experimental methods, we have anlayzed content of liquiritigenin about 77 Licorice sample. In this research, it was also examined the content of liquiritin and liquiritigenin for Glycyrrhizae Radix related growing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content standard of glycyrrhizin more than 2.5%, liquiritigenin more than 0.7%(after hydrolysis) of licorice.

Candida fermentati SI의 exo-β-(1,3)-glucanase유전자의 클로닝 및 그 특성 (Molecular Cloning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Extracellular Exo-β-(1,3)-Glucanase from Candida fermentati SI)

  • 임유미;김봉기;김상준;소재현;김원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17-32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 fermentati SI가 생산하는 isoflavone 배당체 가수분해 효소를 클로닝하여 염기 서열을 밝힌 뒤 P. pastoris X-33에 형질전환하여 재조합 효소의 과발현을 시켰고, 또한 재조합 isoflavone 가수분해 효소의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조합 isoflavone 가수분해 효소의 분자량은 약 50.4 kDa이었으며, Meyerozyma guilliermondii ATCC 6260의 exo-1,3-β-glucanase와 96%로 가장 높은 homology를 나타내었다. exo-1,3-β-glucanase의 ORF는 pPICZA 벡터로 클로닝 후 P. pastoris X-33으로 형질전환을 하였으며, His6-tag을 이용하여 효소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는 citrate phosphate buffer pH 4.5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효소의 최적 활성 온도는 40℃로 나타났다. 40℃이상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급격하게 감소함을 확인 하였으며, pH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비교적 넓은 범위인 4−8 사이에서 80%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재조합 효소의 과발현을 통해 isoflavone aglycone의 효율적인 생산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ew Dioscin-Glycosidase Hydrolyzing Multi-Glycosides of Dioscin from Absidia Strain

  • Fu, Yao Yao;Yu, Hong Shan;Tang, Si Hui;Hu, Xiang Chun;Wang, Yuan Hao;Liu, Bing;Yu, Chen Xu;Jin, Feng Xi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6호
    • /
    • pp.1011-1017
    • /
    • 2010
  • A novel dioscin-glycosidase that specifically hydrolyzes multi-glycosides, such as 3-O-${\alpha}$-L-($1{\to}4$)-rhamnoside, 3-O-${\alpha}$-L-($1{\to}2$)-rhamnoside, 3-O-${\alpha}$-L-($1{\to}4$)-arabinoside, and ${\beta}$-D-glucoside, on diosgenin was isolated from the Absidia sp.d38 strain, purified, and characterized. The molecular mass of the new dioscin-glycosidase is about 55 kDa based on SDS-PAGE. The dioscin-glycosidase gradually hydrolyzes either 3-O-${\alpha}$-L-($1{\to}4$)-Rha or 3-O-${\alpha}$-L-($1{\to}2$)-Rha from dioscin into 3-O-${\alpha}$-L-Rha-${\beta}$-D-Glc-diosgenin, further rapidly hydrolyzes the other ${\alpha}$-L-Rha from 3-O-${\alpha}$-L-Rha-${\beta}$-D-Glc-diosgenin into the main intermediate products of 3-O-${\beta}$-D-Glc-diosgenin, and subsequently hydrolyzes these intermediate products into aglycone as the final product. The enzyme also gradually hydrolyzes 3-O-${\alpha}$-L-($1{\to}4$)-arabinoside, 3-O-${\alpha}$-L-($1{\to}2$)-rhamnoside, and ${\beta}$-D-glucoside from [3-O-${\alpha}$-L-($1{\to}4$)-Ara, 3-O-${\alpha}$-L-($1{\to}4$)-Rha]-${\beta}$-D-Glc-diosgenin into diosgenin as the final product, exhibiting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reviously reported glycosidases. The optimal temperature and pH for the new dioscin-glycosidase is $40^{\circ}C$ and 5.0, respectively. Whereas the activity of the new dioscin-glycosidase was not affected by $Na^+$, $K^+$, and $Mg^{2+}$ ions, it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Cu^{2+}$ and $Hg^{2+}$ ions, and slightly affected by $Ca^{2+}$ ions.

담수토양(湛水土壤)에 표면처리(表面處理)한 C-14표식(標識) carbofuran의 수도체(水稻體) 및 토양(土壤)에서의 거취(去就) (Fate of C-14 Iabelled carbofuran in paddy plants and soil)

  • 박창규;오세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5-94
    • /
    • 1986
  • 수도체(水稻體)와 토양(土壤)에서 carbofuran의 거취(去就)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C-14 표식(標識) carbofuran을 수도유묘(水稻幼苗)에 담수처리(湛水處理)하고 방사능(放射能)의 분포(分布), 수도체내(水稻體內)에서의 대사(代謝), 토양(土壤)에서의 화학적 전환(化學的 轉換)을 경시적(經時的)으로 조사(調査)하였다. 토양(土壤)에 처리(處理)한 C-14 표식(標識) carbofuran은 쉽게 경근흡수(經根吸收)되어 줄기로 이동(移動), 잎의 첨단부위(尖端部位)에 축적(蓄積)되었으며, 수도체(水稻體)의 근부(根部)에 비해 더 많은 양(量)의 방사능(放射能)이 줄기에 분배(分配)되었다. 수도(水稻) 줄기와 뿌리에서 aqueous phase extracts와 non-extractable fraction의 방사능(放射能)이 경제적(經時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것은 phase I 및 phase II 반응(反應)이 진행(進行)하는 것으로 해석(解釋)하였다. 수도체(水稻體)와 토양(土壤)의 organic phase extracts에는 현재(現在)까지 알려진 carbofuran과 이의 5종(種) 대사물(代謝物)이 모두 관찰(觀察)되었으며 3-hydroxycarbofuran이 주요(主要) 대사물(代謝物)로 확인(確認)되었다. aqueous phase extracts는 HCl 또는 cellulase 가수분해(加水分解)로 상기(上記)한 6종(種) 화합물(化合物)이 양적차이(量的 差異)는 있었으나, 모두 aglycone으로 확인(確認)되었으며 7-benzofuranol과 3-hydroxycarbofuran이 많이 분리(分離)되었다. 일반토양(一般土壤)에서는 살균토양(殺菌土壤)에 비해 non-extractable fraction의 방사능(放射能)이 크게 증가(增加)하였고, organic phase extrac 방사능(t放射能)은 감소(減少)하였다.

