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jacency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1초

K대학병원 병동부 이중복도형의 개선을 위한 사용자 요구 조사연구 (A Study on the User Needs for Renovation of Race Track Type of Nursing Units in K University Hospital)

  • 김영애;임오연;김정신;이종세;안의종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1-28
    • /
    • 2013
  • Purpose: General hospital in korea is getting large-scaled, specialized and upgraded. So, nursing unit of race track type has been advanced along with a spatial organization, building equipment and environmental approach. This study is to search the guidelines for renovation of nursing unit with race track type in the case of K university hospital in Daejeon. Methods: 9 cases of recently opened general hospital has been analyzed for spatial and environmental design solution.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bout user needs of nursing staff, patient and visitors, have been conducted for a nursing care system and facility of nursing units in K university hospital. Results: The user needs are represented as followings. Center core public zone in each floor plan and center core nursing station and supporting areas in nursing unit are good for an adjacency and separation of spatial organization. Toilet of group patient room is necessary to equip for easy, safe and infective aspects, and so toilet install will decrease the patient number and increase the nursing care service. Hall type of station front is good for visibility and observation. It is appropriate to renovate into south facing group patient room for privacy, enough space for nursing care facility and supporting area, enough width of door to move portable medical equipment, room for medical doctor and practical student, noise absorbing of day room. Implications: Upgrading the nursing care service and facility equipmen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user needs and cooperate with hospital management.

휴대인터넷에서 낮은 지연 특성을 가지는 인증유지 핸드오버를 위한 효과적인 트래픽 관리기법 (Efficient Traffic Management Scheme for Fast Authenticated Handover in IEEE 802.16e Network)

  • 최재우;강전일;양대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6C호
    • /
    • pp.457-464
    • /
    • 2005
  • 현재 표준화 작업이 한창인 휴대인터넷은 무선랜 보다 서비스 범위가 넓으면서 빠른 이동성을 제공하고 있다. 휴대인터넷 환경이 상용화 되면 많은 사용자들이 휴대인터넷을 사용할 것이며 무선 통신량 또한 급증할 것이다. 휴대인터넷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IEEE 802.16e에서는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해 이동할 한 개의 기지국에게 단말기가 자신의 인증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이것은 어느 기지국으로 이동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적합하지 않다. 핸드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해 미리 인접한 기지국에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보내는 proactive caching 기법은 [4]에 의해서 제안되었고 이 논문에서는 proactive caching 기법에 의해 발생되는 중복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 효과적인 트래픽 관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한된 델로네 삼각분할을 이용한 공간 불확실한 영역 탐색 기법 (Detecting Uncertain Boundary Algorithm using Constrained Delaunay Triangulation)

  • 조성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7-93
    • /
    • 2014
  • 지적 필지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곤 집합은 현실세계의 국토를 반영하는 가장 기반이 되는 데이터 집합이다. 따라서 지적 필지는 서로 간에 겹쳐있거나 공백을 가지지 않는 위상적 무결성이 보장되어야하는 데이터이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필지들 간의 겹침과 공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경우 폴리곤의 경계들은 주변의 폴리곤과 정확하게 인접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겹침 영역과 공백 영역이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정확하게 인접되어 있지 않은 경계가 불확실한 모서리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 폴리곤을 불확실한 영역이라고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역을 탐색하기 위한 TTA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TTA 처리 순서는 우선 폴리곤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포인트와 폴리라인을 추출하여 제한된 델로네 삼각분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각 삼각형마다 데이터 집합과 중첩되는 면의 수를 세어 삼각형에 태깅을 수행한다. 태깅 값이 0 또는 1 이상인 삼각형을 추출한 후 연결성을 가지고 있는 삼각형끼리 병합을 수행하여 위상적 모순이 있는 영역들을 발견한다. 본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자동화하여 실세계에서 경계가 교차하는 지적 데이터에 적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동적분할 기법을 이용한 배전망의 정전복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System for Distribution Networks Using Dynamic Division Method)

