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ic acid effect

검색결과 846건 처리시간 0.029초

Inhibition of Compylobacter jejuni in Chicken by Ethanol, Hydrogen Peroxide, and Organic Acids

  • Shin, Soon-Young;Hwang, Han-Joon;Kim, Wang-Jun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418-422
    • /
    • 2001
  • Growth inhibition of Compylobacter jejuni ATCC 33291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various preservatives at various temperatures. The addition of ethanol (0.5% to 5%), hydrogen peroxide (0.05%), acetic acid (1%), propionic acid, benzoic acid, and sorbic acid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C. jejuni at pH 5.5 or 6.5. The addition of 1% acetic acid and lactic acid were most effective at $42{\circ}C, followed by $25{\circ}C$ and $4{\circ}C$. This indicat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was temperature dependent. In the chicken model system, the practical death rate of C. jejuni in the FBP-media with 1% acetic temperatures ($4{\circ}$C$, $25{\circ}$C, and $42{\circ}$). Therefore, precaution has to be taken in the use of organic acids as a disinfectant in the chicken slaughterhouse.

  • PDF

유기인산계 추출제를 이용한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해 푸란유도체를 함유하는 모사 바이오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초산의 분리 (Separation of Acetic Acid from Simulated Biomass Hydrolysates Containing Furans by Emulsion Liquid Membranes with an Organophosphorous Extractant)

  • 이상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5호
    • /
    • pp.687-693
    • /
    • 2018
  • 바이오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당을 정제하는 동안 발효 저해물질들의 선택적인 제거 및 회수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 알코올을 생성하는 전체 공정의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에멀젼형 액막계에서 페놀화합물이 없는 모사 바이오매스 가수분해액에 있는 푸란유도체가 초산 추출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특별한 조작 조건하에서 5분내에 99%이상의 초산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 때 푸르푸랄과 5-hydroxymethylfurfural의 추출율은 각각 10%와 4% 내외의 값을 가졌다. 또한, 원료상에 있는 푸란유도체들의 초기 농도가 높을수록 초산의 추출속도는 낮았는데, 푸르푸랄이 5-hydroxymethylfurfural 보다 그 영향이 더 컸다. 따라서, 초산 추출 전에 가수분해액으로부터 푸르푸랄을 우선적으로 제거한다면 에멀젼형 액막법이 보다 경제성이 있는 초산 제거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Inhibitory Effects of Acetic Acid and Temperature on Growth of Campylobacter jejuni ATCC 33291

  • Kim, Wang-june;Shin, Soon-Young;Hwang, Han-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934-939
    • /
    • 2001
  • The growth inhibition of Campylobacter jejuni ATCC 33291 in the presence of $1\%$ acetic acid at 4, 25, and $42^{\circ}C$, followed by $25^{\circ}C$ and $4^{\circ}C$, at pH 5.5 and pH 6.5, and by the addition of $1\%$ acetic acid aat 4, 25, and $42^{\circ}C$ were determined to be 22, 8.5, and 1.4 min, respectively, in an FBP-SBB medium. The D values of C. jejuni were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chicken and did not follow the linear relationship observed in the FBP-SBB media without chicken. When using distilled water instead of FBP-SBB in the model system, the death rate of C. jejuni was dramatically accelerated. The injured or low cell numbers that were impossible to enumerate using the plate count method, were detected by a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nrichment culture procedu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cetic acid is reliable and effective as a disinfecta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take additional care at refrigeration temperatures due to the potential of injred cells during poultry processing.

  • PDF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toxified Rhus verniciflua vinegar fermented using different acetic acid bacteria)

  • 백성열;김지선;문지영;이충환;박유경;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7-354
    • /
    • 2016
  • 본 연구는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 추출물을 첨가한 식초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초산균 종류에 따라 pH와 적정 산도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A. pasteurianus로 발효한 옻식초가 가장 빠른 pH 감소와 산도의 증가를 보였다. A. malorum, Glu. entanii로 발효한 옻식초 순으로 pH와 산도의 변화를 보였으며 초산균 3종 모두 초산 발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산 수율은 78.6%, 85.3%, 85.9%로 A. malorum, Glu. entanii 초산균이 높게 나타났다.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유기산은 oxal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5종이 검출되었으며, 유기산 함량은 69.84~73.83 mg/mL로 검출되었다. 초산균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2,202.70{\sim}2,322.71{\mu}g/mL$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arginine과 alanine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으로 분석되었다. 전자코 분석 결과, 초산균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는 뚜렷한 향기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기호도 평가는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색상과 맛은 초산균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A. malorum V5-7로 발효한 옻식초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시판 과일 주스와 식초의 유기산 함량과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 비교 (Comparison of Organic Acid Content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Commercial Fruit Juices and Vinegars)

