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fraction

검색결과 1,798건 처리시간 0.023초

어유 및 식물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가 간장,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정승용;김성희;김한수;최운정;김희숙;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8-425
    • /
    • 1991
  • S-D계 흰쥐에 중성지방 혈증 유발을 위해 12% 야자종실유와, 시험유지로서 올리브유, 돈지(豚脂),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각각 3%씩 급여하여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및 뇌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바, 간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SFA의 함량이 많고 MUFA는 적었으며, 중성지질에서는 MUFA의 함량이 SFA보다 약간 많은 편이었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SFA 함량은 적고 MUFA는 월등히 많았다. 각 획분 모두 PUFA의 함량은 적었으며 PUFA중 $C_{18:2}(n-6)$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n-3계 PUFA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 비교적 많은 반면 n-6계 PUFA는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 많았다. 뇌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SFA의 함량은 적은 반면 PUFA의 함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n-3계 PUFA로서는 $C_{20:5}와\;C_{22:6}$이 n-6계 PUFA로서는 $C_{18:2}$가 주요 지방산을 이루고 있었다.

  • PDF

왕벚나무 수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히알루론산 합성효과 (Hyaluronic Acid Synthesis Effect of Prunus yedoensis Bark Ethyl Acetate Fraction)

  • 송지현;김명기;곽수민;김용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51-259
    • /
    • 2024
  • 피부장벽은 외부 자극과 체내의 수분 손실을 막아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에서의 hyaluronic acid (HA)는 hyaluronic acid synthase (HAS) 효소에 의해 합성되어 천연보습인자로서 기능을 하며, 수분 보존 및 장벽 기능을 유지하는 데 관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왕벚나무 수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Prunus yedoensis bark ethyl acetate fraction, PYBEAF)이 HaCaT 세포에서 HA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HaCaT 세포에서 PYBEAF 처리를 통해 HA 합성량을 ELISA를 통해 확인하였다. HAS-2, HAS-3 mRNA 발현 수준을 qRT-PC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western blotting을 통하여 단백질 발현 수준 및 신호전달경로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YBEAF가 MAPK와 CREB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여 HAS-2 합성을 통해 HA 생성량을 증가시켰다. 이는 PYBEAF가 피부 보습 및 수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A 합성을 증가시켜 장벽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품종 및 입도별 보리 맥강의 기능성분 함량 (Functional Components of Barley Bran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and Cultivars)

  • 백소윤;이윤정;장귀영;김민영;오남석;이미자;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171-1177
    • /
    • 2017
  • 보리 도정 시 발생되는 부산물(맥강)의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5가지 품종의 쌀보리 보석찰(유색 찰성), 흰찰쌀(찰성), 다한(메성), 흑광(유색), 흑누리(유색)를 23%로 도정한 다음 입도별(<60 mesh(fraction I), 60~100 mesh(fraction II), >100 mesh(fraction III)로 분획 후, 기능성분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fraction II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한과 흑누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라비노자일란은 fraction III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여 입도가 큰 분획물을 이용하는 것이 아라비노자일란 고함유 분획물을 얻을 수 있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는 모든 품종에서 fraction II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항산화력과 라디칼 소거능 역시 fraction II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석한 모든 기능성분의 함량이 높았던 fraction II는 보리의 겨층 부분과 배유층 부분이 적절히 혼입된 분획물로 판단되기 때문에 맥강의 기능성 식품 소재화를 위한 맥강을 선정할 때 fraction II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도정 부산물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품종 및 입도별 분류를 통해 유용성분이 고함유되어 있는 층을 얻고, 이를 활용한 식품 기능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부분 가수분해된 수용성 키토산의 제조와 그 항균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Partially Hydrolyzed Water-soluble Chitosans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 김천호;이응석;함영태;김병용;손태일
    • 공업화학
    • /
    • 제10권1호
    • /
    • pp.19-23
    • /
    • 1999
  • 아질산염을 이용한 키토산의 부분가수분해 반응에서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서 탈아세틸화도는 감소하였으며 가수분해된 각 fraction에서의 탈아세틸화도는 50% 이하로 확인되었다. GPC를 이용하여 이들 각 유도체의 수평균분자량을 확인한 결과, 물-메탄올에 의한 침전물은 6000에서 4000의 분자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메탄올-아세톤에 의해서는 200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 다분산도는 1.7 이하로 분자량 분포가 좁은 분해물을 얻을 수 있었다. 각 fraction 별로 분자량에 따른 항균효과를 E. coli HB 101과 Bacillus subtilis PP 2에 대해서 시험한 결과 분자량이 5100인 fraction B($H_2O:MeOH=1:5$)가 가장 우수하였고, 모든 시료에서 그람양성균인 Bacillus subtilis PP 2에 대한 항균능이 그람음성균인 E. coli HB 101에 비해 우수하였다.

