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iloba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8초

참당귀와 일당귀의 부위별 휘발성 정유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in Pla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 acutiloba Kitagawa)

  • 조민구;방진기;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52-357
    • /
    • 2003
  • 참당귀의 전초 (꽃봉우리, 줄기, 잎)와 뿌리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초의 정유 함량은 0.063%로 뿌리의 0.389%에 비해서 아주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성분에 있어서 전초와 뿌리의 정성적 차이는 없었으나, 함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nonane, ${\alpha}$-pinene, limonene + ${\beta}-phellandrene$이였으며, 이 중 nonane과 ${\alpha}-pinene$의 경우 전초에서는 각각 7.5%와 14.6%이었으나, 뿌리에서는 각각 24.5%와 31.7%로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 ${\gamma}-terpinene$, germacrene-d, (E,E)-${\alpha}-farnesene$, ${\beta}- eudesmol$의 경우 전초에서는 5%에서 8% 사이로 나타났으나, 뿌리 에서는 1% 안팎의 적은 함량을 보였다. 참당귀와 일당귀를 분석한 결과 줄기와 잎에서 각각 0.068%, 0.127%와 0.153%, 0.243%로 정유의 함량은 일당귀가 더 높았고, 부위별로는 잎이 줄기의 약 2배 정도 높았다. 참당귀 줄기와 잎의 성분으로는 각각 18개, 32개로 잎에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분포되어 있었고,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alpha}-pinene$, myrcene, limonene, germacrene-d, eudesmol and butylphthalide로 잎에서 germacrene-d가 높았고, butylphthalide가 낮은 차이를 보였다. 일당귀줄기와 잎의 휘발성 정유 성분으로는 각각 21개, 32개로 참당귀와 같이 잎에서 더 다양했고, 성분은 ${\gamma}-terpinene$과 butylphthalide로 butylphthalide가 70%에 육박하는 주성분을 차지했다. 그러므로 Angelica gigas와 Angelica acutiloba는 관능적으로 확연히 다른 차이를 느낄 수 있지만, 분석결과로도 전혀 다른 향기성분임을 알수 있었다.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Ethanol Extract)

  • 김아라;이재준;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2
    • /
    • 2009
  • 본 연구는 일당귀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 항산화 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일당귀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r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n-hexane 분획이 $39{\mu}g/ml$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ncimat로 측정한 항산화 지수도 분획 중 n-hexane 분획이 1.7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모든 pH에서 n-hexane 분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변화에 따른 각 분획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는 n-hexane 분획이 87.7%로 가장 높았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의 억제율보다는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과산화물가로 측정한 결과도 n-hexane의 항산화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ethylaceta, chloroform, n-butanol, water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일당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일당귀 추출물의 in vitro 에서 항산화효능의 우수함을 통해 일당귀의 천연항산화제로서 개발 및 활용성을 기대해 본다.

당귀의 종별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the Three Species of Genus Angelica)

  • 유홍섭;박충헌;박춘근;김영국;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3-46
    • /
    • 2004
  • 당귀는 우리 나라는 참당귀 (Angelica gigas), 중국은 중국당귀 (A. sinensis) , 일본은 일당귀 (A.acutiloba)를 각각 같은 용도의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일당귀는 과거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재배되고 있으며, 중국당귀는 ‘97년 이후 종자를 도입하여 재배하였으나 실패하여 농가의 피해가 발생한다. 이들 종의 생산성과 중국당귀의 국내 적응성을 수원 (해발 50 m), 진부 (해발 500 m), 태백 (해발 700 m) 3개지역에서 시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당귀, 일당귀는 3개 지역 모두 정상적으로 생육되고 수확이 되었다. 2. 중국당귀의 생존율은 테백 70.3%, 진부 45.2%, 수원 4%로 수원에서는 7월 이후 고온기에 고사되었다. 3. 중국당귀의 10a당 수량은 태백 160 kg, 진부 127 kg, 수원 8 kg으로 태백, 진부에서는 수확이 가능하였으나 수량이 극히 낮았으며, 수원에서는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4. 중국당귀는 해발 500 m 이하에서는 생존율이 극히 낮으며, 해발 700 m 이상의 높은 지역에서는 생존은 가능하나 생산성이 낮아 국내생산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당귀의 종별 이화학적 성분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Species of Genus Angelica)

