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ube Channel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Research on the Discourse of Libraries During COVID-19 in YouTube Videos Using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Euikyung Oh;Ok Nam Park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29-42
    • /
    • 2023
  • This study explored issues related to the library in the COVID-19 era in YouTube videos in Korea. This study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by collecting 479 YouTube videos, 20,545 words, and 8,379 channels related to COVID-19 and the library from 2019 to 2020.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YouTube, a social media platform, was used as an important medium to connect users and physical libraries and provide/promote online library services. In the study, major topics and keywords such as quarantine, vlog, and library ident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library services and functions, and introductions and user guides of libraries were derived. Additionally, it was identified that videos about COVID-19 and the library are being produced by various actors (news and media channels, libraries, government agencies, librarians, and individual users). However, the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actor network is fragmented through the channel network, showing a low density or weak linkage, and that the centrality of the library in the actor network is weak.

기업가 연설문의 주제와 시청자 댓글 간의 관계 분석: 유튜브 콘텐츠를 중심으로 (Entrepreneur Speech and User Comments: Focusing on YouTube Contents)

  • 김성범;이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13-524
    • /
    • 2020
  • 최근 유튜브의 성장이 주목받고 있다. 유튜브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채널일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의사를 표시하는 공간이 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댓글이라는 형식으로 유튜브 안에서 그들의 의견을 표출한다. 이 연구는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시청되는 글로벌 기업가 연설문과 영상을 시청하고 작성한 댓글의 텍스트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텍스트 마이닝 소프트웨어인 Leximancer를 사용하여 각각의 연설문과 댓글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각 기업가 연설문의 주제는 대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기업가 개인의 성향과 특성과 관련 있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댓글에서는 각 연설문의 내용과는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money, work, need의 주제를 발견하였다. 텍스트의 길이가 다름을 고려하여 추가로 중요도 지표 (Prominence Index) 분석을 실행하였고 연설문 내용과 시청자 댓글의 공통적인 주제를 구성하는 핵심어로 time, future, better, best, change, life, business, need를 도출하였다. 유튜브 연설문의 시청자는 인생과 시간, 미래, 고객의 니즈, 긍정적 변화에 대한 메시지에 대하여 동일한 주제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방송사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선호 유형 연구 :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사의 유튜브 채널을 중심으로 (A Study on Audience Preference Types for Local Broadcasting Content : Focusing on the YouTube Channels of Terrestrial Broadcas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박지연;이종윤;홍장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501-508
    • /
    • 2024
  •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영상 콘텐츠 소비가 뉴미디어 채널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뉴미디어 활로를 개척하기 위해 유튜브 채널로 확장한 지상파 방송사들의 전략은 수익구조를 개편할 정도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들도 유튜브 채널로의 확장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 결과가 미미한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사들이 유튜브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피면서, Q방법론을 통해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사의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선호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트렌드 민감형', '감성 중시형', '지역 애착형'의 세 가지 유형을 발견하였고, 각 유형별의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 제작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사의 유튜브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지침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뉴미디어 시대에 부합하는 지속-발전 가능한 밀도 있는 콘텐츠 제작의 정책 수립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f Users' Perception of YouTube Regulation)

  • 함민정;이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6-50
    • /
    • 2020
  • 최근 '유튜브 저널리즘'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유튜브를 통한 뉴스 소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유튜브는 전통 뉴스 매체보다 보다 흥미롭고 깊이 있게 뉴스를 전달하므로 인기를 얻고 있지만, 정치적, 사회적 이슈를 가감 없이 전달하는 과정에서 허위정보, 즉 가짜뉴스가 생산, 유포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허위정보를 근절하기 위한 법적 처벌이나 허위정보 확산에 책임질 수 있는 주체를 지정하는 등 규제가 필요하다며 적극적으로 법안을 발의하고 있다. 그러나 유튜브 뉴스 이용자를 배제한 채 유튜브에 대한 규제를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 연구는 유튜브 뉴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허위정보에 대한 이용자들의 경험과 인식, 그리고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진보집단보다 보수집단과 중도 집단이 허위정보에 더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50대보다 60대가 유튜브 내 허위정보 유통 정도를 낮게 평가했다.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태도의 경우 표현의 자유를 중시할수록, TV조선의 뉴스를 신뢰할수록 유튜브 정보 규제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상파, JTBC의 뉴스를 신뢰할수록, 뉴스관 중 "계몽"을 중시할수록 유튜브 정보 규제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YouTube 동영상 의견분석을 통한 사용과 충족 이론 측정 : 트로트 가수 조명섭 동영상을 중심으로 (Analyzing Comments of YouTube Video to Measur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Using Videos of Trot Singer, Cho Myung-sub)

