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phosphatase staining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7초

Piperlongumine suppressed osteoclastogenesis in RAW264.7 macrophages

  • Jin, Sun-Mi;Kang, Hae-Mi;Park, Dan-Bi;Yu, Su-Bin;Kim, In-Ryoung;Park, Bo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4권3호
    • /
    • pp.89-95
    • /
    • 2019
  • Piperlongumine (PL) is a natural product found in long pepper (Piper longum).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L are well known, and it has been used for pain, hepatoprotection, and asthma in Oriental medicine. No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PL on bone tissue or bone-related diseases, including osteoporosi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for the first time the inhibitory effects of PL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bone resorption, and osteoclastogenesis-related factors in RAW264.7 macrophages stimulated by the receptor activator for nuclear factor-${\kappa}B$ ligand (RANKL). Cytotoxicity was examin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were confirmed by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staining and pit formation analysis. Osteoclast differentiation factors were confirmed by western blotting. PL exhibited toxicity in RAW264.7 macrophages, inhibiting osteoclast formation and bone resorption, in addition to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osteoclastogenesis-related factor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associated factor 6 (TRAF6), c-Fos, and NFATc1, in RANKL-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L is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and it serves a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various bone diseases.

인도메타신투여가 개의 하악두에서 COX-2와 IGF-I의 발현과 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omethacin on distribution and expression of COX-2 and IGF-I in the mandibular condyle of growing dogs)

  • 남종현;이기수;강윤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51-360
    • /
    • 2005
  • 이 연구는 $PGE_2$ 생합성 억제제인 인도메타신의 투여 시 성장기 개의 하악두 연골에 나타나는 cyclooxygenase-2 (GOX-2)와 insulin-like growth factor 1(IGF-1)의 발현과 분포를 관찰하여 인도메타신이 하악두 연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생후 12- 3주된 잡견 8마리를 4군으로 구분하였다 통상적 복용량인 인도메타신 2mg/Kg/day을 각각 7일과 14일간 투여한 군 과량인 8mg/Kg/day을 14일간 투여한 군과 무처치군인 대조군으로 구분하였으며. 하악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하악두는 $5{\mu}m$ 두께의 절편을 만들어, H-E 중염색, COX-2 면역염색 IGF-1 면역염색을 시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검경하였으며, 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TRAP) 염색 후 파연골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도메타신은 하악두 연골의 증식대에서 COX-2와 IGF-1의 발현과 분포를 억제시켰으며, 인도메타신의 투여기간에 비례해서 파연골세포 수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1) IGF-1의 발현과 분포는 인도메타신의 투여 양과 기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인도메타신의 투여는 하악두 연골에서 COX-2와 IGF-1의 발현과 분포를 억제하고 파연골세포의 수를 감소시켜 하악두 성장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Pyrroloquinoline quinone이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roloquinoline Quinone on Osteoclast Generation and Activity)

  • 고선일;한동호;김정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3호
    • /
    • pp.329-336
    • /
    • 2005
  • 본 연구는 superoxide의 제거물질로 알려진 pyrroloquinoline quinone (PQQ)이 파골세포의 분화 및 성숙한 파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Superoxide를 인지하는 방법인 nitroblue tetrazolium (NBT)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PQQ가 HD-11 세포가 생성한 superoxide를 제거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HD-11세포는 닭 myelomonocytic 세포주로써 1,25-dihydroxyvitamin $D_3\;[1,25(OH)_2D_3]$ 처리시 tartrate-저항성 산성인산분해효소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의 활성을 나타내는 등 파골세포의 특성을 지니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 HD-11세포에서 TRAP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PQQ는 NBT의 환원을 감소시켰으며 1,25(OH)2D3에 의해 유도된 TRAP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PQQ가 닭 골수세포에서 TRAP 양성 다핵세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도 관찰한 결과 20 ${\mu}M$의 PQQ는 TRAP 양성 다핵세포의 형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닭 파골세포를 상아질 절편에서 배양하면서 20 ${\mu}M$의 PQQ를 처치한 경우 파골세포에 의한 상아질 흡수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PQQ가 superoxide의 제거물질로 작용하여 파골세포의 분화 및 활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생리적 혹은 병적 골흡수에 억제적인 작용을 할 물질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BCF1 생쥐 배반포기 유래 배아간세포 작성에 관한 연구 (Maintenance and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ial Embryonic Cell Lines from Mouse Blastocysts)