  • PDF

Effect of heat treatment of digestion-resistant fraction from soybean on retarding of bile acid transport in vitro

  • Han, Sung-Hee;Lee, Seog-Won;Rhee, Chul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2호
    • /
    • pp.149-155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heat effect of digestion-resistant fraction (RF) from soybean on retarding bile acid transport in vitro. The RFs from soybean retarded bile acid transport. A raw, unheated RF of soybean (RRF-SOY)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heated RF of soybean (HRF-SOY). The RS1 which physically trapped in milled grains and inaccessible to digestive enzyme after 18 hrs incubation level of content in RRF-SOY was found to be as high as 24.1% and after heating the RS1 of HRF-SOY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16.8%.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RF from soybean was altered after heat treatment. The RFs from soybean were characterized by peak at diffraction angles of $12.0^{\circ}$ and $20.0^{\circ}$ corresponding to RS content. Cellulose contents of RRF-SOY was 5% higher than that of HRF-SOY and pentosan contents of RRF-SOY was 5% higher than that of HRF-SOY, too. Whereas the hemicellulose content of RRF-SOY was 13% lower than HRF-SOY.

인삼 분획성분들이 고지방식이에 의해서 유도된 비만 Rat에서 혈장, 지방조직 및 변 Steroids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Fraction Components on Plasma, Adipose and Feces 1 Steroids in Obese Rat Induced by a High Fat Diet)

  • 배만종;성태수;최청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404-415
    • /
    • 1990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te the effect of ginseng fraction component (ginseng extract solution, GES; ginseng protein, GP; ginseng saponin, GSA; ginseng residue, GR) upon hyperlipidemia and fatty liver induced by high fat administration. In doing so, the serum, liver and epididymal adpoid tissue have been examined for lipid components level and lipoprotein fraction. Feces bile acid and neutral sterol excretion have been also measured. 1'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erum, liver, epididymal lipid components of GP and GSA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group. 2. During the feeding experiment, VLDL and LDL increase while HDL decrease in all group. However the degree of VLDL and LDL increase and HDL decrease were signficantly small in GP and GSA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In the excretion of bile acid and neutral sterol, all experiment group showed increased excretion in the comparison of control group.

  • PDF

몇 가지 생약재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Ethanol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Fraction for Several Korean Medicinal Plant Hot Water Extracts)

  • 김영언;이영철;김현구;김철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1-144
    • /
    • 1997
  • 국내산 재배 생약류 28종 중 열수 추출물에서 항산화력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된 작약, 목단, 황금, 두충, 시호 그리고 산수유의 열수 추출물 6종을 냉동건조한 후 70% ethanol로 용해하여 ethanol 가용성 획분(ESF)과 ethanol 불용성 획득(EIF)으로 분획하였다. 이 분획물들을 60% linoleic acid에 3,000ppm씩 가한 후 35$^{\circ}C$의 항온기에서 저장하면서 BHA 첨가구와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이 결과 작약가 항금의 ESF는 유도기간이 각각 12일과 9일인데 반해 BHA 첨가구는 9일로 나타나 산화 안정성이 더 높거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6종의 생약류의 ESF는 EIF보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발아중인 대두콩에서의 Lipoxygenase의 국재(局在) (Localization of Lipoxygenase in Germinating Soybeans)