  • 임찬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4-72
    • /
    • 2003
  • 배전망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수용가와 인접되어 있으므로 송전망에 비하여 사고의 발생도 매우 빈번하다. 또한 배전망에서의 사고는 수용가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용가의 피해를 줄이고 전력공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배전망에서의 고장진단과 정전복구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다. 배전망의 정전복구는 시간적인 제약성에 종속되며, 정전복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폭, 모든 정전구역을 한번의 스위칭으로 복구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그렇지 못한 경우 여러 번의 스위칭으로 복구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작되는 스위치의 수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배전망의 정전 복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휴리스틱 탐색방법과 메타-알고리즘의 동적분할 기법의 계층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제안된 정전복구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의 배전망을 대상으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국가하천변 생태관광 네트워크 10선 ("Ecoturism Networks 10" around the Areas Bordering National Rivers in South Korea)

  • 이관규;이상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41-51
    • /
    • 2012
  • To select 10 representatives for the ecotourism networks around the areas bordering national rivers in Korea, the spatial ranges for ecotourism have been established, the ecotourism potential analyzed, and the ecotourism resource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s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as undergone reviews, amendments, supplements, and verification processes through familiarization tour previews, a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have been derived. First, the spatial ranges of the eco-tourism networks have been set as the watershed areas that include areas around the four major rivers and the rivers. Second, the areas with high potential value for ecotourism were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ecotourism potential. Since EGIS was used for the analysis, it was inevitable that insufficient amount of localized information was reflected, and the use of the results as reference for the potential would be feasible. Third, it was possible, by reviewing, amending and complementing the results of ecological resour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s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o select 50 representative ecological resources around the national rivers. The selected resources were considered for the adjacency, attractiveness of ecological resources, and uniqueness of the national rivers, and they were derived by screening expert advice, official opinion, and geographical analysis information. Fourth, 10 representative ecotourism networks based on watershed areas were selected, and suitable themes were given based on the resource characteristics. Fifth, the appropriateness for ecotourism has been confirmed, with the familiarization tour previews and survey results, preservation of the future ecotourism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as the basis. In the future, the remaining 9 ecotourism networks would also need to undergo a verification process such as familiarization tours. It is deemed that, through future ecotourism contests, if the programs that select locally-pioneered tourism programs resulting from the capacities of local entities and residents, then it would be more effective in discovering resources that are more localized and of higher regional value.

MPEG Media Transport 환경 내 UWV 미디어 공간 인접 행렬 시그널링 방안 (Signaling Method for Spatial Adjacency Matrix of UWV media in MPEG Media Transport Environment)

  • 김준식;강동진;이의상;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61-273
    • /
    • 2018
  • 영상 처리, 컴퓨터 비전 및 영상 디스플레이와 같은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미디어의 생성 및 소비 방식에 대한 시장이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Ultra Wide Viewing(UWV) 미디어에 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UWV 미디어의 소비에 있어, 서버의 부하 및 단말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의 자유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관심 영역을 선택 및 소비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MPEG-CI 및 Layout 시그널링을 이용하고 확장하여 UWV 미디어를 구성하는 다양한 미디어 간 공간적 위치정보를 기술하고 이를 전송하는 방안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 소비를 가능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에지 및 컬러 양자화를 이용한 모바일 폰 카메라 기반장면 텍스트 검출 (Mobile Phone Camera Based Scene Text Detection Using Edge and Color Quantization)

  • 박종천;이근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847-852
    • /
    • 2010
  • 자연 영상 내에 포함된 텍스트는 영상의 다양하고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그러므로 텍스트를 검출하고 추출하여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 모바일 폰 카메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응용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에지 및 연결요소를 이용한 장면 텍스트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그레이스케일 영상으로부터 에지 성분 검출과 지역적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텍스트 영역의 경계선을 검출하고, RGB 컬러공간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기준으로 연결요소를 검출한다. 검출된 에지 및 연결요소를 레이블링하고 각각 영역의 외곽사각형을 구한다. 텍스트의 휴리스틱 이용하여 후보 텍스트를 추출한다. 후보 텍스트 영역을 병합하여 하나의 후보 텍스트 영역을 생성하고, 후보 텍스트의 지역적 인접성과 구조적 유사성으로 후보 텍스트를 검증함으로서 최종적인 텍스트 영역을 검출하였다. 실험결과 에지 및 컬러 연결요소 특징을 상호 보완함으로서 텍스트 영역의 검출률을 향상시켰다.

