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 smoker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8초

Determinants of Smoking Initiation and Susceptibility to Future Smoking among School-Going Adolescents in Lagos State, Nigeria

  • Odukoya, Oluwakemi Ololade;Odeyemi, Kofoworola Abimbola;Oyeyemi, Abisoye Sunday;Upadhyay, Ravi Prakas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1747-1753
    • /
    • 2013
  • Background: It is projected that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will bear a major burden of tobacco 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yet, only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determinants of smoking initiation among youth in Africa.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determinants of smoking initiation and susceptibility to future smoking among a population of high school school students in Lagos, Nigeria. Materials and Methods: Baseline data from an intervention study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 of an anti-smoking awareness program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adolescents was analyzed.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six randomly selected public and private secondary schools in local government areas in Lagos state, Nigeria. A total of 973 students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on smoking initiation, health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smoking, susceptibility to future smoking and other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Results: Of the respondents, 9.7% had initiated smoking tobacco products with the predominant form being cigarettes (7.3%). Males (OR: 2.77, 95%CI: 1.65-4.66) and those with more pro-smoking attitudes (OR: 1.44, 95%CI: 1.34-1.54) were more likely to have initiated smoking. Those with parents and friends who are smokers were 3.47 (95%CI: 1.50-8.05) and 2.26 (95%CI: 1.27-4.01) times more likely to have initiated smoking. Non-smoking students, in privately owned schools (OR: 5.08), with friends who smoke (5.09), with lower knowledge (OR: 0.87) and more pro-smoking attitudes (OR 1.13) were more susceptible to future smoking. In addition, respondents who had been sent to purchase cigarettes by an older adult (OR: 3.68) were also more susceptible to future smoking. Conclusions: Being male and having parents who smoke are predictors of smoking initiation among these students. Consistent with findings in other countries, peers not only influence smoking initiation but also influence smoking susceptibility among youth in this African setting. Prevention programs designed to reduce tobacco use among in-school youth should take thes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n line with the recommendations of article 16 of the WHO FCTC, efforts to enforce the ban on the sales of cigarettes to minors should be also emphasised.

교근 내로 전이된 신세포암의 치험례 (Intramasseteric Metastasis of Renal Cell Carcinoma: Case Report)

  • 박군찬;윤규호;박관수;정정권;배정호;박재안;민성창;신재명;백지선;김현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71-75
    • /
    • 2012
  • Renal cell carcinoma (RCC) is the most frequent urological malignant tumor in adults and it occurs mostly between the fifth and the sixth decades of life. The male-female ratio is 3:1 and it is more common in smokers. It accounts for approximately 3% of adult malignancies; 90~95% of neoplasms of the kidney. The classic triad of presenting symptoms of RCC is hematuria, back pain and a mass in the flank. More than 50% of RCCs show metastasis to breast, lung and regional lymph nodes, and 15% present in the orofacialmaxillary region. This case is about a 66 year-old man who was treated for painless swelling in the left masseteric area. The mass was surgically excised and sent for biopsy. It was diagnosed as RCC and two weeks later nephronectomy of the left kidney was performed. Metastasis to other organs was detected and the patient received radiation therapy. In this case we were able to find the primary lesion by the metastatic lesion.

50대 이상 성인의 저작불편감이 골관절염 유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ewing Difficulty on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in Adults Aged 50 Years and Older)

  • 황수현;한삼성;유왕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5-152
    • /
    • 2015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 원시자료 중 검진 및 건강 설문조사를 모두 완료한 50세 이상 8,498명의 성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과의 관련성을 PASW Statistics ver. 18.0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대상자의 저작불편감 상태에 따른 분포에서 저작불편감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38.8%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비교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서는 50~64세 34.3%, 65세 이상 46.4%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교육 및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상태인 경우, 우울증 및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저작불편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과의 관계는 저작불편감을 가진 대상자는 저작불편감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골관절염의 유병위험률이 1.44배(95% CI=1.23~1.70)로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성별을 층화시켜 분석한 결과, 남성에서 1.36배(95% CI=0.98~1.88)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남성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여성에서 1.47배(95% CI=1.22~1.7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여성에서는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50세 이상 성인의 저작불편감 여부가 여성의 골관절염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위생을 통한 구강건강의 문제를 개선시킴으로써 골관절염의 악화를 예방 및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식행동과 건강생활습관이 혈압, $\gamma$-GPT, 혈당 및 HDL-Cholesterol에 미치는 영향-전주지역 4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on Blood Pressure, $\gamma$-GPT, Blood Glucose and HDL-Cholesterol in the Cheon-Ju Area)

  • 김인숙;서은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574-582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over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on blood pressure, $\gamma$-Glutamic acid Peptide Transferase($\gamma$-GPT), blood glucose an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HDL-C). 185 subjects(85 male, 100 female) were selected, who were living in the Cheonju area aged 40#s to 60#s. The mean systollic blood pressure(SBP), diastollic blood pressure (DBP), $\gamma$-GPT, fasting blood sugar(FBS) and HDL-C for all the subjects were 118mmHg, 77mmHg, 281U/l, 90mg/dl and 45mg/dl, respectively. The SBP and DBP for subuects over 60 years old were 126mmHg and 81mmHg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ubjects in their 40#s and 50#s(p<0.001, p<0.005). The HDL-C of the group that rarely ate breakfast was 57mg/dl and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44mg/dl scored by those who ate breakfast everyday(p<0.05). The SBP for subjects having a snack 2-3 times/week was 125mmHg and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114mmHg of those having a snack everyday(p<0.05). The $\gamma$-GPT for subjects consuming alcohol everyday was 44IU/L and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18IU/I of the non-drinking group(p<0.001). The $\gamma$-GPT of light smokers was 53IU/I and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2IU/I for non-smoking participants(p<0.001). The DBP, SBP, $\gamma$-GPT, FBS and HDL-C related to exercis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BP(p<0.001) and DBP(p-0.01) between age group was positively correlated. The $\gamma$-GPT between drinking frequency(p<0.001), drinking quantity(p<0.05), and smoking(p<0.05)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The FBS between exercises had a negative correlation(p<0.05), and the HDL-C between breakfast had a negative correlation(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reasing drinking and smoking, when combined with appropriate exercise, will decrease the $\gamma$-GPT and fasting blood sugar level, and help preventing adult diseases.

