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rylate copolymer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초

환경친화형 수분산성 불소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의한 섬유 표면개질 (Textile Surface Modification by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borne Fluorinated Acrylate Copolymer)

  • 유수영;김정두;문명준;서차수;주창식;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0호
    • /
    • pp.947-953
    • /
    • 2004
  • Waterborne fluorinated acrylate copolymer (WFAC) for surface modification of textile was synthesized from perfluoroalkyl ethyl acrylate, octadecyl 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surfactant and 3,3 methyl-methoxy butanol. The structures of the synthesized WFAC were determinated by FT-IR and $^{19}F-NMR$ analysis. The thermal stability investigated with DSC and TGA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fluorinated acrylate in the copolymer. However, the particle sizes of WFAC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fluorinated acrylate in the copolymer. The surface energies calculated by contact angles of WFAC were in the range of 29.80$\~$13.41 dyne/cm. On the observing SEM of the textile surface treated with WFAC, the textile was swollen and compact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water repellency agent. WFAC synthesized in this study showed a good water repellency.

Poly(n-butyl acrylate-co-methyl methacrylate) and Poly(n-butyl acrylate-co-styrene)/Silicate Nanocomposites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 Park, Yeong-Suk;Chung, In-J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6호
    • /
    • pp.425-430
    • /
    • 2003
  • Two types of poly(n-butyl acrylate) copolymer/silicate nanocomposites have been produced: poly(n-butyl acrylate-co-methyl methacrylate) [P(BA-co-MMA)]/silicate nanocomposites and poly(n-butyl acrylate-co-styrene) [P(BA-co-ST)]/silicate nanocomposites. The P(BA-co-MMA)/silicate nanocomposites shows the exfoliated structures but a P(BA-co-ST)/silicate nanocomposites have intercalated structures, because the BA/MMA comonomer has a higher polarity (e-value in Q-e scheme) than the BA/ST comonomer. The BA/MMA comonomer expanded the interlayer space of the silicate wider than did the BA/ST comonomer. The thermal degradation onset point of the P(BA-co-MMA)/silicate nanocomposites was 43$^{\circ}C$ higher than that of pure P(BA-co-MMA). P(BA-co-MMA)T5%, P(BA-co-MMA)T10%, and P(BA-co-MMA)T20% exhibit 134,302, and 195% increases, respectively, in their storage moduli at -20$^{\circ}C$ relative to the pure copolymer.

Poly(sodium acrylate-co-acrylamide-co-2-hydroxyethyl acrylate)의 제조와 고흡수 특성 (Preparation and Super-Water-Absorbency of Poly(sodium acrylate-co-acrylamide-co-2-hydroxyethyl acrylate))

  • Zhang Yuhong;Deng Min;He Peixin
    • 폴리머
    • /
    • 제30권4호
    • /
    • pp.286-292
    • /
    • 2006
  • Super water-absorbent resins were prepared by inverse suspension copolymerization of sodium acrylate, acrylamide and 2-hydroxyethyl acrylate using N, N'-methylene-bis-acrylamide as cross-linker. For the suspension copolymerization, monohexadecyl phosphate was employed as the dispersing agent, cyclohexane as the dispersing medium and potassium persulfate as the initiator. The dependence of water-absorption capacity on the amount of crosslinking agent, oil/water ratio, degree of neutralizati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copolymer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Furthermore, the swelling kinetics of the super water-absorbent copolymer was carried out. The absorption of the resins is more than 1800 g/g for deionized water and 100 g/g for 0.9% NaCl solution, respectively. The copolymers showed an increased salt resistance and enhanced water retention of soi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물 블렌드의 결정화 거동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Ethylene-Meth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Blend)

  • 성상엽;이종관;이광희;진병석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48-854
    • /
    • 2001
  • 무정형 고분자인 ethylene-methyl acrlate-glycidyl methacrylate 공중합체 (E-MeA-GMA)와 결정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의 블렌드에서 그라프트 반응에 따른 PET의 결정화 거동을 조사하였다. PET와 E-MeA-GMA간의 그라프트 반응 수준을 torque-rheometer, FT-IR, S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른 결정화 거동 변화를 DSC와 광산란 방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라멜라 수준의 결정구조를 소각 X선 산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PDF

(MMA-co-GMA-co-AA)형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도포한 투명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Transparent Film by Coating of Acrylate Copolymer as MMA-co-GMA-co-AA)

  • 김지혜;김문선;홍성철;김병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62-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투명 보호필름에 적용할 수 있는 내구성과 연신성이 우수한(MMA-co-GMA-co-AA) 형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MMA와 AA 간의 중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GMA를 매개제로 선택하였다. GM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분자량과 내구성은 개선되었으나 연신성은 떨어졌고 A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공중합체의 분자량과 내구성은 낮아졌으나 반대로 연신성은 개선되었다. MMA의 함량이 30 g인 조건에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의 내구성과 연신성을 개선할 수 있는 GMA/MMA의 최적 몰 비는 1.6, AA/GMA의 최적 몰비는 1.8이였으며 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과 Tg는 각각 13,300 g/mol, 136.5 $^{\circ}C$였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1.4 g/$m^2$ 도포된 필름의 표면경도는 1 H였으며 5, 15% 연신조건에서 연신성이 모두 양호하였다. 도포량을 4.1-4.6 g/$m^2$으로 높으면 표면경도는 3 H로 개선되었다.

