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 of face

검색결과 757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성인의 3차원 두형개발을 위한 머리치수 연구 (An Anthropometric Study on the Korean Adult Head for the Development of 3D Craniofacial Shape)

  • 김혜수;김진숙;이경화;박세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3-2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craniofacial shape by 3D scanner for Korean adult head shape by age group. The heads of 836 adults were measured by 3D scanner, and the 25 obtained measurements were analyzed by statifical method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rom the basic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vertex-tagion and the length between the pupils were the longest in the subjects in their twenties, and decreased in elderly groups. 2.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raniofacial proportion, the typical adult Korea head type was short-headed. 3. Statistically noticeabl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ctocanthion- opistcranion by the measurement of the left and the right sides of face in the age groups of the 20s, 30s, 40s, and 50s. 4. The order of factor analysis was as follows: the horizontal length, the perpendicular length and the width from the highest in the age group of the 20s, 30s, 40s, and 50s.

Teaching Breast Cancer Screening via Text Messages as Part of Continuing Education for Working Nurses: A Case-control Study

  • Alipour, Sadaf;Jannat, Forouzandeh;Hosseini, Lad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607-5609
    • /
    • 2014
  • Introduction: Although continu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practicing nurses, it is very difficult to organize traditional classes because of large numbers of nurses and working shifts. Considering the increasing development of mobile electronic learning, we carried out a study to compare effects of the traditional face to face method with mobile learning delivered as text messages by cell phone. Materials and Methods: Sixty female nurses working in our hospital were randomly divided into class and short message service (SMS) groups. Lessons concerning breast cancer screening were prepared as 54 messages and sent in 17 days for the SMS group, while the class group participated in a class held by a university lecturer of breast and cancer surgery. Pre- and post-tests were undertaken for both groups at the same time; a retention test also was performed one month later.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paired T test and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ere used with SPSS software version 16; p<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Mean age and mean work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class and SMS groups was $35.8{\pm}7.2$, $9.8{\pm}6.7$, $35.4{\pm}7.3$, and $11.5{\pm}8.5$,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mean score post-tests (compared with pretests) in both groups (p<0.05). Although a better improvement in scores of retention tests was demonstrated in the SMS group, the mean subtraction value of the post- and pretests as well as retention- and pretes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p=0.3 and p =0.2, respectively). Conclusions: Our study shows that teaching via SMS may probably replace traditional face to face teaching for continuing education in working nurses. Larger studies are suggested to confirm this.

노인의 라이프케어와 웰니스를 위한 자원봉사활동 참여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Participation Factors of Volunteer Activities for Life Care and Wellness of the Elderly)

  • 김희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69-278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사회관계와 정보통신기기 이용능력을 참여요인에 포함하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요인을 분석함으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요인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의 통계자료에서 10,299명 중 65세 이상 10,073명의 자료만을 표본 추출하였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은 빈도분석하였고, 자원봉사활동 관련요인들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참여의 차이는 교차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기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노인 3.9%, 과거에 자원봉사를 한 경험있는 노인은 11.5%였다. 연령, 교육 수준, 경제적 수준, 주관적 건강, 신체기능, 정보통신기기 이용능력, 사회적 네트워크, 대면연락빈도, 비대면 연락빈도에 따라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귀분석에서는 정보통신기기 이용능력, 사회적 네트워크, 대면 연락빈도가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보고되었던 인적자원, 경제적 자원 및 사회적 자원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유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노인의 사회적 관계, 대면연락빈도 및 정보통신 기기 이용 능력에 대한 고려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reconception care knowledge and information delivery modes among adolescent girls and women: a scoping review

  • Wiwit Kurniawati;Yati Afiyanti;Lina Anisa Nasution;Dyah Juliastuti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9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coping revie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delivery modes related to preconception care (PCC) among adolescent girls and women. Methods: A scoping review was performed on studies selected from five electronic databases (Cochrane Library, PubMed, Science Direct, CINAHL/EBSCO, and ProQuest),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22, with predetermined keywords and criteria. We included English-language research articles available in full text and excluded irrelevant articles. Results: This study included eight articles, comprising seven quantitative studies and one qualitative study conducted among adolescent girls and women. Five were from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nd three were from high-income countries. The synthesized themes generated from the data were PCC knowledge and PCC information delivery modes and effectiveness. In general, adolescent girls and women were found to have basic PCC knowledge, including risk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a healthy lifestyle, although more extensive knowledge was found in higher-income countries than in lower-income countries. The delivery modes of PCC information have grown from individual face-to-face conventional methods, which are used predominantly in lower-income countries, to more effective digital mass media. Conclusion: Globally, many women still have insufficient knowledge regarding PCC, as not all of them receive access to PCC information and support. PCC promotion efforts should be initiated earlier by involving a wider group of reproductive-age women and combining individual, in-group, face-to-face, and electronic delivery modes.

