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obacter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3초

무화과를 이용한 식초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 김동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3-60
    • /
    • 1999
  •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fig as a source of vinegar was tested. Alcohol fermentation was conducted by inoculation of Saccharomyces bayanus into fig juice. After 5 days of fermentation at 27oC, fig wine with alcohol content of 13.6%. Then fig vinegar was produced by cultivation of Acetobacter sp. E which was isolated from fig vinegar. Optimum concentration of alcohol, starter content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for the acid production were 8~9%, 5% and 27~30oC, respectively. More acetic acid was produced by adding 0.5% of yeast extract and 0.01% of Ca pantothenate. Adjustment pH of culture broth with acetic acid and shaking cultivation method were not effective in higher yield of acid production. Addition of sulfite up to 50 ppm did not inhibit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Addition of 1% bentonite or 1% kakishibu was more effective for the clarification of fig vinegar than any other clarifying agents tested. During aging and racking, acidity, absorbance and tannin content of fig vinegar decreased, while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Aged and racked fig vinegar showed higher sensory score than non aged one in the aspects of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 PDF

오미자 식초 제조를 위한 식초산균 분리 및 동정 (Isolation of A Bacterial Strain for Fermentation of Omija Vinegar)

  • 임용숙;설일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8-512
    • /
    • 2004
  • In other to produce vinegar using Schizandra chinensis Ballon(omija), acetic acid bacteria(AAB) were selected from several conventional vinegars, and total 30 acetic acid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Among the isolated strains, a strain was selected from medium containing omija juice which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of acetic acid.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Acetobacter sp. C5-1b. Optimum conditions for acetic acid production of Acetabacter sp. C5-1b were involved with 30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haking culture. The acidity of culture medium was reached to 5.3% after 8 days shaking cultivation at 30℃.

  • PDF

배를 이용한 식포의 발효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ltural Conditions for Acetic Acid Production Employing Pear Juice)

  • 오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7-380
    • /
    • 1992
  • To produce economically important acid with pear juice, an acetic acid bacterium was selected from many isolated acetic acid bacteria. The alcohoic fermentation was conducted by inoculating pear juice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4124, and then the pear vinegar was prepared by batch cultivation in flaskes with the isolated Acetobacter sp. The optimum conditions for high yield of acetic acid were studied experimentally in the batch shake flask . For seed purposes the Acetobactor sp. was cultivated for 2 -days and transferred to the acid production medium . Optimum alcohol concentration, initial acidity and temperature for the acid production were 8.0% , 2.0% and 28$^{\circ}C$, respectively.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addition of yeast extract (1%) was observed to produce relatively high yield of acetic acid.

  • PDF

미생물반응을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합성 (Microbial Synthesis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unds)

  • 이상섭
    • 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2-69
    • /
    • 1977
  • 지구상에서 생합성된 천연물은 완급의 차이는 있겠으나 궁극적으로는 CO$_{2}$ H$_{2}$O, NH$_{3}$ 등으로 다시 산화분해된다. 이 분해과정은 미생물의 효소반응으로 이루어지며 생물권의 항상성도 일차적으로는 미생물의 이 산화분해작용으로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 미생물이 영위하는 이러한 효소반응을 생리활성물질의 공업적합성에 이용한 초기의 예로는 부현피질호르몬의 합성과정에서 Rhizopus nigricans를 사용한 수산화반응과 ascorbic acid 합성과정에서 Acetobacter xylinum을 사용한 탈수반응이 유명하며 이러한 반응은 아직도 이용되고있다. 특히 지난 십수년간의 응용미생물학의 발전은 대단한 것이며 여러가지 항생물질, 당질, amino산, 핵산관련물질들이 생리활성물질과 함께 발효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글에서 다루는 미생반응은 발효과정에서 생산되는 미생물자체의 일차적 대사산물 (primary metabolite)이나 이차적대사산물 (secondary metabolite)를 대상으로 한것이 아니며 어디까지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균체의 효소반응산물을 목적물로 하고있다. 또한 근래 활발히 이용되는 균체고정및 효소고정법을 이용한 효소공학적수법도 제외하고 배양과정의 균체 또는 배양후의 군체를 이용한 미생물반응에 한정코저 한다.