  • 송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41-445
    • /
    • 1987
  • 발아중인 대두콩에서의 lipoxygenase의 세포내 위치를 차별 원심 분리법과 밀도 구배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차별 원심 분리법을 사용하였을때, lipoxygenase활성은 거의 supernatant fraction에서 나타났으며, 1.5%의 활성만이 particulate fractions에서 나타났다. 밀도 구배법에서는 lipoxygenase와 acid phosphatase의 활성이 1.19, 1.23, $1.25g/cm^3$의 높은 밀도들에서 일치하였으며, 이것은 발아중 가수분해되는 단백질체내에 이 효소가 국재되어지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다른 세포내 소기관인미토콘드리아, ER, 그리고 glyoxysomes에 lipoxygenase가 존재한다는 증거는 보이지 않았다.

  • PDF

초유 유청분획의 EL-4 세포 증식 효과 (Effect of Colostral Whey Fraction on the Proliferation of EL-4 Cell)

  • 하월규;원도희;양희진;황경아;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4-249
    • /
    • 2005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lstein colostrum peptide fraction on proliferation of immune cell, polypeptide fractions were separated from acid whey into 3 fractions depending on molecular weight by ultrafiltration: Fraction I, which contains the polypeptide larger than 10,000 Da, Fraction n, which contains the polypeptide ranging from 1,000 Da to 10,000 Da and Fraction III, which contains the polypeptide smaller than 1,000 Da. EL-4 cell (murine T lymphoma cell) was used to evaluate immune enhancing effect of each fraction from Holstein colostrum. Fraction n showed the highest proliferative effect of the colostrum whey fractions on EL-4 cell at 1mg/mL compared with whole whey and other fractions and this proliferative activity was shown in dose dependent manner. Fraction n showed the highest proliferative effect on PMA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stimulated EL-4 cell. Heated Fraction n showed similar effect to native one on proliferation of both EL-4 cell and PMA stimulated EL-4 cell.

Effects of Dietary Fat Sources on Occurrenc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trans Fatty Acids in Rumen Contents

  • An, B.K.;Kang, C.W.;Izumi, Y.;Kobayashi, Y.;Tanak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22-226
    • /
    • 2003
  • The effects of dietary sources of C18:2 n-6 or C18:3 n-3 fatty acids on the occurrenc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time-dependent changes of free fatty acid fractions in rumen contents were investigated. Sheep (n=4) fitted with rumen fistula were used in a 44 Latin square design wxith each 14 d period. Sheep were fed one of four diets consisting of grass hay and concentrates in a ratio of 70:30. Dietary treatments were 100% concentrates (served as the control), and concentrates were replaced by safflower seed at 30% (SFS), safflower meal at 18% - safflower oil at 12% (SFO), and safflower meal at 18%-linseed oil at 12% (LNO). At the end of each experimental period, rumen contents from each sheep were collected before feeding and at 1, 3, 6 and 12 h after feeding. The levels of cis-9, trans-11 CLA in free fatty acid fraction were considerably in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relative to the control, but not significantly. The increase in cis-9, trans-11 CLA was slightly higher in SFS and SFO groups than group fed diet containing linseed oil. The level of cis-9, trans-11 CLA in free fatty acid fraction was reached to the maximum value at 1hr after feeding and, thereafter gradually decreased to near the value before feeding. The generation of trans-11 C18: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reated groups than that of control. The level of trans-11 C18:1 was linearly increased after feeding of experimental diets, reaching the maximum value at 3 h. Feeding of diets containing polyunsaturated fats to sheep resulted in a marked increase in the levels of trans-11 C18:1 and a slight increase of CLA in free fatty acid fraction of rumen contents. Our results support that endogenous synthesis of CLA from trans-11 C18:1 may be involved the primary source of CLA in dairy product. (Asian-A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