  • PDF

유산균으로 발효한 침향공진단으로부터 분리한 Nodakenetin의 Neuraminidase 활성 억제 효능 (Neuraminidase-inhibition Activity of Nodakenetin from Gongjin-dan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서지현;박동준;이소영;조호성;진무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03-309
    • /
    • 2020
  • 대표적인 한방 보약 처방인 원방공진단을 재해석한 침향공진단 (당귀, 녹용, 산수유, 및 침향의 혼합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고, 침향공진단 성분 중 발효를 통해 증가하는 성분을 분리, 정제하고 nodakenetin임을 동정하였다. 발효 전 침향공진단(침향공진단 농축액 1% 함유 MRS 배지, unfermented Gongjin-dan, GD) 및 발효후 침향공진단(침향공진단 발효액, fermented Gongjin-dan, FGD)에서의 nodakenetin 함량 분석 결과, 각각 6 ㎍/ml과 70 ㎍/ml으로 발효를 통해 nodakenetin이 약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한편, 고서에 전해지는 공진단의 면역력 강화 효능에 근거하여, GD 및 FGD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능을 확인하고자 Neuraminidase (NA) 활성 평가법(NA activity assay)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GD는 NA 활성을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FGD는 농도의존적으로 NA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500 ㎍/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92%의 억제율을 보였다. 또한, 발효를 통해 증가한 침향공진단의 성분인 nodakenetin과 그 배당체인 nodakenin에 대한 NA 활성 평가 결과, nodakenin은 NA 활성을 거의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nodakenetin은 농도의존적으로 NA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250 ㎍/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68%의 억제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유산균 발효를 통해 침향공진단 내에 미량 존재하던 nodakenetin이 nodakenin의 가수분해로 인해 증가하였으며, NA 활성 억제 성분인 nodakenetin이 증가함으로 인해 FGD도 높은 NA 활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Bacillus sp. SP-KSW3을 이용하여 제조한 간장의 발효 기간에 따른 효소 활성 및 기능성의 변화 (Changes of Enzym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Kanjang(Soy Sauce) during Fermentation in the Using Bacillus sp. SP-KSW3)

  • 김병수;이창호;홍영아;권태형;신미경;김진희;우철주;김영배;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3-299
    • /
    • 2008
  • 청국장 제조시 사용되는 균주인 Bacillus sp. SP-KSW3을 메주 제조시 starter로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를 이용하여 된장을 담근 후 일정기간 숙성시킨 다음 간장을 분리하여 이화학적 성질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Cl의 함량은 대조구보다 실험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미노산도는 실험구보다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다. Amylase활성은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protease의 활성은 실험구가 약2배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의 저해 활성과 ACE 저해 활성은 숙성 기간이 동일한 경우 대조구 보다 실험구가 약 7% 이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돌연변이 활성은 2년간 숙성시킨 경우에 실험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TA100을 사용한 경우 변이원 MNNG와 NPD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각각 35.17%와 28.37%를 나타내었다. 또한,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TA98을 사용한 경우 변이원 NPD와 NQO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각각 25.48%와 21.64%를 나타내었다. 수소 공여능은 2년간 숙성시킨 실험구가 8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장의 isoflavon 중 daidzin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genistin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Aglycone의 일종인 daidzein은 실험구가 각각 3.95 mg/g와 4.62 mg/kg, genistein은 각각 1.25 mg/kg와 3.55 mg/kg으로 나타났다.

작두콩 첨가 청국장의 Isoflavonoids 함량과 항균력 및 생리활성 (Isoflavonoid Contents,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heonggukjang Made from Sword Bean)

  • 김운성;김재영;김성조;문광현;백승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4-181
    • /
    • 2012
  • 본 연구는 영양과 기능성을 보유한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isoflavonoids 함량과 항균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로서 청국장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원료, 증자한 원료 및 이를 발효시킨 청국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Cheonggukjang made from the sword bean: CS)의 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한 항균력은 전통청국장(traditional Cheonggukjang: TC)과 비교하여 에탄올 추출에서는 Bacillus cereus, 물 추출은 Staphylococcus aureus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S의 gram negative bacteria에 대한 항균력은 모든 추출물이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청국장으로 발효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기존의 TC보다 SC가 우수하였다. CS의 isoflavonoids 함량에서 glycoside 형태인 daidzin과 genistin은 증자 과정에서는 감소되었으나 청국장으로 발효시키면 증가되어 가장 높았다. 한편 aglycone 형태인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의 경우도 증자 과정에서 감소경향을 보이나 발효되면서 증가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원료<증자 원료<발효 청국장 순으로 증가하였고, 각각의 추출조건에서 CS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청국장 제조 시 작두콩 첨가는 항균성, 항산화능, 총 flavonoid, isoflavonoids, ACE 저해활성 등의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원료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