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obic bed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8초

생물막 여과반응기를 이용한 고도질소 제거를 위한 운전제어법 개발 (Development of Biological Filtration Process for Effective Nitrogen Removal and its Control strategies in Tertiary Treatment of Sewage)

  • 정진우;김성원;津野洋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0-237
    • /
    • 2006
  • The operational parameters and control strategies of a tertiary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a biological filtration system wer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filtration system consisted of a nitrification filter (Fiter 1) and a polishing filter with anoxic and aerobic parts (Filter 2). SS, T-C-BOD, and T-N in effluent were kept stable at less than 3, 5 mg/L, and 5 mgN/L, respectively, under a HRT in Filter (filter-bed) of 0.37~2.3 h. T-N at the outlet of Filter 2 were about 1~5 mgN/L under the condition of LV of 50~202 m/d. Methanol addition was controlled based on the COD/N ratio or McCarty's equation. Constant COD/N ratio control results in excess addition under large diurnal fluctuation of $NOx^--N$, and McCarty's equation can be used to add appropriate amount of methanol. Control of methanol addition by on-line nitrate measurement, control of aeration by on-line DO measurement, and control of backwashing by head loss measurement are successfully operated. These results proved that this process prove the easy-maintenance and cost-effectively treatment is attainable.

음식물 침출수 청정화를 위한 파일롯 규모의 생물-분리막 복합공정의 성능 평가 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Bio-Membrane Hybrid Process for Treatment of Food Waste Leachate)

  • 이명구;박철환;이도훈;김탁현;이병환;이진원;김상용
    • KSBB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90-9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오염부하량이 높고, 유입수별 변동폭이 큰 음식물 침출수를 현장조건에서 처리하기 위한 혐기/호기 연속회분반응 (SAAD), 유동층 생물반응 (FBBR) 및 막분리(UF) 결합공정을 개발하고 이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공정 설계시 고려된 사항은 초기 고농도 오염부하의 처리에 적합한 초기 공정의 검토를 위한 이상혐기소화조와 상향류식 혐기성 슬러지 블랑켓트 (UASB)을 비교하여 현장조건에 적용 가능한 단상혐기소화조 (SAAD1)와, 높은 유기물 처리효율 능을 가진 호기소화조 (SAAD2)를 결합한 혐기/호기 연속회분공정을 선정하였다. 또한, 총질소 (TKN), 총인 (TP)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공기폭기조를 적용한 FBBR을 도입하였으며, salt 오염원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UF조를 도입하였다. 본 공정의 처리 결과는 유입 음식물 침출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cr)의 변동폭이 큼에도 불구하고, 파일롯 공정은 안정된 처리능을 보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입수의 CODcr, TKN, TP, salt의 평균값은 204,166 mg/L, 7,500 mg/L, 540 mg/L, 0.65%였으며, 처리수는 1,207 mg/L, 100 mg/L, 50 mg/L, 0.01%로 각각의 최종 제거효율은 99.4%, 98.6%, 89.6%, 98.5%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pH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더불어, 본 공정의 처리 수는 염분 및 독성물질이 미함유된 고영양 처리수로써 액상비료나 재자원화 공정 (퇴비화) 중 필요한 용수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종적으로 파일롯 규모의 생물-분리막 복합공정은 오염부하가 심하고 유입 부하량 변동폭이 큰 현장조건에서 우수한 처리성능 및 시스템의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메탄가스와 처리수의 재자원화의 장점을 가지며, 현장조건에서 음식물 침출수의 무배출-청정처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목편살수여상조를 이용한 축산뇨오수 처리와 목편여재의 물성 및 부착미생물 특성 (Treatment of Animal Wastewater Using Woodchip Trickling Filter System and Phys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Wood Chip Media)