  • 이재원;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5-244
    • /
    • 1995
  • 생쥐 배반포기 내부세포괴를 체외에서 분리 배양하여 분화가 억제된 내부세포괴 유래 증식세포를 미분화 상태에서 무한히 증식할 수 있는 전능성을 지닌 배아간세포(embryonic stem cell : ES cell)로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BCF1 생쥐 배반포를 10% FCS, 0.1mM nonessential amino acid, 0.1mM sodium pyruvate, 0.1mM 2-mercaptoethanol과 1,000U/ml LIF(세포분확억제인자)가 첨가된 DMEM 기초배양액에 mitomycin-C를 처리한 STO 단층배양세포에서 배양하여 분화가 억제된 내부세포괴 유래의 배아간세포를 분리하였다. 배반포를 STO 단층배양세포에서 4일간 배양하여 내부세포괴세포를 신선한 STO 단층배양세포에서 약 5일 간격으로 반복하여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5차 계대배양후 뚜렷한 분화 양상없이 배양된 미분화 세포군에 대한 alkaline phosphatase (AP)염색과 체외분화능 검색을 실시한 결과 적색의 미분화 AP 양성반응이 확인되었으며 체외에서 배분화 형성이 유도됨에 따라 배양된 배아간세포주의 다능성 배아간세포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흰쥐에서 홍국발효 참당귀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s of Extracts of Monascus-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Rats)

  • 김영완;김태훈;심소연;안희영;박규림;김정욱;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67
    • /
    • 2018
  •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흰쥐에 Monascus purpureus균주로 발효시킨 참당귀 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체중 및 내장지방의 감소, 혈중 및 조직 내 중성지질 및 과산화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FAG섭취로 인해 체중증가 및 내장지방 축적 비율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간 기능 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ST, ALT, LDH 및 ALP 활성 변화는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FAG를 섭취함으로서 혈중 중성지질 농도가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중 leptin 호르몬 함량 또한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고지방 식이 섭취로 인한 각 조직 과 혈청 내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C군에 비해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FAG10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ematoxylin과 eosin 염색 및 Oil red O 염색을 통해 FAG를 섭취함에 따라 간장 내 지질침착도의 감소를 확인였으며, 부고환 주변 지방 조직의 hematoxylin과 eosin 염색으로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황금 추출물이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utellaria radix Extract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 신정민;박찬경;신은주;조태형;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74-679
    • /
    • 2008
  • 황금 추출물이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수준에서 관찰하고자 하였다.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mouse calvaria 유래의 MC3T3-E1 osteoblastic cells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률,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 골석회화 형성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미분화된 파골세포 전구세포로부터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murine macrophage 유래인 Raw 264.7 cells를 이용하여 M-CSF와 RANKL을 처리하여 파골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였고, TRAP에 양성인 다핵세포의 형성을 관찰하여 황금추출물이 파골세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황금 추출물이 MC3T3-E1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MTT assay로 측정한 결과, MC3T3-E1 세포는 처리한 황금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mu}g/mL$ 농도에서 130.4%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금 추출물이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범위($0.01-1{\mu}g/mL$)에서 MC3T3-E1 세포의 ALP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ALP activity가 증가하였으며 $1{\mu}g/mL$ 농도에서 152.0%의 ALP 활성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황금 추출물의 최적 작용 농도 $1{\mu}g/mL$에서 골석회화 형성능을 측정한 결과, 배양 시간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배양 20일째는 대조군에 비해 223.3%의 석회화 형성능을 나타내었다. 황금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황금 추출물이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범위($0.01-10{\mu}g/mL$)에서 TRAP staining한 결과, 황금 추출물은 $0.0{1\mu}g/mL$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파골세포 분화를 50% 이상 감소시켰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TRAP 양성 세포가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황금 추출물이 골다공증을 포함한 골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Poly-glycolic Acid 배양판에서 인간 조골세포의 성장 (The Growth of Human Osteoblasts in Culture Dishes Made with Poly-glycolic Acid Containing Fetal Bovine Serum)