  • 홍한국;임병학;김삼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29-4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 중 하나인 YouTube 동영상 사용자들이 남긴 의견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질적연구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YouTube 동영상 사용자의견을 사용하여 사용과 충족 이론의 쾌락적 충족, 사회적 충족, 그리고 실용적 충족을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을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YouTube KBS 한국방송 채널 중 트로트 가수 조명섭 동영상을 사용자들이 시청하는 이유는 첫 번째로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이 쾌락적 충족을 위해서였다. 다음 순으로 사회적 충족과 실용적 충족으로 나타났다. 단어-문서 네트워크 분석에서 연결정도중심성은 '응원', '감사', '화이팅', '최고' 등이 높게 나타났고, 매개중심은'감사', '응원', '화이팅'등의 단어가 높게 나타나 연결정도 중심성과 유사함을 보였다. 아이겐벡터중심성은 '사랑', '마음', '감사' 등의 단어가 높게 나타나 사용자들의 의견들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단어들임을 알 수 있다. 이는 YouTube의 트로트 가수 조명섭 동영상 시청자들 중 대다수가 동영상에 대해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세 가지 중심성 분석결과는 동영상을 시청하는 동기로 사용충족 이론의 쾌락적 충족과 사회적 충족 관련 단어들이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기반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따르지 않고, 질적분석연구를 자동화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YouTube동영상을 사용하는 동기를 사용 및 충족 이론에 의해 밝혀냈다는 것에서 연구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사서교사의 학교도서관 유튜브 운영 활성화 방안 (A Study of Activating Plans for YouTube Channels of Teacher Librarians in School Libraries)

  • 성유경;최상기;김선태;오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3-185
    • /
    • 2021
  • 사상 초유의 팬데믹 사태를 맞아 학교도서관 역시 주로 대면 활동에 국한되었던 기존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온라인 환경에서의 비대면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유튜브 채널 운영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기초 연구로, 실제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인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FGI)을 실시하여 이들의 유튜브 운영 경험을 통한 학교도서관 서비스 인식, 필요성 그리고 구체적인 요구 내용 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학교도서관 유튜브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1) 유튜브 채널 홍보 확대, 2) 학교 도서관 유튜브 체제 확립, 3) 교육청 차원의 지원, 마지막으로 4) 사서교사 차원의 개인적 노력의 4가지 관점으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후속 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활성화 방안이 현재 유튜브 운영하고 있는 사서교사의 업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제안인지 검증하였다.

과학기술 유튜브 채널의 유형과 스토리텔링 전략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 : 활동형 채널을 중심으로 (Multidisciplinary Research for Types and Storytelling Strategies of Science Technology YouTube Channel : focused on Activity-centered Type Video Channel)