  • PDF

성인 1인 가구의 성별에 따른 고위험 음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High Risk Drinking by Gender in Single Adult Households)

  • 이정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21-331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 1인 가구의 고위험 음주에 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의 음주경험이 있는 1인 가구 32,389명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대상자를 지역사회건강조사의 고위험 음주율 지표에 따라 고위험음주군을 추출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의 차이 및 고위험음주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1인 성인 가구의 고위험 음주율은 15.0%(남성 25.8%, 여성 5.8%)로 나타났고, 고위험 음주의 영향요인은 연령과 고등학교 이하의 교육수준, 서비스직 종사, 흡연을 하는 경우, 우울감을 경험한 경우, 고혈압을 진단받은 경우,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가 남성과 여성의 공통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게만 영향을 주는 요인은 스트레스, 여성에게만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당뇨 진단을 받은 경우로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남성은 장년층에서, 여성은 20-30대 청년층에서 고위험 음주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경제력의 원동력인 청장년층의 고위험 음주율이 높고, 특히 스트레스나 우울감 경험 등의 정신적인 요인이 고위험 음주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는 1인 가구의 고위험 음주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건강행태 및 생활습관의 세밀한 분석을 통한 맞춤형 보건정책과 함께 정신건강 프로그램의 연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노인 코호트 DB를 이용한 정신과 질환 동반 노인의 생활 습관과 의료비 지출 크기의 연관성 분석 연구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and Medical Expenses of Older Adults With Mental Illness: Using Korea Older Adults' Cohort Database)

  • 정지인;배수영;유은영;홍익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1호
    • /
    • pp.51-63
    • /
    • 2023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통해 정신과 질환을 가진 노인의 생활 습관 행태와 의료비 지출 크기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생활 습관의 긍정적 영향 및 중요성을 제시하고 이에 관련한 중재의 근거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4, 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이차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전체 변수 중 생활 습관 행태와 연간 의료비 지출 크기를 추출하였다. 각각의 생활 습관 행태와 연간 의료비 지출 크기 사이의 연관성은 일반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기준에 따라 추출된 총 32,853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12,617명(38.40%)의 남성과 20,236명(61.60%)의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활 습관과 의료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비흡연자의 경우 흡연자보다 의료비 지출이 유의하게 낮았으며(estimate = -218,255원, p = .037), 일주일 중 30분 이상 걷는 일수가 증가할수록 의료비 지출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estimate = -58,843원, p < .0001). 반면, 일주일 중 술을 마시는 일수가 감소할수록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estimate = 692,289원, p < .0001). 결론 : 본 연구는 정신과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있어 생활 습관의 행태에 따른 의료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흡연과 운동은 의료비 지출과 음의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걷기 운동을 많이 할수록, 흡연을 하지 않을수록 의료비 지출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과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게 있어 건강한 생활 습관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정신과 질환을 가진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한 생활 습관 관리 프로그램의 임상적 근거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젊은 성인 흡연자에게 흡연이 운동능에 미치는 즉시효과 (Immediate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exercise in young adult smokers)

  • 박인원;고형기;강윤정;최재선;유지훈;신종욱;임성용;최병휘;서승천;나문준;허성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154-161
    • /
    • 1997
  • 배경 : 장기적인 흡연에 의한 영향은 잘 알려져 있으나 흡연 후 운동시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없다. 따라서 운동시 흡연이 심폐기능에 미치는 즉시 효과를 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심폐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흡연남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운동부하검사 전에 폐기능검사 등 기본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첫날에는 흡연을 하지않고 산소만을 흡입한 뒤 운동부하 검사를 시행하였고 다음날에는 2시간에 걸쳐 10개를 피운 뒤 운동부하검사를 하여 양군간에 운동검사 지표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1. 대상군의 기저 폐기능 검사상 모두 정상이었으며 운동 전후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최대 운동 부하 검사 후 최대산소섭취량은 $2.479{\pm}0.338$ L/min 에서 $2.289{\pm}0.344$ L/min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무산소 역치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1.391{\pm}0.297$ L/min에서 $1.363{\pm}0.302$ L/min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호흡예비력과 최대운동부하시 MVmax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최대운동 부하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V_D/V_R$, $V_EV_{CO2}$, 및 호흡수는 운동 전후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O_2$ pulse는 $14.76{\pm}2.46$ ml/min/beat에서 $13.25{\pm}2.03$ ml/min/beat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Rmax는 $170.4{\pm}10.9$ beats/min에서 $172.4{\pm}12.9$ beats/min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심박수예비력은 운동 전후에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흡연은 운동능에 즉시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폐환기능보다는 체내 혈중 HbCO치의 상승 혹은 운동에 따른 혈류 장애에 의한 심장기능의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