  • 최재원;김용하;문영미;김연정;최식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612-615
    • /
    • 2006
  • Purpose: An ideal bony construct can be divided into two broad categories: (1)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biodegradable, biomimetic scaffolds that provide correct signals to induce osteogenesis: (2) the identification of an ideal source of osteoprogenitor cells to seed onto the scaffold. We selected poly-glycolic acid as a synthetic scaffold among various scaffolds because of these properties. Meanwhile, culture medium is supplemented with fetal bovine serum(FBS): such serum contains essential elements such as proteins, hormones, growth factors and trace minerals. The composition of FBS can be ideal for various cell growth in vitro. We supposed that we could enhance bone growth at a fractured site if FBS was mixed with synthetic scaffold-PGA. Methods: We cultured human osteoblasts in five different prepared culture dishes made with FBS and PGA mixture. The mixtures contained different ratio of FBS, that is, 0, 1.5, 3, 7, and 10%. We cultured human osteoblasts for seven days and examined the growth and attachment of the cells at the 1st, 3rd, 5th, 7th days, respectively. Results: In the mixture of 0% FBS and PGA, the growth of the cells lasted for one day. In 1.5 and 3% FBS and PGA, the growth of the cells was examined at the 3rd day, then minimally declined at the 5th and 7th days. In 7% FBS and PGA, the growth of the cells lasted for 5 days, then declined at the 7th day. In 10% FBS and PGA, the growth of the cells lasted for 5 days, then declined at the 7th day. Staining status of the osteoblasts with alkaline phosphatase showed pale pink color in 0% FBS and PGA groups, but bright pink color in 1.5, 3, 7, 10% FBS and PGA groups, especially in 3%, 7%. Conclusion: In consequence, the growth of human osteoblast was higher in the mixture of FBS and PGA groups than in pure PGA ones. It is assumed that the mixture of FBS and PGA affects the proliferation of human osteoblasts.

유성견에서 교정적 치아이동에 따른 치주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periodontal tissue after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young adult dogs)

  • 강남용;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59-568
    • /
    • 1997
  • 교정력에 의한 치주조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성장중인 유성견에서 단기간의 교정력이 가해진 직후와 보정기간 동안 일어나는 치아와 골조직의 변화양상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후 4-6개월된 유성견 3마리를 이용하여, 각 실험동물의 하악 좌측 견치 와 제1대구치는 실험군으로, 우측 견치 와 제1대구치는 대조군으로 하였다. 하악견치와 제1대구치에 치관사이에서 최초 교정력이 200gm이 되도록 0.018"x0.022" S.S closed coil spring(Dentarum Co)의 길이를 조절하여 치아에 결찰시키고 장치는 1주간 활성화기간을 갖은 후 14일, 28일의 보정기간을 거쳐 희생시켜 하악골을 절제하여 통법에 따라 H-E염색군, 연마표본군, ALP염색군, TRAP염색군등으로 나누어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력을 종료한 직후 견인측 치주인대 폭경이 대조군보다 더 증가된 상을 보이고, 반대로 압박측은 폭경이 감소된 소견을 보이며 치주인대의 섬유들이 치축에 수직으로 압축되며 초자양 변성이 관찰되었다. 대조군에서 관찰되는 다수의 규칙적인 배열을 보였던 조골세포가 견인측에서는 간혹 관찰되었다. 2. 교정력 종료후 14일 보정기간 경과군 치주인대내 섬유아세포들이 증식되어 초자지질대가 회복되는 소견이 관찰되었고 견인측 치주인대의 폭경이 교정력을 종료한 직후군보다 감소하였으며, 소수의 ALP(+) 조골세포와 함께 신생골형성도 관찰되었다. 압박측 치주인대의 폭경은 교정력을 종료한 직후군보다 다소 증가하였으며 골흡수도 증가되었다. 3. 교정력 종료후 28일 보정기간 경과군 치주인대섬유는 정상적으로 회복되어 대조군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견인측 치조골내 다수의 ALP(+)조골세포와 활발한 신생골형성이 관찰됨과 더불어 압박측 치조골은 다수의 TRAP(+)파골세포와 왕성한 골흡수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정력을 7일간 가한 직후 유리질화가 관찰되었고 교정력을 종료후 28일 보정기간 경과군에서 압박측에서는 파골세포 견인측에서는 조골세포의 활성과 함께 각각에서 왕성한 골흡수와 신생골형성이 관찰됨을 알 수 있다.