  • 이재준;김아라;서영남;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4-100
    • /
    • 2009
  • 식용식물자원의 하나인 당귀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세 종류의 당귀 즉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을 기준으로 조지방 함량은 한국당귀가 가장 높았고, 수분 함량은 일당귀가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중국당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회분과 탄수화물의 함량은 세 시료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유리당은 세 종류 모두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한국당귀 4178.64mg%, 중국당귀 3367.13 mg% 및 일당귀 2952.10 mg% 순으로 한국당귀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르게 나타났지만, 세 종류 모두 arginine, proline, lysin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당귀의 포화지방산은 한국당귀는 capro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일당귀와 중국당귀는 palmit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불포화지방산은 세 종류의 당귀 모두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inolenic acid, o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또한 세 종류의 당귀 모두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비타민 A 함량은 각각 5.10 mg%, 6.32 mg% 및 6.11 mg%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E는 한국당귀에서만 0.47 mg%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 중 K 함량이 세 종류의 당귀 모두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Mg, Fe, Na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분석 결과는 성분의 함량 차이는 있지만 성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사료된다.

당귀에서 발생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의 감염 첫 보고 (First Report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Angelica acutiloba)

  • 곽해련;홍수빈;최현용;박고수;허온숙;변희성;최홍수;김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7권2호
    • /
    • pp.84-90
    • /
    • 2021
  • 2019년 6월 충남 논산의 당귀 재배 농가에서 원형반점, 괴사반점, 황화, 모자이크 등의 증상을 보이는 당귀잎을 채집하였고, 이들 시료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 검경과 감염우려가 있는 바이러스 3종(cucumber mosaic virus, broad bean wilt virus 2,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에 대해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진단을 수행한 결과 TSWV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였다. 당귀 TSWV의 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순수분리하여 5과 28종의 지표식물과 일당귀에 즙액접종하여 기주범위와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TSWV의 3 segment (L, M, S)의 전체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기존에 보고된 TSWV 분리주와 계통분석을 한 결과, 당귀 TSWV 분리주(NS-AG-28)는 논산지역의 머위 분리주(TSWV-NS-BB20)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TSWV는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고 있고 특히 고추, 토마토 등 가지과 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당귀가 TSWV의 중간기주로서 작용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당귀의 바이러스병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of Umbelliferae Plants

  • Kim, Chang-Min;Heo, Moon-Young;Kim, Hyun-Pyo;Sin, Kwan-Seog;Pachaly, Peter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87-92
    • /
    • 1991
  • In order to evaluate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hinese medicine, nine Umbelliferae plants were selected and their restoring activity against dexamethasone-induced disorders, liver protective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mutagenic activity were tested and compared. Angelica dahurica. Angelica acutiloba and Ostericum koreanum showed various activities in these tests at the dose used in this study.

  • PDF

한약재 및 한약 폐잔재를 이용한 기능지 개발에 관한 연구(제 1보) - 황기, 당귀, 인진쑥의 폐잔재를 이용한 기능지 개발 -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paper with herbal medicine and herbal medicine waste(Part 1) -Development of functional paper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Angelica acutiloba and Artemisia capillaris waste-)

  • 김경신;윤승락;노정관;조현진;김병수;김윤근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3호
    • /
    • pp.9-19
    • /
    • 2013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make functional papers by using the waste of herbal medicine such as Astragalus membranaceus, Angelica acutiloba, and Artemisia capillaris as additives, and to evaluate their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manufactured paper. The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herbal medicine. Of those manufactured papers, the functional paper with Artemisia capillaris showed the dramatic decrease in its physical properties. Adding the herbal medicine waste as additives developed the aesthetic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manufactured paper. The paper showing the black pattern on white surface was most favored. Different patterns could be made by changing the size of fibers and the amount of wastes. There was odor emitted from the paper due to the herbal medicine waste, which make the paper to have a potential for the diverse purpose. The herbal medicine waste can be applied to replace weighting agen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aper or used for the fuctional additives, resulting in the reduce of the quantity of a pulp consumed. The paper with 10-20% Angelica acutiloba waste were thought to have the most excellent quality on the process point of view.

