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criteria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1초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에 대한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의 논의 (A discussion from a multi-dimensional curriculum perspective on how to instruct the computational estimation of addition and subtraction)

  • 도주원;백석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55-26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의도-작성-실행된 교육과정이라는 일련의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초등 수학의 연산 중 기본이 되는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 방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실행된 교육과정에서 출발하여 작성-의도된 교육과정의 상향식 피드백 방식으로 덧셈과 뺄셈의 어림셈 지도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 면에서의 쟁점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과학영재의 선발과 과학수행과의 관련성 연구: 지구과학의 사례 (A Study of Exploring Relation between Talent Search Procedure and Scientific Experiment Designing of the Gifted : A Case of Earth Science)

  • 김희수;신명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43-60
    • /
    • 2006
  • 과학영재교육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영재교육의 형성적 평가라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선발과정에서 얻어진 성취도검사자료, 구술시험, 창의력 검사, 문제해결능력검사 결과와 학생들이 입학후의 과학수행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과학영재 특히 지구과학반 7학년과 8학년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과학탐구의 기본적인 요소인 실험설계능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실험설계능력으로 나타난 실제적인 과학 활동 수행의 결과가 선발과 어떤 관계를 갖는가를 알아봄으로써 과학영재프로그램의 재조명을 꾀하고자 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언플러그드 활동 중심 로봇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nplugged Activity-centered Robot for Improv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 홍지연;김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41-449
    • /
    •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초등학교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실과 교과의 한 단원으로 구성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내용은, 정보 윤리,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컴퓨터과학의 원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교수 학습 방법으로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활동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 교사들은 적합한 언플러그드 활동 자료의 부재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기존 자료가 성취기준 달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 단순한 놀이 교육이 많아 컴퓨팅 활동과 연계되지 않는 점 등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지적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의 성취기준으로 제시된 기본 제어구조는 물론 센서를 활용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는 언플러그드 활동 중심의 로봇을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수업을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문제해결 지도의 개선점과 개선 방향 -Polya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ing on Polya's Problem Solving -)

  • 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25
    • /
    • 2018
  • 학교 수학에서 문제해결력의 신장은 수학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력을 길러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이 수학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 수학과 목표에 제시한 문제해결 관련 내용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를 조사하고,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각 학년군의 5개 영역별 문제해결의 성취기준과 이를 반영한 수학 교과서의 문제해결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수학과 목표에서 문제해결의 용어 사용은 제1차 교육과정부터이고, 문제해결 교육은 제4차 교육과정에서 시작하였다. 그 후 제6차 교육과정에서 2006 개정 교육과정까지는 활발하다가 지난 교육과정에서는 소홀해졌는데, 현재 교육과정의 초등 수학 문제해결 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개선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향기와 조명을 사용한 불면증 완화 시스템 구성의 사례를 통한 공학 교육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Engineering Eduaction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System for the Mitigation of Insomnia Using Aromatic Substance and Lighting)

  • 정성주;이진유;서정은;장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3-50
    • /
    • 2019
  • 대학 졸업 인증 기준으로 전자공학 전공에서 졸업작품 구성과 구성 결과에 대한 논문 작성에 관련된 일련의 교과과정을 3학기 동안 진행한 향기와 조명을 사용한 불면증 완화 시스템 구성 결과를 통해 이루어진 공학 교육의 실천 방법에 대한 구체적 예를 제시한다. 시스템 구성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들의 해결 방법과 의사 전달 및 결정 방법을 팀 단위로 체득하면서 이루어진 학습 성취 과정의 체계적 구성을 제안한다. 또한 공학 지식 습득과 함께 이루어진 전공 과정의 성취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고, 교과과정의 학습성과 성취도 측정 결과에 대한 공학문제 수준설명(Level Descriptor)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Strategic Globalization Performance of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YANG, Hoe-Chang;CHU, Wujin;HWANG, Hee-Joong;YOUN, Myoung-Kil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59-6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for other journals as well a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istribution science research by confirming the globalization performance of the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JDS), the main journal of KODIS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total of 863 papers published in JDS from 2011 to 2021 searched by scienceON were divided into 4 periods and analyzed under the headings of submission system, standardity, collaboration, and degree of achievement of publication goals. SPSS 24.0 and R 4.1.1 package were used to perform the publication frequency analysis, crosstab-analys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In addition, trend analysis with weight applied to each word was perform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English-written papers, which is the indicator of a journal's starndardity,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ratio of overseas authors, which is the indicator of collaboration,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It was confirmed through keyword trend analysis by period and LDA topic modeling results - which were weighted to confirm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journal's publication goal - that the articles published by the journal has been in agreement with monthly research topic proposed by JDS. Conclusion: By examining the five criteria for globaliz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JDS's efforts for globalization are achieving significant results and providing effective directions for other academic journals. However, in order for JDS to become a top academic journal, it was suggest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system for collaborative research by domestic and foreign authors, as well as to provide a clear definition for the monthly research topics and classification of sub-topics.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Gender)