  • 황지영;표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85-1690
    • /
    • 2016
  • 시판 과일 주스와 발효식초의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함량, 유기산 함량, 그리고 xanthine oxidase(XO) 저해 활성을 비교하였다. 과일 주스와 식초에 함유된 총 페놀(mg gallic acid equivalent/100 mL)과 플라보노이드(mg catechin equivalent/100 mL) 함량은 각각 82.8~157.6 mg과 15.7~85.8 mg으로 측정되었다. 주스류에서는 사과 주스, 식초류에서는 흑초가 각각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였다. 유기산의 함량 중 citric acid, malic acid, ascorbic acid는 주로 과일 주스에서 검출되었다. Acetic acid가 주성분인(688.3~4,413.7 mg/100 mL) 식초류 중에서 흑초는 acetic acid뿐 아니라 ci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를 함유하여 유기산의 분포가 가장 다양하였다. XO 저해 활성은 과일 주스보다 식초가 평균 34.2%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흑초는 64.9%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유기산의 종류 중에서 아세트산의 함량과 XO 저해 활성 간에 높은 정의 상관성이 존재하여($R^2=0.7192$) 식초류의 XO 저해 활성의 주요 지표물질로 나타났다.

유기산 및 초음파 병용처리된 전해수를 이용한 들깻잎 중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의 저감효과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Combined with Ultrasound and Organic Acids to Reduce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on Perilla Leaves)

  • 김세리;오기원;이명희;정찬식;이서현;박선자;박정현;류경열;김병석;김두호;윤종철;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4-270
    • /
    • 2012
  • 본 연구는 들깻잎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해수의 세척 효과를 검정하고 아울러 전해수와 유기산, 초음파 병용처리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병용처리할 유기산을 선정하기 위하여 acetic acid, citric acid, maleic acid를 전해수 100 ppm에 2%씩 첨가하고 약 8.0 log CFU/mL 의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와 반응시켰다. 세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상승효과가 가장 높아 첨가 농도별 저해 효과를 분석하고자 0.5, 1.0, 1.5, 2.0%씩 100 ppm 전해수에 첨가하고 배양액과 들깻잎표면에서 식중독세균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100 ppm 전해수와 초음파 (25 KHz), 100 ppm 전해수, 0.5% acetic acid, 초음파를 병용처리를 하였다. 세 종류의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상승효과가 가장 탁월하였고, B. cereus, S. Typhimurium은 acetic acid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생물 저감효과도 높아졌으며 2.0% 첨가시 약 1.0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S. aureus는 전해수 단독처리(2.08 $log_{10}$ CFU/g감소)에 비하여 1.5%까지는 상승효과가 없었지만 2.0% 결합처리에서 0.68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들깻잎은 acetic acid의 첨가량이 0.5% 이상일 경우 변색되기 때문에 0.5% 이상 첨가하는 것은 품질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전해수와 초음파를 병용처리하였을 때, 들깻잎 중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는 전해수 단독처리보다 0.72, 0.51, 0.42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고, 전해수, 초음파, 0.5% acetic acid 병용처리에 의해 0.95, 1.23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으나 S. aureus의 경우 전해수 단독처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들깻잎 중 식중독세균의 저감화를 위하여 전해수, 0.5% acetic acid와 초음파 병용처리가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현호색, 창출, 천수근 약욕이 체성내장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Bath on Acetic Acid-induced Somato-visceral Pain in Mice)

  • 김익환;이택현;김창주;이충열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42-650
    • /
    • 2006
  • As an effective non-pharmacological method of pain relief, hydrotherapy was widely used. And bath additive has been used for enhancing the efficacy of hydrotherapy, In the present study, as a bath additive, the analgesic activity of HAC, which composed of Corydalis turtschaninovii, Atractylodes japonica, and Harpagophytum procumbens(HAC), was investigated in the ventrolateral periaqueductal gray (VIPAG), lateral PAG (IPAG), central nuclei of amygdala (CeA), and the paraventricular nucleus of the hypothalamus (PVN) in mice, using writhing test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c-Fos. Male C57BU6 mice weighing $25{\;}{\pm}{\;}2g$ (8 weeks of age)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control group, the acetic acid treatment group, the acetic acid treatment and 0.01 g/L HAC-immersed group, the acetic acid treatment and 0.1 g/L HAC-immersed group, and the acetic acid treatment and 1.0 g/L HAC-immersed group. To induce somato-visceral pain in the experimental animals, a single intraperitoneal (i.p.) injection of acetic acid was administrated to each animal, and the animals of the control group received injections of equivalent doses of normal saline. The animals of the HAC-immersed groups were immersed the water with HAC powder at the respective doses deep enough to cover the mice body,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acetic acid treatment group immersed the water without HAC powder at 10 min immediately after the acetic acid injection. Our present study has shown that the HAC reduced the acetic acid-induced abdominal constrictions and the acetic acid-Induced increase of numbers of c-Fos-positive cells in the VIPAG, IPAG, PVN, and CeA. The most potent analgesic effect appeared with the treatment of 1.0 g/L KB-immersed group. Based on our present results, it is very possible that HAC can be a potent therapeutic bath additive for alleviating pain without the fear of addiction to the drugs and side-effects associated with the prescription of multiple analgesic drugs.