Selection of PCR Markers and Its Application for Distinguishing Dried Root of Three Species of Angelica

  • Jin, Dong-Chun;Sung, Jung-Sook;Bang, Kyong-Hwan;In, Dong-Su;Kim, Dong-Hwi;Park, Hee-Woon;Seong, Nak-Sul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1-125
    • /
    • 2005
  • An analysis of RAPD-PCR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with three Angelica species (A. gigas Nakai, A. sinensis (Olive.) Diels and A. acutiloba Kitag) in an effort to distinguish between members of these three species. Two arbitrary primers (OPC02, OPD11) out of80 primers tested, produced 17 species-specific fragments among the three species. Eight fragments were specific for A. sinensis, four fragments specific for A. gigas, five specific for A. acutiloba. When primers OPC02 and OPD11 were used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RAPD-PCR fragments that were specific for each of the three species were generated simultaneously. Primer OPC02 produced eight species-specific fragments: four were specific for A. sinensis, one for A. gigas, and three for A. acutiloba. Primer OPD11 produced nine speciesspecific fragments: four for A. sinensis, three for A. gigas, and two for A. acutiloba. The RAPD-PCR markers that were generated with these two primers should rapidly identify members of the three Angelica species. The consistency of the identifications made with these species-specific RAPD-PCR markers was demonstrated by the observation that each respective marker was generated from three accessions of each species, all with different origins. We also performed the RAPD-PCR analysis with the dried Angelica root samples that randomly collected from marketed and from the OPC02 primer, obtained a A. gigasspecific band and the band were cloned and sequenced.

일당귀의 등숙에 따른 종자 발아 및 생육 특성 (Seed Germination R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ipening Stages in Angelica acutiloba Kitagawa)

  • 이은송;안태진;김용일;박우태;이정훈;김영국;장재기;오명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7-172
    • /
    • 2019
  • Backgrou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belongs to the flowering plant family Apiaceae. Its young leaves are consumed as a vegetable, and its roots have medicinal proper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 acutiloba according to its ripening stages. Methods and Results: The seeds were harvested from a research farm managed by the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2018 and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ir specific gravities. In particular, we studied the effect of harvesting periods and umbel orders on see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s of germination, emergence, and early growth improved a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eds increased. In addition, the germination rates of the seeds harvested in mid July and early Augu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harvested in the other seasons, and the seeds obtained from the first floret had the greatest mass and weight.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by appropriate selection of seeds and harvesting period both of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seed maturity.

GA3 처리 왜당귀의 종자 발아, 유묘 생육 및 유용성분 특성 분석 (Effect of GA3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Useful Component Content of 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awa)

  • 정대희;박홍우;김영기;권해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08-516
    • /
    • 2023
  •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awa]를 대상으로 종자 발아 및 유묘 생육, 유용성분 함량과 관련된 GA3 처리 효과를 분석하여 왜당귀 재배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왜당귀 종자의 수분흡수율은 침지 2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62.07%를 나타냈고, 48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122.1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왜당귀 종자의 적정 발아온도는 10℃에서 25℃로 확인되었으며, 5℃에서는 발아가 진행되지 않았고, 30℃에서는 GA3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유묘 생육은 GA3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양호하였으나 유용성분 함량의 경우 실험구에 따른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약용 및 식용으로 활용성이 높은 왜당귀에 대한 최적 재배와 생산기술 정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