산림수확 시뮬레이터 HARVEST 응용에 의한 벌채지 공간배치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patial Allocation of Cut Blocks Using a Timber Harvest Simulator HARVEST)

  • 송정은;장광민;한희;설아라;정우담;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96-1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림수확계획 수립에 있어 벌채지 선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수확분배시뮬레이션 모델의 도입을 위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Gustafson과 Crow가 개발한 HARVEST를 산림수확 공간분배 모델로 선정하고 국립산림과학원의 광릉시험림을 대상으로 벌채구획의 면적제한, 벌채지 선정방법, 및 벌채지 연접제한과 같은 기본적인 산림수확 경영방침을 적용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벌채 구획의 면적제한 조건의 경우 허용벌채면적이 커질수록 벌채구획의 수는 적어지고 벌채구획간의 거리는 멀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의산개형, 군상형 군상택벌형 및 영급순 등 벌채임분의 선정방법을 달리하여 수확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경우 군상택벌형을 제외하고 벌채구획의 크기와 개소 수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벌채지간 거리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벌채지의 연접제한은 이미 벌채된 임분 주변에서의 벌채를 제한하므로 벌채구획의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HARVEST는 산림수확을 수행하는데 있어 다양한 경영목표에 따라 벌채구획의 수와 공간분포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로 평가되었다.

인구증가 분석격자의 공간정보를 이용한 기반시설 부담구역 설정방안 (Determination of the Impact Fee Zone Based on the Grid Analysis of Population Increase)

  • 최내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4-83
    • /
    • 2009
  •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과 관련한 조항이 국토계획법에 신설되면서 정부는 2008년 9월 개정 시행령을 통해 인구증가율에 따른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기준을 고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통탄신도시 조성으로 인구증가가 뚜렷한 화성시 동탄동을 사례지로 하여 격자 공간분석을 통해 법정 인구증가율 상회 격자 셀들을 선별해 보고 다시 이들에 대해 셀 버퍼와 셀 간격 등 두 가지 기준에 의한 그루핑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공간적 인접성 단계별로 인구밀집이 예상되는 구역을 연동 집단화하는 방법에 대해 모의실험을 수행해 보았다. 이와 같이 선별한 동탄동 관내 가상 지정구역을 동탄동 토지이용계획도와 중첩하여 검토한 결과 위 두 가지 방식 모두에 있어 실제 인구집중 구역들이 적절한 형태로 집단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진단검사의학과의 검사분야별 기능과 검사흐름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 and Workflow of Laboratory Sections for Clinical Laboratory Design)

  • 최창대;김영애;정태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7-27
    • /
    • 2019
  • Purpose: Clinical laboratory in hospital has taken a great role in protection of chronic disease. as well as diagnosis and treatment, And laboratory layout has been considered by the management and laboratory section more than the function and workflow. Methods: So this study figures out the workflows of laboratory sections in the recently upgraded Laboratory Medicine, and searches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and spatial block diagram between each disciplines as follows.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adviser has been conducted. Results: 1) Laboratory type of Laboratory Medicine is divided into routine and specialized laboratory according to the workflow by automated or specialized test. 2) The general workflow consists of specimen collection, specimen classification, test by discipline, test report, and specimen disposal. 3) Though the function of each laboratory section is very complicated and specific, the characteristics and the workflow can be shown in detail by each lab through [Figure 4], [Figure 5], [Figure 6], [Figure 7], and [Figure 8]. 4) Functional relationship diagram can be displayed to the adjacency and relation between each laboratory and support spaces. 5) The spatial block diagram could be presented as shown in [Figure 10], in which the emergency lab lay in front side, routine lab in the central open area, and specialized lab in the behind side. Implication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in planning and designing a Laboratory Medicine Depar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