  • 류종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1-80
    • /
    • 2011
  • 본 연구는 pilot 목편칩 살수여상 공정을 운전하면서 저농도 축산뇨오수 처리시에 오수 처리 특성과 부착 미생물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목편 살수여상 처리 효율과 목편담체의 부착미생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목편담체는 표면구조가 거칠고 여러 형태의 공극을 볼 수 있었고, 목편압축강도는 섬유방향으로 기건상태에서 34.8 N/$mm^2$ 이었고, 비표면적은 0.4123 $m^2$/g, 세공용적은 0.0947 $cm^3$/g 이었다. 2. 목편담체의 단위면적당 부착미생물량은 1.67~5.43 mg/$cm^3$의 분포를 보였고, 제1 목편 살수여상조에서 평균 4,01 mg/$cm^3$, 제2 목편 살수여상조에서 평균 5.05 mg/$cm^3$로 조사되었다. 부착미생물의 건조밀도는 제1 목편 살수여상조에서 평균 0.275 g/$cm^3$, 제2 목편 살수여상조에서 평균 0.245 g/$cm^3$이었다. 목편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의 생물막 두께는 0.88~4.11 ${\mu}m$의 분포를 이루고, 제1 목편 살수여상조 평균 157 ${\mu}m$, 제2 목편 살수여상조 평균 2.59 ${\mu}m$의 결과를 얻었다. 3. 부착미생물의 균수 측정에서 호기성균은 제1 목편 살수여상조에서 평균 $1.9{\times}10^8$ CFU/ml, 제2 목편 살수여상조에서 평균 $2.6{\times}10^7$ CFU/ml ddjT으며, 혐기성균은 제1 목편 살수여상조에서 평균 $8.5{\times}10^6$ CFU/ml, 제2목편 살수여상조에서 평균 $5.3{\times}10^5$ CFU/ml로 조사되었다. 4. 살수여상 여과수의 $BOD_5$는 원수에서 비교하여 74.5% 제거되었으며 CODcr 제거효율은 51.5%로서 $BOD_5$ 보다 다소 낮았다. T-N 함량은 처리전 844 mg/$\ell$ 에서 살수여상처리 후 325.5 mg/$\ell$ 로 낮아졌다. T-P 함량은 처리전 127.7 mg/$\ell$ 에서 살수여상 처리 후 55.9로 낮아졌다. 질소, 인의 제거효율도 각각 61.4%, 56.2%를 나타내었다.

생물학적(生物學的) 처리(處理)에 의한 원수(原水)의 유기물제거(有機物除去)에 관한 연구(研究) (Biological Treatment of Raw Water for Organics Removal)

  • 조광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3-50
    • /
    • 1986
  • 오염(汚染)된 원수내(原水內)의 biodegradable 한 유기물(有機物)의 제거(除去)를 위한 호기성(好氣性) 고정미생물막공법(固定微生物膜工法)의 적용가능성(適用可能性)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가 실시(實施)되었는데, 실험(實驗)은 파쇄(破碎)된 연탄재 또는 화강암을 매질(媒質)로 채운 충전상(充塡床)에 phenol과 무기성(無記性) 영양물질(榮養物質)을 용해(溶解)시켜 만든 합성원수(合成原水)를 주입(注入)함으로써 진행(進行)되었다. 실험결과(實驗結果)에 의하면 유입수(流入水)의 BOD 농도(濃度)가 50 mg/l 이하(以下)이고 체류시간(滯留時間)이 2.7 시간(時間)이었을 때 처리수(處理水)의 TBOD는 6 mg/l 이하(以下)로 유지되었으며, 처리수내(處理水內)의 SS가 응집(凝集)이나 여과(濾過) 등(等)의 재래식(在來式) 정수공법(淨水工法)에 의하여 제거(除去)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처리수(處理水)의 SBOD는 5 mg/l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처리수내(處理水內)의 SS가 낮은 BOD를 나타내었으므로 이들 SS가 대부분 부식질(腐植質)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반응조내(反應槽內)의 미생물막(微生物膜)이 낮은 F/M 비 때문에 내호흡단계(內呼吸段階)에 있음을 뜻한다. 연구결과(硏究結果)에 따라, biodegradable한 유기물(有機物)로 오염(汚染)된 원수(原水)는 먼저 2~3시간의 체류기간을 가지는 호기성(好氣性) 고정미생물막반응조(固定微生物膜反應槽)로 전처리(前處理)함이 바람직스럽다.

