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aldehyde dehydrogenase-2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5초

Hangover relieving effect of Sanghwang mushroom mycelium cultured in germinated buckwheat

  • An, Yoo-Jin;Cho, Sung-Min;Kim, Min-Su;Moon, Hae-Hee;Park, Dong-Soo;Jeon, Nam-Gen;Lee, oungjae;Han, Chang-Hoo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47-154
    • /
    • 2017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hangover relieving effect of germinated buckwheat (GB) and Sanghwang mushroom mycelium cultured in GB (SGB). Both GB and SGB showe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01)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up to 140% increase at concentrations of $16{\mu}L/mL$. Locomotor activity test results from alcohol-SGB and alcohol-GB groups showed improved motor activities over that of the alcohol-water group at 90 min post-administration. Both alcohol-GB and alcohol-SGB groups had significantly reduced (p < 0.001) alcohol ($40.02{\pm}33.38{\mu}g/mL$, $66.01{\pm}22.04{\mu}g/mL$, respectively) and aldehyde ($5.72{\pm}0.47{\mu}g/mL$, $6.72{\pm}1.70{\mu}g/mL$, respectively) concentrations in blood compared to those in the alcohol-water group ($199.75{\pm}33.83{\mu}g/mL$, $50.43{\pm}13.88{\mu}g/mL$, respectively) at 90 min post-administration. Based on cDNA microarray analysis, expressions of ALDH genes ALDH1a7 and ALDH18a1 and cytochrome P450 (CY450) gene CYP4a30b were upregulated in the alcohol-GB and alcohol-SGB groups compared to levels in the control group.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GB and SGB have hangover relieving effects by reducing blood acetaldehyde levels. The molecular mechanisms may involve ALDH activation and upregulated expression of alcohol metabolism-related genes such as ALDH and CYP450.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음료의 숙취 제거 효과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 박은미;예은주;김수정;최현임;배만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75
    • /
    • 2006
  • 숙취해소용 음료로 개발된 건강음료를 각각 알코올(5 g/kg B.W, 40%) 투여 30분 전과 후에 경구적으로 섭취시키고(10 mL/kg) 시간(1, 3 및 5)에 따라 미동맥으로 채혈하여 혈액 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간 조직 중 알코올 대사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활성과 간기능 지표 효소(ALT, AST)의 활성 변동을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알코올 투여 30분 전에 건강음료를 공급하였을 때 혈액 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투여 1시간 후부터 모든 군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투여 5시간째에 알코올 대조군(EC)에 비해 건강음료 투여군(BE)은 48.4%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EC)에 비해 건강음료 투여군(BE)은 15.6%, 타사제품 투여군(P)은 20.3% 낮았다. 알코올 투여 30분 후 숙취해소 음료를 공급하고 5시간 경과 후 건강음료 투여군(AE)의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EC)에 비해 65.2%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해 건강음료 투여군(AE)은 36.4% 낮은 0.21 mg/dL 타사제품투여군(P)은 24.2% 낮은 0.25 mg/dL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 중 ADH 활성은 정상군과 알코올을 섭취 한 모든 실험군 사이에 별다른 변동을 관찰할 수 없었다. 숙취해소 음료의 1회 섭취와 체중 1 kg당 5 g의 알코올 1회 투여가 알코올 대사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시사하고 있다. 혈청 ALT, AST 활성은 정상군과 알코올 투여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 건강음료의 음용이 정상적인 간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를 볼 때 안전성이 인정된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