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justment stress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3초

코로나19 팬데믹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 지각된 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Focus on empathic ability,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 최윤숙;김미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7-108
    • /
    • 2024
  • Purpose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by focusing on their empathic ability,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Methods : We applied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which includ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comprised 307 nursing students in B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s,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3.0. Results : The participants' empathic ability score was 3.30±.42, perceived stress score 1.85±.49, resilience score 3.44±.64,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score 3.25±.52.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r=.43, p<.001)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r=.27, p<.001). Factors affecting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clud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in Model 1, in descending order, major satisfaction-satisfied (β=.54, p<.001), interpersonal conflict: never (β=.26, p=.018), health status: healthy (β=.25, p=.002), character: positive (β=.21, p=.006), character: optimistic (β=.19, p=.015), parents' economic power: high (β=.15, p=.047), and gender: male (β=.11, p=.016). Model 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1.67,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1 %. In Model 2, empathic ability,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were add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en including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that most influenced adjustment to college life were perceived stress (β=-.37, p<.001), major satisfaction-satisfied (β=.36, p<.001), health status-healthy (β=.25, p<.001), gender-male (β=.10, p=.015), and resilience (β=.10, p=.029). Model 2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7.65,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6 %. Conclusion : We found that gender, major satisfaction, health status,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affecte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adjust to college life, a gender-specific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hat can improve the students' health status, major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nd reduce their perceived stress.

집단음악치료가 관심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for At-Risk Korean Soldiers on Adjustment and Stress Level)

  • 윤주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9권1호
    • /
    • pp.55-71
    • /
    • 2012
  • 본 연구는 군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관심병사들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심리치료를 시행하여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bigcirc}{\bigcirc}$ 사단에 소속된 병사들 중 국군병원 정신과 진료 및 군 전문상담관의 개별상담을 통해 관심병사로 분류된 7명을 대상으로 총 12시간에 걸쳐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계발 및 사용되었던 군 생활 스트레스 척도와 군 생활 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결과는 비모수에 의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중재 후 대상자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 전체의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 < .05). 이를 하위 요인별로 보면 역할스트레스와 외부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관계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군 생활 적응척도의 전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 < .05). 하지만 하위요인에서 심신의 상태와 직책과 직무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임무수행의 의지와 군 환경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심리 정서적 지지 차원의 집단음악치료 활동이 군 부적응 관심병사의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조화,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Stress Cop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 이지은;곽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27-537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조화,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경북지역 2개 대학 간호학과 1, 2학년 재학생 231명이며, 2015년 12월 1일~11까지 설문조사 하였고,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대인관계 조화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일반적 특성 중 학년, 간호학 지원동기, 간호학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대인관계 조화(${\beta}=.27$, p<.001), 문제중심 대처(${\beta}=.25$, p<.001), 정서적 대처(${\beta}=-.25$, p<.001), 소망적 사고 대처(${\beta}=-.20$, p<.001)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23%이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인관계 조화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on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

  • 이시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509-518
    • /
    • 2019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III(2016)'의 횡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 총 3,40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수에 대한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검정되었다. 둘째,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경로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적 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동의 적응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의 스트레스 완충 효과에 대한 연구 (Stress-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in the Adjustment of Children)

  • 강성희;이재연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5-188
    • /
    • 199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potential main and stress-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4-6 graders (N=170) completed the Social Support Appraisals Scale(SSAS)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task. The SSAS is a 31-item measure that taps the child's perceptions or appraisals of family, peer, and teacher support. Their parents provided ratings of stress in the child's environment and ratings of the child's behavioral adjustment. Teachers provided ratings of the child's behavioral and academic adjustm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graphic display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1) The results for parent-rated problems supported a stress-buffering model for family support and problem solving. (2) The results for teacher-rated problems were consistent with the stress-buffering model of social support. (3) The results for grade-point average supported a main effect model for problem solving. peer support, and family support. In addition, teacher support had the strongest stress-buffering effect on grade-point average.

  • PDF

청소년의 집단 따돌림과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우울 및 학교생활적응 관계 (Self Esteem, Stress,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who are Victims of Bullying)

  • 이혜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48-556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steem, stress,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who were victims of bullying and those who were not. Method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Peer Victimization Scale (Callaghan & Joseph, 1995), Self-esteem Scale, (Rosenberg, 1965), Daily Hassles Questionnaire (Feiner, Ginter & Primavera, 1982) an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Radloff, 1977). Data from 73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means, ${\chi}^2$-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4.0. Results: Victims of bullying accounted for 19.8% of the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grade, school record, family living together, satisfaction with parents and satisfaction with friends between students who were victims of bullying and those who were not. Self 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or the victims of bullying were lower than for those in the non-victim group, and stress and depression were higher.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chool record, family living together, satisfaction with friends, self esteem, friend related stress, family related stres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ing a victim of bullying.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offer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students becoming victims of bullying.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정서조절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관련성 연구 (The Influence of 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of Health College Students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 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65-71
    • /
    • 2021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정서조절,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G광역시, J지역 보건계열학과 190명을 연구 대상으로 2021년 6월 2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긍정적 지각은 부정적 지각(r=-.286, p<.01), 정서조절(r=.296, p<.01), 대학생활적응(r=.520, p<.01)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부정적 지각은 정서조절(r=-.619, p<.01), 대학생활적응(r=-.428, p<.01)과 부(-)의 상관이 있었다. 정서조절은 대학생활적응(r=.341, p<.01)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지각된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긍정적 지각, 부정적 지각, 정서조절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84%이었다. 그러므로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관광관련 전공 국내 대학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University Adjustment: Focused on Foreign Students Majoring Tourism at Universities in Korea)

  • 윤선영
    • 서비스연구
    • /
    • 제5권2호
    • /
    • pp.177-197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경기도 소재 4개의 대학에서 유학하고 있는 관광 관련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타국생활 적응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외국인 유학생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건강한 유학생활의 지침 마련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언어능력은 대학생활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간에 부분적으로 정(+)의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예방 및 근거와 대학생활에 도움이 될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며 한국 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 개선 및 다문화시대에 국내 소수집단의 심리적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김경남;김주영;김현정;김희정;문유빈;문혜진;박언설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17-142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the stress, stress and cop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life adjustment. Method: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stress response, coping abilit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life adjustment.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17 to 23, 2020, for one week, the researcher directly explains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to 221 nursing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online surveys to those who have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Adaptation to colleg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285, p<.001), stress response (r=-.258, p<.001), and coping ability (r=.512, p<.001)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tudy subjec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oping ability (β=.473, p<.001), followed by stress (β=-.185, p=.002) in the order of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28.9%.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means that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s less stress and stress response, and higher coping ability increases college life adaptation. The factor that influence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llowed by stress. In order for nursing students to adjust to college life smoothly, it is thought that coping measures to reduce stress and stress responses and overcome them are necessary.

COVID-19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VID-19)

  • 안혜란;이지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4-45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라는 위기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전공선택동기, 학업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개 지역의 간호학생 243명을 편의모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선택동기와 자기효능감은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는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 전공선택동기, 한 달 용돈 금액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65.6%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기 위한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