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

검색결과 15,520건 처리시간 0.037초

여행 유튜브 제목에 대한 Z세대의 인식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ravel YouTube Title: Focusing on the Group of Generation Z)

  • 최원주;홍장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75-184
    • /
    • 2022
  • 전통과 새로움의 경계를 넘나드는 여행 유튜버들의 소통은 SNS 기반의 미디어를 매개로 나의 활동상을 타인과 공유하는 환경을 마련한다. 나만 좋아해서도 안되고, 너무 목적 지향적이어서도 안된다. 사용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콘텐츠에 쉽게 접근하도록 유튜브 채널을 운영해야 하는데, 이용과 충족 이론을 기반으로 더욱 다각적인 방법을 추구할 수 있기도 하다. 본 연구는 여행 유튜브 제목에 대한 Z세대의 인식 유형 연구이다. Q 방법론적 시각에서 34개의 Q 표본과 28개의 P 표본을 대상으로 QUANL 프로그램 분석을 진행한 결과 총 3개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독특한 특성을 지닌 유형을 대상으로 그 성향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제1유형을 '상상을 끌어내는 키워드 중시', 제2유형을 '호기심을 자극하는 스토리 선호', 제3유형을 '기대가 반영된 이미지 만족'이라 명명화하였다. 이와 함께 발견한 유형별 특징을 고려해 Z세대 여행 유튜버들이 펼쳐 보이고자 하는 활동의 확장성과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Social Media and Communication in Times of Public Health Crisis: Analysis of COVID-19 YouTube Vlog activities in the sharing of patient experience and information

  • 강복;손승혜;이귀옥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07-115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YouTube Vlog videos created by patient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South Korea and viewer comments on those videos. As this new infectious disease started to sweep the world in late 2019 and early 2020, the public started facing fear and uncertainty stemming from the lack of sufficient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virus. At the same time, as COVID-19 patients in South Korea were treated in isola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the patients themselves were experiencing anxiety and exclusion from the society.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an increase in YouTube Vlog videos created by the patients in which they shared their experiences going through the treatment and recovery processes. To understand how these YouTube Vlog videos were being used by the patients to connect with the society and seek support in a state of isolation and anxiety,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multi-case analysis of three sample YouTube Vlog video channels to analyze their content, as well as a lexicon-based sentiment analysis of viewer comment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reactions of viewers. The patients' YouTube Vlog videos showed that they shared similar stages of progress, despite each emphasizing a different main theme. Overall, the tone of the viewer comments became increasingly positive over time, although with some variance among different patient cases and stag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Vlogs of patien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the uncertainty around COVID-19 and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for the pati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improve an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of patient experience in isolated treatment and the impact of shared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society in times of crisis.

대학도서관 유튜브 콘텐츠 내용분석과 이용자 감성반응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YouTube Content Analysis and Users' Emotional Responses Analysis)

  • 송영;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3-93
    • /
    • 2023
  •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내용분석과 이용자의 댓글에 대한 감성 반응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유튜브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과 평가를 하였다. 연구분석대상은 61개 대학도서관의 2,169개 유튜브 콘텐츠와 이용자의 댓글 6,487개였다. 연구결과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유튜브 콘텐츠는 대분류 중 '자료' 콘텐츠의 수량이 가장 많고 '소통' 콘텐츠와 '교육' 콘텐츠가 뒤를 이었으며, '홍보' 콘텐츠가 가장 적었다. 소분류 중 '정보서비스' 콘텐츠의 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지원 서비스를 주된 내용으로 수록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유튜브 콘텐츠를 열람한 이용자의 감성 반응에 대한 분석에서 이용자 감성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난 대분류는 '자료' 콘텐츠와 '소통' 콘텐츠였다. 이용자 감성 반응은 모든 범주의 콘텐츠에서 긍정 반응이 대부분이었고 부정 반응은 긍정 반응에 비하여 적었으며, 빈번히 나타난 이용자 감성 표현은 '좋다'였다. 또한, 이용자 감성 반응에 사용된 어휘는 유튜브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표현보다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표현이 많았다. 이용자의 평가는 콘텐츠의 기술적 품질에 관한 것 평가보다 콘텐츠의 내용에 관한 것이 많았다.

What Influences YouTube Viewers' Job Engagement? The Role of Vlog Content Characteristics, Vlogger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

  • Minhee Son;Moon-Yo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1-13
    • /
    • 2023
  • YouTube has become a popular platform for vlogs. Among various forms of vlogs, office worker vlogs, in which a person engaged in a specific job shows his/her work environment and daily routine, are gaining popularity. Thus, focusing on office worker vlogs,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ffice worker vlogs' characteristics (i.e., vlog content characteristics, vlogger characteristics) on the YouTube viewers'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and their job engagement.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1) vlog content characteristics (i.e., usefulness, accessibility, and vividness) and (2) vlogger characteristics (i.e., job similarity, credibility, and expertise) influence the YouTube viewers'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Moreover,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YouTube viewers'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affects their job engagement. With a sample of YouTube viewers of office worker vlogs (N = 215),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in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1) perceived usefulness of the office worker vlo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2) perceived accessibility of the office worker vlo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albeit marginally significant; (3) perceived vividness of the office worker vlo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4) perceived job similarity to the office worker vlogge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5)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office worker vlogge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6) perceived expertise of the office worker vlogge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log; and (7)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office worker vlog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YouTube viewers' job engagement. Th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roduction and use of office worker vlog contents.

유튜브의 유희성 연구: 놀이 유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yfulness of YouTube: Focused on the Analysis of Play Types)

  • 오동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49-357
    • /
    • 2022
  • 유튜브 사용자의 유희적 동기가 효과적으로 구현되는 여러 유형의 놀이 형식과 환경은 유튜브 발전과 활성화의 주요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 공간에서 나타나는 그와 같은 놀이 유형을 '아곤', '알레아', '미미크리', '일링크스' 범주로 구분하여 논의했다. 그리고 유튜브 공간에서 경험할 수 있는 놀이 유형들은 명확한 경계로 구분되어 구현되기보다는 각 범주의 본질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경쟁', '운', '의태', '현기증'의 요소가 여러 조합으로 융합되어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유튜브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라는 사실에서 충분히 학문적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사용자 중심의 유사 플랫폼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실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연구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유튜브 이용자들의 허위정보 노출경험 및 규제에 대한 인식 차이 (YouTube Users' Awareness of False Information Regulation and Exposure to Disinformation)

  • 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4-32
    • /
    • 2022
  • 이 연구는 유튜브 콘텐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허위정보와 딥페이크 영상에 노출된 경험여부에 따른 허위정보 또는 딥페이크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8년 실시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유튜브 동영상 이용 및 허위정보 유출경험' 온라인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허위정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대응일치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허위정보에 노출경험이 있는 남성이 한국에서의 유튜브 허위정보로 인한 문제점에 대해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딥페이크 영상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딥페이크 영상 노출경험이 있는 여성들이 동의하는 경향이 컸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딥페이크 영상에 대한 피해로 인한 규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튜브 이용자들이 규제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가 높은 가운데, 유튜브 이용자들에게 주로 사용되는 허위 정보와 딥페이크의 유형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보 생산자와 유통자가 스스로 규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