초산(醋酸), 질산(窒酸), 인산(燐酸)을 함유한 삼원계(三元系) 폐혼산(廢混酸)으로부터 인산(燐酸) 회수(回收)에 관한 기초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covery of Phosphoric acid from Waste acid containing Acetic acid, Nitric acid and phosphoric acid)

  • 이향숙;이창훈;신준영;김주엽;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5호
    • /
    • pp.18-23
    • /
    • 2005
  • 초산, 질산, 인산이 함유된 폐혼산으로부터 인산을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였다. 폐혼산에서 초산과 질산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추출 잔류액에서 인산을 회수하고자 하였다. 주요 실험 변수로는 추출제 농도, 교반시간, 교반속도 등의 변화에 따른 초산, 질산, 인산의 추출거동을 조사하였다. 또한, McCabe-Thiele diagram으로부터 초산, 질산 성분의 추출 및 탈거에 필요한 이론적 단수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인산염계 추출제를 사용할 경우 초산과 질산을 선택적으로 분리 추출이 가능하였으며, 추출제의 함량은 유기상의 50%가 적합하였다. 교반속도와 교반시간의 영향은 크게 없었으며, 상비(A/O)=1/3, 6단에서 초산과 질산을 완전히 추출 분리하여 인산을 추출잔류액에서 회수가 가능하였다.

지방족 아민 추출제에 의한 초산의 추출 (Extraction of Acetic Acid by Aliphatic Amino Extractants)

  • 이한섭
    • 공업화학
    • /
    • 제5권1호
    • /
    • pp.121-126
    • /
    • 1994
  • 초산의 반응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추출제로 2급과 3급 아민 및 용매화 추출제, 용매로 n-butylacetate, modifier로 4-nonylphenol, TBP 및 isodecanol을 이용하였다. 그외에 수용액상의 pH와 온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초산의 추출에서 3급 아민인 tril-n-octyl과 tri-n-decylamine의 50% 혼합 추출제인 MODA가 추출도 및 선택도에서 가장 좋았다. Modifier로서는 4-nonylphenol이 우수하였다. 이외에도 수용액의 pH와 추출계의 온도가 낮을수록 추출도가 높았다.

  • PDF

Gluconacetobacter sp. gel_SEA623-2를 이용한 Bacterial Cellulose 생산에 초산농도 및 유산균 혼합배양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etic Acid Concentration and Mixed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on Producing Bacterial Cellulose Using Gluconacetobacter sp. gel_SEA623-2)

  • 김경민;김지현;양경월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27-23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bacterial cellulose를 생산하는 감귤에서 분리된 Gluconacetobacter sp. gel_SEA623-2를 이용하여 초기 초산농도 및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80077 유산균을 접종한 mixed culture가 bacterial cellulose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0.5%의 초산을 첨가한 mixed culture의 경우 초기 생균수가 $2.4{\times}10^6CFU/ml$에서 14일 동안 배양한 이후에 $1.1{\times}10^7CFU/ml$까지 증가하였고 total acidity가 0.5%의 초산을 첨가한 single culture와 비교하여 0.3% 가량 높게 측정되어 유산균에 의해 추가적으로 젖산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Single culture에서는 초기 초산농도가 0.0 및 0.5%일 때 1.0% 농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bacterial cellulose 생산성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못하였다. 하지만 mixed culture에서는 0.5%의 초산을 첨가하였을 때 $37.83{\pm}6.81g/L$의 dry weight과 $10.33{\pm}0.58mm$의 thickness를 나타냄으로써 1%의 초산을 첨가한 single culture의 $28.40{\pm}1.23g/L$$7.50{\pm}0.50mm$의 생산량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