  • PDF

Acetobacter sp.와 그 변이주(變異株)를 이용(利用)한 식초산(食酢酸) 발효(醱酵)에 관한 연구(硏究) - 변이주(變異株)의 선정(選定) 및 생산조건(生酸條件) - (Studies on the Induction of Available Mutant of Acetic Acid Bacteria by UV-light Irradiation and NTG Treatment. - The Selection of Mutant Strains and Various Conditions for Acetic Acid Production -)

  • 김찬조;박윤중;이석건;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69-175
    • /
    • 1980
  • 초산발효(酢酸醱酵)에 유용한 변이주(變異株)를 얻기 위하여 대전시(大田市) 일원에서 수집한 식초(食酢)와 지물류(漬物類)로 부터 산성성능(酸生成能)이 있는 109 균주(菌株)를 분리(分離)하여 발효력(醱酵力)이 강(强)한 T-50 균주(菌株)를 모균주(母菌株)로 선정(選定)하고 동정(同定)하였으며, 모균주(母菌株)에 대하여 자외선(紫外線)과 N. T. G를 처리하여 초기(初期) 산성성능(酸生成能)이 빠른 그 변이주(變異株)를 얻어 모균주(母菌株)와 변이주(變異株)를 이용한 산성성(酸生成)을 기본(基本) 조건(條件)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分離) 선정(選定)된 균주(菌株)는 Bergey's manual과 Acetic acid bacteria에 의하여 동정(同定)한 결과 Acetobacter aceti로 동정(同定)되었다. 2) 선정(選定) 균주(菌株)는 15W 자외선등(紫外線燈)으로 45 cm에서 160 sec 조사(照射)하였을 때 완전 사멸되었다. 3) 변이주(變異株)는 모균주(母菌株)에 비하여 초기(初期) 산성성능(酸生成能)이 빨랐다. 4. 시공균주(供試菌洙)는 진탕배양에 의하여 배양(培養) 2일(日)째에 산성성(酸生成)이 최대에 달하였으며 발효적온(醱酵適溫)은 $30^{\circ}C$ 이었다. 5) 질소원(窒素源)으로는 $(NH_4)_2SO_4$가 0.1%에서 적당하였으며 glucose의 농도(濃度)를 0.1% 수준으로 첨가(添加)하였을 때 초기(初期) 산성성능(酸生成能)이 빨랐다.

  • PDF

양파초 발효과정 중의 정미성분 변화 (Changes in Taste Compounds during Onion Vinegar Fermentation)

  • 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98-305
    • /
    • 2016
  • 발효과정(양파 알코올 발효 및 양파 초산 발효) 중의 정미성분을 분석하였다. 유기산의 분석 결과 양파 착즙액(유기산 함량 1,180.8 mg/100 g)에서 malic acid(50.1%)와 citric acid(26.9%)가 대부분의 함량을 차지하였다. 양파 알코올 발효액(유기산 함량 2,008.8 mg/100 g)은 malic acid(28.1%), acetic acid(20.8%), lactic acid(20.1%), citric acid(13.3%) 및 succinic acid(12.0%) 순으로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양파 초산 발효액의 총유기산 함량은 4,612.0 mg/100 g으로 양파 착즙액이나 알코올 발효액에 비해 각각 약 3.9배와 2.3배 증가하였으나 acetic acid 이외 유기산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비단백태 질소화합물은 양파 착즙액(총비단백태 질소 함량 $9,803.1{\mu}g/100g$)에 비하여 알코올 발효 후 4.23배($41,526.8{\mu}g/100g$)로 증가하였고, 특히 urea(81.43%)가 두드러지는 증가를 보였다. 양파 초산 발효액은 $2,658.9g/100g$으로 초산균의 생육과 관련하여 소비가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양파 착즙액에 검출된 유리당(포도당, 과당, 자당)은 발효과정 중 과당을 제외하고는 검출되지 않았다.

초산균에 의한 환경친화적 기능성소재인 세균 셀룰로오스 생산을 위한 정치배양조건 최적화 (Static Culture Condition for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Environment-Friendly Functional Material, by Acetic Acid Bacteria)

  • 조광식;이상미;정성윤;박근태;이희섭;황대연;정영진;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95-902
    • /
    • 2014
  • Bacterial cellulose (BC) has played important role as new functional material for food industry and industrial products based on its unique properties. The interest in BC from static cultures has increased steadily in recent years because of its potential for use in medicine and cosmeti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ulture condition for BC production by Acetobacter sp. F15 in static culture. The strain F15, which was isolated from decayed fruit, was selected on the basis of BC thickness.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s for BC production were glucose 7%, soytone 12%, $K_2HPO_4$ 0.2%, $NaH_2PO_4{\cdot}_2H_2O$ 0.2%, lactic acid 0.05% and ethanol 0.3%, respectively. The strain F15 was able to produce BC at $26^{\circ}C-36^{\circ}C$ with a maximum at $32^{\circ}C$. BC production occurred at pH 4.5-8 with a maximum at pH 6.5. Under these conditions, a maximum BC thickness of 12.15 mm was achieved after 9 days of cultivation; this value was about 2.3-fold higher than the thickness in basic medium.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showed that BC from the optimal medium was more compact than plant cellulose and was reticulated structure consisting of ultrafine cellulose fibrils. BC from the optimal medium was found to be of cellulose type I, the same as typical native cellulose.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toxified Rhus verniciflua vinegar fermented using different acetic acid bacteria)