비대면 시대 고령자의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증대 연구 -맥도날드 키오스크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crease of kiosk user experience in Non-face-to-face Era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McDonald Kiosk-)

  • 하재현;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85-292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 고령자의 키오스크 사용 경험 증대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서 키오스크와 고령자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참여 관찰법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인천 거주 60대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2021년 4월 4일부터 16일까지 13일간 키오스크 사용 경험이 없는 8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고, 사용 경험이 있는 3명을 추가하여 총 11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실험 결과 고령자의 사용과정 페인 포인트(pain point)로 인터페이스와 심리적인 요인들이 도출되었고, 이를 종합하여 다섯 가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자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과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위한 접수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ception Systems for Non-Face-To-Face Medical Services)

  • 백유진;이효승;오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975-980
    • /
    • 2021
  • 4차 산업혁명의 발전으로 저 전력 근거리 무선통신을 활용한 기술들이 의료정보와 연계 적용되면서 의료정보에 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장비의 사용 연령층이 높아지고 보편화 되면서 모바일 기기와 다양한 사물, 장비 등을 연동하는 등의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각종 전염병을 비롯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이 유행함에 따라 언택트(비대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조치로 사회적 뿐만 아니라 생활 속에서도 거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 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비콘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만들어, 의료정보 시스템의 웹 서버와 통신하여 의료기관 방문 시 보다 쉽게 진료 접수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오프라인 맞춤형 광고 제공을 위한 오픈소스 로봇 플랫폼 (Open-source robot platform providing offline personalized advertisements)

  • 김영기;류건희;황의송;이병호;유정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10
    • /
    • 2020
  • 오프라인 쇼핑몰은 온라인과 비교하여 고객들의 방문 정보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맞춤형 제품 추천 시스템의 수준이 온라인과 비교하면 빈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MS Azure의 Face API를 이용해 오프라인 쇼핑몰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얼굴을 인식하여 얻은 성별과 나이 정보를 이용해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이동형 로봇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로봇은 구동 실험을 통해 프로세스가 정상 동작하는 것을 보였고, 오픈 얼굴 데이터셋(AFAD)을 사용해 API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로봇은 오프라인 쇼핑몰의 방문 고객층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맞춤형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마케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령, 성별 및 상황적 요인이 자율주행 제어권 전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ge, Gender, and Situational Factors on Take-Over Performance in Automated Driving)

  • 박명옥;손준우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0-76
    • /
    • 2022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ge, gender, and situational factors on take-over performance in automated driving. The existing automated driving systems still consider a driver as a fallback-ready user who is receptive to take-over requests. Thus, we ne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situations and human factors on take-over performance. 34 drivers drove on a simulated track, consisting of one baseline and four event scenarios. The data, including the brake reaction tim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lane position, and physiological data, including the heart rate and skin conductance, were collect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age, gender, and situational differences in the takeover performance and mental workload.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older drivers may face risks due to their degraded driving performance, and female drivers may have a negative experience on automated driving.

얼굴 나이 그룹별 피플 카운팅 시스템 (People Counting System by Facial Age Group)

  • 고기남;이용섭;문남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2호
    • /
    • pp.69-75
    • /
    • 2014
  • 기존의 피플 카운팅 시스템(People Counting System)은 주로 오버헤드(Overhead) 시점에 설치된 단일 카메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겹침 및 가림 현상과 일정 크기 이상의 소지품, 급격한 조명 변화와 같은 외부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객체 인식에 장애가 발생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카운팅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단일 시점 피플 카운팅 시스템의 인식 장애 개선 및 외부 환경적 요인들에 보다 강인하게 카운팅할 수 있도록, 오버헤드 및 전면 시점에 두 개의 깊이 카메라를 활용하는 얼굴 나이 그룹별 피플 카운팅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오버헤드 영상 처리, 전면 영상 처리, 동일 객체 판별, 얼굴 나이 그룹 분류, 입퇴장 카운팅의 총 5가지 처리를 통해 얼굴 나이 그룹별 피플 카운팅을 수행한다. 제안 시스템을 C++, OpenCV 및 Kinect SDK를 기반으로 구현하여, 나이 그룹별로 10명씩 총 40명을 대상으로 피플 카운팅 성능과 나이 그룹 분류 성능을 각각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는 피플 카운팅에서 약 98%의 정확도를 나타냈고, 나이 그룹 분류는 약 74.23%의 정확도를 보였다.

개인보건정보기록에 대한 인지도 (Recognition of Personal Health Record)

  • 배세은;김하연;손현석;이현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703-1710
    • /
    • 2011
  • 목적 : 성인병관리 및 개인건강관리를 위해 개인건강기록(PHR)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노인 또는 장년층과 미래 노인, 장년층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기 위해 젊은층(대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방법: 두 연령집단의 면대면 설문조사를 성인(131명)과 대학생(398명)을 2009년 5월 11일부터 22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1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및 결론: 젊은층보다는 성인층에서 PHR을 사용하겠다는 의지(대학생그룹3.3, 성인그룹3.7)와 지인들에게 PHR을 추천하겠다는 의지(대학생그룹3.1, 성인그룹3.8)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성인그룹은 종이형 PHR(63.2%)을 선호하였으며 대학생그룹은 ePHR(71.1%)을 더 선호하였고, PHR에 담겨져 있는 정보유출에 대한 우려가 성인그룹(3.7)보다 대학생그룹(4.5)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HR에 대한 교육 시기는 고등학교와 대학교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젊은층의 PHR활성화를 위해서는 ePHR에 대한 조기교육과 사용이 편리한 PHR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