스티렌과 메틸아크릴레이트의 원자 이동 라디칼 공중합에서 중합조건에 따른 중합 특성 연구 (Effect of Polymerization Condition on Atom Transfer Radical Copolymerization Behaviors of Styrene with Methyl Acrylate)

  • 송선자;고영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5호
    • /
    • pp.676-680
    • /
    • 2011
  • 스티렌과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MA)를 원자라디칼이동 중합(atom radical transfer polymerization, ATRP)에서 주요한 중합공정 조건인 투입되는 MA 몰분율, 중합 온도, 중합 시간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A 몰분율이 증가할수록 분자량은 증가하고 중합시간이 3시간일 때 중합용액의 초기 모노머 몰 비와 생성되는 고분자의 조성비가 거의 선형 관계를 갖는다. 중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증가하고, 공중합체의 MA 조성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티렌-MA 공중도 ATRP의 리빙 라디칼 중합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합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크게 증가하고, 특히 $110^{\circ}C$의 고온에서 공중합체 내에 MA 조성비가 크게 증가함을 볼 수 있다.

Poly(dimethylsiloxane-co-N-phenylsiloxazane) 변성 Acrylate Resin의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dimethylsiloxane-co-N-phenylsiloxazane) Modified Acrylate Resin)

  • 강두환;금민우;윤재선
    • 폴리머
    • /
    • 제34권2호
    • /
    • pp.154-158
    • /
    • 2010
  • $\alpha$,$\omega$-Dichlorohexamethyltrisiloxane의 aniline과 고리 반응으로부터 N-phenylcyclotrisiloxazane($D_3^{NPh}$)을 합성하고 이를 hexamethylcyclotrisiloxane$D_3$과 이온 공중합시켜 poly(dimethylsiloxane-co-N-phenylsiloxazane)공중합체(PDMS-NPSOX)를 제조하였다. 이를 chloroethyl methacryalte에 도입하여 PDMS-NPSOX unit가 도입된 아크릴 단량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MMA 및 n-butyl acrylate와 공중합시켜 PDMS-NPSOX가 도입된 삼원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단량체 조성은 생성 공중합체의 $T_g$가 25 $^{\circ}C$가 되도록 선택하여 공중합시켰다. 공중합체에서 PDMS만 도입된 경우 $T_g$가 20 $^{\circ}C$인데 비하여 PDMS-NPSOX unit이 도입됨에 따라 25 $^{\circ}C$로 증가되었으며 접착력도 1.76 N/cm에서 2.23 N/cm로 증가되었다.

고분자 알로이용 고효율 상용화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Compatibilizer for Polymer Alloys)

  • 조창기
    • 공업화학
    • /
    • 제7권4호
    • /
    • pp.757-767
    • /
    • 1996
  •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g-카프로락톤)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것을 폴리카보네이트(PC)/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블렌드의 상용화제로 사용하였다. PC나 ABS와 비상용성인 폴리 알킬아크릴 레이트 주사슬을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이것을 PC/ABS의 계면에 위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1중량부 포함하는 블렌드물은 충격 강도는 물론 파단 인장 강도에서 아주 향상된 값을 보였으며, 1/8인치 시편에서의 충격 강도 향상이 두드러졌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형태학적인 분석 결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존재가 좀더 매끄러운 PC/ABS 계면을 형성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퍼플로오로알킬에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그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유화중합 및 그들의 표면특성 (Emulsion Polymerization and Surface Properties of Perfluoroalkylethyl Acrylate/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s)

  • 윤종국;이정희;김지수;이영희;이동진;김한도
    • 청정기술
    • /
    • 제18권2호
    • /
    • pp.170-176
    • /
    • 2012
  • 플로오로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를 여러 가지 조성의 아크릴 단량체[AA : 에틸 아크릴레이트(EA), 부틸아크릴레이트(BA) 혹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퍼플로오로알킬에틸 아크릴레이트(PFA) 및 그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MA)로부터 유화중합법(유화제 :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노닐페놀에톡실레이트)으로 합성하였다. 아크릴 단량체 중에서 BA를 사용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진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최적량의 단량체 조성(BA: 87 wt%, GMA : 8.7 wt% 및 PFA : 4.3 wt%)에서 얻은 공중합체의 표면에너지/물에 대한 접촉각/methylene iodide에 대한 접촉각은 19.89 mN/m /$103.5^{\circ}$/$78.7^{\circ}$로서 높은 표면활성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은 최적의 아크릴 공중합체는 높은 발수 및 발유 표면 특성을 지닌 코팅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바나듐계 레독스-흐름 전지용 Vinylbenzyl Chloride-co-Styrene-co-Hydroxyethyl Acrylate (VBC-co-St-co-HEA) 음이온교환막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Vinylbenzyl Chloride-co-Styrene-co-Hydroxyethyl Acrylate (VBC-co-St-co-HEA) Anion-Exchange Membrane for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 백영민;곽노석;황택성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86-59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전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용 음이온교환막의 제조를 위하여 vinylbenzyl chloride-co-styreneco-hydroxyethyl acrylate(VBC-co-St-co-HEA)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아민화 및 가교 반응을 통하여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구조확인을 위하여 FTIR, $^1H$ NMR, TGA, GPC 분석을 하였으며, 음이온교환막의 함수율, 이온교환용량, 전기저항, 이온전도도 및 전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의 효율을 측정하였다. 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 전기저항, 이온전도도는 각각 1.17 meq/g, $1.9{\Omega}{\cdot}cm^2$, 0.009 S/cm이었으며, 전바나듐 레독스-흐름 전지 효율 실험 결과 충 방전효율, 전압효율 및 에너지효율은 각각 99.5, 72.6, 72.1%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