  • 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0-9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과학교수법 성취도와 과학수업능력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라서 과학 수업을 평가할 때 적용하는 평가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P교육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88명에 대하여 2019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88명의 학생들은 3개 학과에 재학 중이며, 남학생 32명, 여학생 56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88명의 학생들은 '초등과학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로 강의 초기에 학생들에게 배포된 강의계획서에서 예고된 과학수업실기 평가를 받았다. 과학 수업실기 평가는 동료들에 의한 다면평가의 형식으로 수행되어 평가점수가 부여되었으며, 과학학업능력은 '초등과학교수법'의 정기고사에서 학생들이 획득한 점수로 부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을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하여 과학수업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초등과학교수법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해서 '초등과학교수법'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초등 과학교수법 성취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남·여 모두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초등과학교수법과 관련된 이론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초등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도 함께 작동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기 때문에 추후 이러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평가준거로 활용된 요소를 분석한 결과 남·여 초등예비교사 모두 수업자의 목소리 톤, 말투 등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남·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평가에 있어서 수업자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초등학생의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 수업을 위한 세부역량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ying Detailed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resentation)

  • 서웅;안성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31-139
    • /
    • 2019
  • 2019년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은 모든 초등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필수과목이 되었다. 하지만 아직 어떤 식으로 수업을 진행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낯설어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핵심이 되는 컴퓨팅 사고력 중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각각의 의미, 세부역량과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예시수업을 통해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논문의 전체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들에서 데이터 관련 역량의 의미, 세부역량 및 성취기준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예비조사를 진행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FGI와 폐쇄형 질문을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전문가들의 검토의견을 반영한 본 조사의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둘째, 위의 결과로 만들어진 설문문항을 컴퓨터교육 전공 박사, 박사과정, 소프트웨어교육 담당 교사 및 소프트웨어교육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타당도, 안정도, 신뢰도를 검증받았다. 셋째, 그 결과 개발된 세부역량과 성취기준 중 '수집방법 선택-문제 상황에 따라 수집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의 의미 탐색-분석된 데이터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안다.', '다양한 표현방법 활용-다양한 표현 도구를 사용한다.'를 수업목표로 하여 다섯 차시의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이 때 교육,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위해 백워드 2.0 설계모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데이터 수집, 분석, 표현의 세부역량과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는 초등학교에서 데이터 관련 수업을 계획함에 있어 어떠한 방향으로 수업을 하면 좋을 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을 세울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퍼지 의사결정법에 의한 주암호 수질관리 전략 평가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Evaluation of Juam Lake by A Fuzzy Decision-Making Method)

  • 이용운;황윤애;이성우;이병희;최정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99-712
    • /
    • 2000
  • 주암호는 광주 전남지역의 주민생활이나 공 농업활동에 기반이 되는 중요한 수자원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주암호에 유입되는 오염물질로 말미암아 호수의 수질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주암호 수질개선 전략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호수의 수질개선 전략으로 하나가 아닌 다수의 대안이 개발될 경우에 대안별 평가 및 최적순위 결정을 위해서는 목표수질의 달성도, 사회 기술적 적용성 및 경제성 측면을 고려한 평가기준들이 선정된다. 그러나 평가기준들의 수가 많고 각 기준이 추구하는 목적이 서로 상충될 때 의사결정은 어려워진다. 특히, 각 평가기준에 대한 대안별 기준값이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경우에는 의사결정이 더욱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불확실성의 정도가 크면 클수록 의사결정은 점점 어려워지는데, 각 기준값의 불확실성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부족, 미래 상황의 불확실 또는 전문가 지식의 한계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권자가 불확실성 하에서도 호수의 수질개선 대안들을 평가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퍼지 의사결정법이 보여질 것이다. 이 방법은 퍼지이론을 응용하여 대안별 평가기준 값의 불확실성 정도를 해석하고, 이를 그대로 의사결정 과정에 반영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는 방법들에 비해 합리적이고 현실성있는 최적의 수질관리 대안이 선정될 수 있다.

  • PDF

간호사의 근무부서 이동이 직무동기,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department rotation.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 유문숙;김용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5-235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a basic material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nurses by studying correlations among inter-department rotation,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study 159 nurses in a medical college hospital were surveyed. Organization Assessment Instrument(Van de Ven. 1980)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Mowday, 1979) were used.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Nurses who had been rotated to other departments showed higher motivation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2. Nurses who had been rotated also indicated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3.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nurse's age,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4.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nurse's experience,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5. Inter-department rotation times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motivation. 6. "The sense of achievement perceived form performing one's duty" wa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that nurses consider in measuring their job motivation. As to the criteria for inter-department rotation, some respondents stated that it is needed when "current assignments are not suited for particular individuals" and such rotations would job motivation and elevate the morale of nurses involved." Many opposed using the rotations as a "means of reprimanding individuals." In conclusion, inter-department rotation has a positve effect on the nurse's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regular inter-department rotation have to be recommended to nurses who want ro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