  • PDF

호기성 상향류 슬러지상 반응조를 이용한 고농도 암모늄 함유폐수의 독립영양 질소제거 (Lithoautotrophic Nitrogen Removal from Ammonium-rich Wastewater in Aerobic Upflow Sludge Bed(AUSB) Reactor)

  • 안영호;최훈창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52-859
    • /
    • 2006
  • Anammox(anaerobic ammonium oxidation)와 Canon(completely autotrophic nitrogen removal over nitrite) 공정과 같은 새로운 미생물학적 공정은 혐기성 소화 슬러지 상징수와 같은 고농도 암모늄 폐수로부터 효과적으로 질소를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학적 처리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폐수와 슬러지 소화조 상징수를 대상으로 상향류식 입상슬러지상 형태를 가진 새로운 Canon 형 질소 제거공정의 적용 가능성과 그 운전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때 산소공급원으로 주입된 공기는 유출수 반송라인에 설치된 외부폭기조에서 공급하였다. 합성폐수(${\leq}110$ mg $NH_4$-N $L^{-1}$)를 사용한 첫 번째 실험에서는 유효 HRT 3.8일에서 약 95%의 암모늄(T-N 기준 92%)이 제거되었다. 또한 슬러지 소화 상징액($438{\pm}26$ mg $NH_4$-N $L^{-1}$)을 이용한 두 번째 실험에서는 유효 HRT 5.4일과 3.8일에서 각각 $94{\pm}1.7%$$76{\pm}1.5%$의 질소가 제거되었다. 두 실험 모두 유출수에서의 아질산염과 질산염 농도는 매우 낮게 검출되었다. 다른 미생물학적 질소 제거 신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이 공정은 상당히 낮은 산소소모량($0.29{\sim}0.59$ g $O_2$ $g^{-1}N$)과 알칼리 소모($3.1{\sim}3.4$ g $CaCO_3$ $g^{-1}N$) 특성을 보였다. 이 공정은 또한 간단한 반응조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효과적인 미생물 확보능력과 함께 시설투자 및 유지관리비용이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가공식품(加工食品)의 내열성부패균(耐熱性腐敗菌) 분포(分布) 조사연구(調査硏究) -(제(第) 1 보(報)) 지역별(地域別)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조사(調査)- (Study on Heat Resistant Putrefactive Spore Formers in Korean Soil and Processed Foods -Part 1. Survey on regional distribution of spore forming bacteria-)

  • 구영조;신동화;김정옥;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24-230
    • /
    • 1978
  • 통조림 및 가열보조식품(加熱保存食品)의 부패원인(腐敗原因)인 내열성부패균(耐熱性腐敗菌)에 대(對)하여 충청남도(忠淸南道) 부여(夫餘) 등(等) 전국(全國) 8개지역(個地域)의 양송용가공공장(洋松茸加工工場)을 중심(中心)으로 양송용균상퇴비(洋松茸菌床堆肥), 복토(覆土), 원료양송용(原料洋松茸) 및 살균전(殺菌前)통조림제품(製品)에 대(對)하여 일반세균(一般細菌) 및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소장(消長)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하고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140 균주(菌株)를 분리(分離) 보관(保管)하였으며 이 중에서 내열성(耐熱性)이 강(强)한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9균주(菌株)를 분리선발(分離選拔), 이들에 대(對)하여 D-value와 Z-value를 구(求)하였다. 이중 가장 내열성(耐熱性)이 강(强)한 균주(菌株)는 aerobic thermophile spore former F-10(부여지방(扶餘地方) 원료양송용(原料洋松茸) 분리(分離))으로 Z=21.1F(in M/15 phosphate buffer solution), $D_{250}=6.6\;minute$ 이었다.

  • PDF

아연 광석과 프로판산화 미생물을 이용한 이단 고정상 반응기에서의 염소계 지방족 탄화수소 혼합물 분해 특성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 (CAH) Mixtures in a Two-Stage Column: 1st Chemical Column Packed with Zinc Natural Ore and 2nd Biological Column Stimulated with Propane-Oxidizing Microorganisms)

  • 손봉한;김남희;홍광표;윤준기;이채영;권수열;김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23-730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ombined method for remediating a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CAHs) mixtures-contaminated aquifer. The process is consist of two processes. A chemical process (1st) using natural zinc ores for reducing higher concentrations of CAH mixtures to the level at which biological process is feasible; and A biological process (2nd) using aerobic cometabolism for treating lower concentration of CAH mixtures (less than 1 mg/L). Natural zinc ore showed relatively high transformation capacity, average dehalogenation percentage, and the best economic efficiency in previously our study.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cess, we operated two columns in series (that is, chemical and biological columns). In the first column filled with natural zinc ore and sand, CAH mixtures were effectively transformed with more than 95% efficiency, the efficiency depends on the Empty Bed Contact Time (EBCT) and the mass of zinc ore pack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were performed to make sure whether natural zinc ore played an key role in the dechlorination of the CAH mixtures. The characteristics of zinc metal surface changed after exposure to CAHs due to oxidation of $Zn^0$ to $Zn^{2+}$. In the biological column injecting propane, DO and effluent of the chemical column, only 1,1,1-TCA was cometabolically transformed. Consequently, the combined process would be effective to remediate an aquifer contaminat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CAH mixtures.