  • 백성열;김지선;문지영;이충환;박유경;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7-354
    • /
    • 2016
  • 본 연구는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 추출물을 첨가한 식초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초산균 종류에 따라 pH와 적정 산도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A. pasteurianus로 발효한 옻식초가 가장 빠른 pH 감소와 산도의 증가를 보였다. A. malorum, Glu. entanii로 발효한 옻식초 순으로 pH와 산도의 변화를 보였으며 초산균 3종 모두 초산 발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산 수율은 78.6%, 85.3%, 85.9%로 A. malorum, Glu. entanii 초산균이 높게 나타났다.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유기산은 oxal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5종이 검출되었으며, 유기산 함량은 69.84~73.83 mg/mL로 검출되었다. 초산균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2,202.70{\sim}2,322.71{\mu}g/mL$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arginine과 alanine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으로 분석되었다. 전자코 분석 결과, 초산균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는 뚜렷한 향기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기호도 평가는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색상과 맛은 초산균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A. malorum V5-7로 발효한 옻식초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미생물 셀룰로오스 생산을 위한 당밀의 전처리 및 생산된 셀룰로오스의 물리화학적 특성 (Pretreatment of Cane Molasses for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정호일;정진하;전영동;이나리;박기현;김용균;박근태;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32-1437
    • /
    • 2009
  • BC 합성능이 우수하며, 진탕배양에서도 BC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이 확인된 Aectobacter sp. V6로부터 BC 생산을 위한 당밀 전처리 조건을 검토하였으며, 생산된 BC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당밀을 배지성분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처리를 실시한 결과, 1%의 TP가 BC 생산에 가장 효율적이었다. 전처리한 당밀배지를 이용하여 정치 및 진탕배양에서 생산된 BC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BC는 유화능이 있었으나 유화 안정능은 낮았다. 또한 모든 BC에서 높은 수분 보유능이 나타났으며, 특히 정치배양에서 생산된 BC는 $\alpha$-cellulose보다 14배 이상 높았다. BC의 점도는 모두 $\alpha$-cellulose보다 높았으며, 점도계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FT-IR을 통한 조성 분석에서 BC는 식물성 셀룰로 오스와 차이가 없었으며, XRD를 통한 결정성 분석에서는 모든 BC가 결정성을 나타내었다. BC의 미세구조를 조사한 결과, 모든 BC가 미세망상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로 인해 BC는 식물성 셀룰로오스와는 달리 독특한 물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정치배양에서 생산된 BC는 진탕배양에서 생산된 것보다 셀룰로오스 미세섬유가 조밀하게 얽혀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홍삼 농축액과 쌀막걸리의 동시 발효를 통한 홍삼 식초의 제조 및 품질평가 (Manufacture of the Red Ginseng Vinegar Fermented with Red Ginseng Concentrate and Rice Wine, and its Quality Evaluation)

  • 김동국;백무열;김혜경;함영태;김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9-184
    • /
    • 2012
  • 홍삼 특유의 prosapogenin 성분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홍삼의 증숙, 건조 및 추출 공정을 최적화하여 식초에 첨가할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농축액을 0-1%의 범위로 첨가한 홍삼 발효 쌀 식초의 경우 정치 배양 20일차에 초산발효가 종료 되었으며 홍삼 농축액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pH 감소속도가 늦고 감소량 또한 control에 비해 적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산도의 경우 농축액 농도 별 초산 생성 속도에는 차이는 있으나 농축액 함유량이 산도 변화 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의 홍삼 농축액을 후 첨가한 식초의 경우 71.75 mg/g의 조사포닌 함량을 가진 반면에 0-1% 범위의 농축액을 주모에 첨가하여 초산 발효를 동시에 진행한 경우 발효 진행 중 상당한 조사포닌 손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두 식초를 가지고 관능검사를 진행한 결과 향기, 맛 및 전체적인 평가에서 농축액과 초산발효를 동시에 진행시킨 홍삼발효식초가 더 좋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