  • 김혜영;유동환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3호
    • /
    • pp.113-123
    • /
    • 2019
  • 본 연구는 영상콘텐츠 산업과 과학문화 산업의 지형 변화에서 시작되었다. 모바일 과학기술 영상 콘텐츠는 수요와 정책적 지원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예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 관련 모바일 영상콘텐츠 활성화를 위해 현황을 분석하여 기획 및 제작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모바일 영상 중 영향력이 가장 큰 유튜브의 과학기술 채널의 영상을 사례로 하여 유형 및 스토리텔링 분석을 시도하는 융복합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기술 유튜브 채널 글로벌 선도그룹의 영상 콘텐츠는 과학기술의 맥락과 활동에 따라 활동형, 해설형, 비평형의 세 유형으로 범주화된다. 둘째, 언어의존성이 낮고 재매개 가능성이 높은 활동형 채널은 다시 라이프 해킹형, 소품 제작형, 파괴형, 탐구형으로 분류된다. 셋째, 활동형 채널들의 핵심 스토리텔링 전략은 일상적 소재를 전문과학기술적 방법을 통해 다루는 익숙함과 낯섦의 조화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적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킬러 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기대한다.

유튜브 채널 패션필름 분석을 통한 크리스찬 디올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Dior's Brand Communication through YouTube Channel Fashion Film Analysis)

  • 백정현;배수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16-726
    • /
    • 2020
  • This study presents methods and alternative examples for fashion brands to effectively use video-based communication channels to form brand identity that analyzes the definition, status and type of YouTube channel fashion films as well as enables the ability to derive brand identity characteristics. Literature studies focused on Christian Dior's official website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The temporal range of the case studies was from October 7, 2010, the date when the first fashion film was uploaded to current Christian Dior YouTube to July 17, 2020 (the survey date), and there are a total of 550 subjects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succession of the couture spirit means that Christian Dior's craftsmanship was created and passed down by Musée Christian Dior to act as a contemporary key element of brand identity. The iconic expression of femininity is Dior's core design philosophy that began when the woman image of a new era was presented through a new look, and Dior's femininity means a woman that reflects the character of the times as is interpreted as her own person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sm through the creative directors of future generations. The brand's core identity code 'Miss Dior' expresses the brand's vision and eternity through perfume as well as targets Z generation male consumers through an emotional approach based on forms that used emotional images such as movie-type films.

유튜브 댓글이 차트 역주행 인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비디터(VIDITOR)의 '브레이브걸스_롤린_댓글모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YouTube's Comments on Making a Comeback on the Chart: Focusing on the Case of VIDITOR's 'BraveGirls_Rollin_Comment_Collection' Video)

  • 박성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22
    • /
    • 2022
  • 본 연구는 유튜브 채널 비디터의 '브레이브걸스_롤린_댓글모음' 영상을 중심으로 댓글이 차트 역주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였다. 먼저, 이를 위해 채녈 주인인 비디터가 영상에 사용한 댓글이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이룰 수 있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 영상에 사용자들이 직접 작성한 댓글들을 "티핑 포인트" 법칙을 통해 분석함으로 인기의 이유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이 영상은 브레이브 걸스를 군대 이야기와 연결시킴으로 스토리텔링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티핑 포인트에서 소수의 법칙은 군대임이 나타났고, 고착성의 요소는 백령도 공연에서 남긴 좋은 이미지가 메시지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상황의 힘 법칙에서는 코로나라는 어려운 현실 상황과 브레이브 걸스 멤버들과 관계자들의 댓글을 통한 직접적인 소통으로 인한 좋은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패턴제작 교육용 영상콘텐츠 개발을 위한 유튜브 영상 현황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YouTube video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of pattern drafting video)

  • 강여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6호
    • /
    • pp.599-614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to provide basic referenc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ideo contents used in pattern drafting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YouTube videos in such education. Subject videos were selected using the number of views. A total of 596 videos and 28 channels were analyzed for the period July to September 2019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content, there were 27 pattern drafting items, the majority being dress, pants, skirt, blouse and sleeve drafting, although high-level content such as cowl, bustier, corset patterns were also available. Therefore,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YouTube videos could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especially as supplementary references to provide specific examples and easy explanations for difficult concepts or method, for students majoring in this field. However, as most videos currently focus on a few items, expanding video content to features a wider variety of clothing items at different levels is necessary. With regard to video length, it mostly ranged from 10 to 15 minutes. It is not advisable to create lengthy lecture-style videos expounding on different principles or variations in pattern drafting when developing educational video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