바이오매트 형성에 의한 산성광산배수 내 중금속 유출질량 제거효율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in Acidic Mine Drainage from Microbial Mats)

  • 유훈선;권병혁;김박사;소윤환;강동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67-676
    • /
    • 2012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o reduce mass of heavy metals in AMD(acid mine drainage) by microbial mats formed on the channel bed. As, Cd, Cu, Fe, Mn and Zn components were monitored in water and microbial mats, at three points (AMD1, AMD2 and AMD3), in a total of six times. Average daily discharge mass of heavy metals was highest in July, Fe component contained more than 76% of total discharge mass. Discharge mass of heavy metals of AMD and heavy metal contents in microbial mats decreased with downstream at channel. Heavy metal components that average daily discharge mass is over 0.5 kg were Fe, Cu and Zn, and they were highest in July.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in AMD was highest about 21% in Fe, this microbial mats were due to form from precipitation of Fe component in AMD by aerobic iron bacteria. Relative content for As component in microbial mats than AMD was over 16 times, this As components were due to absorb at iron oxide and iron hydroxide on the surface of microbial mats.

Pilot 규모의 상향류식 충전탑 반응기를 이용한 생활오수의 유기물 및 질소, 인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Organics, Nitrogen and Phoschorus of Domestic Wastewater in Pilot-Scale Upflow Packed Bed Column Reactor)

  • 선용호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191-196
    • /
    • 2007
  • 본 연구는 급속한 산업 발전으로 인해 일어난 많은 수질오염 문제 중 생활하수의 처리방법에 관심을 기울여 생물막 공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소규모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운전과 유지가 간단하고 활성슬러지 공정보다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생물막 공법 중 생물여상법의 변법을 적용한 Pilot 규모의 상향류식 충전탑형 반응기로 내부의 담체로는 폐토기와 폐비닐을 넣어 혐기조와 호기조를 구성하였고, 생활 오수로는 식당 오수를 이용하여 Lab.-Scale 실험 후 Pilot-Scale로 Scale-up하여 100여일 간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연속 포기시 일정 HRT에서 유기물과 질소, 인 제거율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BOD_5$와 SS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94.33%와 87.77%로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나, $COD_{Cr}$은 81.46%로 목표 제거율 90% 이상에 미치지 못하였고, T-N과 T-P도 각각 71.92%와 21.10%로 예상보다 약간 낮았다. 특히 $COD_{Cr}$와 T-N의 제거율은 지난 Lab.-Scale 때보다 약 10% 정도의 감소를 하여 Pilot-scale에 내외적인 문제가 작용한 것으로 보였다.

축산폐수의 후처리공정으로서 SBR 적용시 운전인자에 따른 질소와 인의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by Operation Mode for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Post-process Using SBR)

  • 최건열;이영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4-219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nitrogen and phosphoru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combined process of ATAD(Autothermal Thermophilic Aaerobic Digestion) and EGSB(Expended Granular Sludge Bed), which are treatment methods for livestock wastewater, by introducing SBR(Sequencing Batch Reactor) as post-treatment process. The analysis on the treatment efficiency of each operation mode showed that, in the case of T-N, the treatment efficiency were 67.1% and 74.2% for Run-1 and Run-2, respectively, and in the case of T-P, the values were 71.2 and 74.1, respectively, which are indicating that the treatment efficacy is higher in the condition of Run-1, in which the time period of Anoxic and Aerobic segments were increased. In addition, the result of analyzing removal characteristics of nitrogen and phosphorus by Influx load showed that removal efficiency of nitrogen was better in the case of high influx load than in the case of low influx load. Regardless of Influx load, phosphorus showed constant influx concentration, so that removal efficiency of phosphorus was influenced littler by Influx load than that of nitrogen. This study also fed methanol as an external carbon source and performed experiment to induce denitrification under anoxic condition by using nitrate among nitrogen compounds of SBR reactor, and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mittent feeding was more effective in Nitrogen Removal than composite f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