  • PDF

골 조직 치유과정에서 Collagen 막의 효과 (The Effect of Fibrillar Collagen on Bony Healing of Calvarial Defect in Rats)

  • 김재붕;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355-373
    • /
    • 1999
  • Many researches have been reported that collagen as cellular stroma, matrix of grafting materials, mediator of agent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healing process invivo, but the responses in vivo were seen various. The goal of this experiment is to assess the effect of collagen on bony healing, through histological evaluation of implanted collagen on the calvarial defect in rats. 2-month-old Sprague-Dawley, 24 rats were used and 12 rats assigned to each group of control and test. Defect of 5mm in diameter was made on the calvarial bone with trephine bur. Following thorough saline rinse, defect of control group was left in empty and that of experimental group was filled with fibrillar collagen($COLLATAPE^{(R)}$, COLLA-TEC. INC. U.S.A.) soaked in saline. 3 rats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at 3, 7, 14, 21 days after operation respectively, and the tissue blocks were prepared for light microscope with H-E for evaluation of overall healing, with TRAP(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 for evaluation of osteoclastic activity and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macropha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control group, inflammatory responses were disappeared at day 14,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flammatory infiltrates were reduced at day 21. Thu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evere soft tissue inflammation than control group. 2.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slight appositional growth at day 7 and gradual bony growth to 21th day. But, complete bony healing of the defect was not show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y healing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3. Specific response of macrophages for implanted collagen was observed at day 14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although fibrillar collagen caused inflammation of soft tissue during initial healing period, inflammatory responses by fibrillar collagen didn't inhibit bony regeneration and implanted collagen was biodegradaded by macrophages. Thus, we expect that fibrillar collagen can be used for useful mediator of graft materials or growth factors.

  • PDF

골재생 과정에서 혈소판유래성장인자-BB와 덱사메타존의 병용 효과 (The Effects of Dex and PDGF-BB on Bony Healing of Calvarial Defect in Rats)

  • 이재목;박진우;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573-584
    • /
    • 2003
  • Bone remodeling results from the combined process of bone resorption and new bone formation which is regulated in part by some of Dexamethasone related proliferation & mineralization of cultured bone cell and polypeptide growth factors such as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PDGF), which has been known to be an important local regulator of bone cell activity and participate in normal bone remodeling. To evaluate the effects of Dex and PDGF on bony healing of calvarial defect in rats, 10 ng/ml PDGF were applied on P group and 10 ng/ml PDGF and $10^7$ M Dex were applied PD group. 4 rats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at 7, 14. 21 days after operation respectively, and the tissue blocks were prepared for light microscope with H-E for evaluation of overall healing, with TRAP(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 for evaluation of osteoclastic activity and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macropha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all group, healing aspects were progressed from 7 days to 21 days in soft and bony tissue, but complete repair were not observed in bony defect 2. PDGF and control group were showed similar bony healing aspect , but bony healing in combination of PDGF-BB and Dex were observed slower aspect compared to PDGF and control group from early healing times.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activities of osteoclast and macrophages in bony healing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PDGF were not influenced on bony healing of defect and combination of PDGF-BB and Dex were showed slower healing through early healing times. it was considered that Dex compared to PDGF did influenced on early hone formation factors in healing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